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속신화에 나타난 여성신의 성적 결합과 출산 = The Female’s Sexual Intercourse and Birth in Shamanic Myth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51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sexual point of view, Korean shamanic mythology has narrative procession of ‘sex - sexual intercourse - birth and bring up : the forming of deity’s family line’. But the birth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female. Because this biological phe...

      With sexual point of view, Korean shamanic mythology has narrative procession of ‘sex - sexual intercourse - birth and bring up : the forming of deity’s family line’. But the birth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female. Because this biological phenomenon, which is followed by sexual intercourse, performs the mythical purpose of her becoming deity, and becomes the main narrative event in that.
      But during the process, female body which becomes the object of desire is hidden, and confined by the male. Before and after the birth, the female deity suffers a severe trial. All of these tell us that Korean shamanic mythology reflects a patriarchal or androcentric point of view. Especially, besides female’s suffering, the birth is not realized under immoral sexual intercourse. This reflects the ethical belief of the folk who believe Korean shamanism, and tells that the birth guarantees the legitimacy of deity’s family line.
      In this paper, we selected twenty nine Korean shamanic myths connected with these matters, analysed narrative procession of ‘sex - sexual intercourse - birth and bring up’, and finally presented the concrete chart of female’s suffe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분석의 방법과 자료
      • 3. 성적 결합과 출산
      • 4. 출산 없는 성(性)
      • 5. 마무리
      • 1. 들어가며
      • 2. 분석의 방법과 자료
      • 3. 성적 결합과 출산
      • 4. 출산 없는 성(性)
      • 5. 마무리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7 1.3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