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가막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과 환경요인 =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Gamak B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81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tio-temporal patterns in the zooplankton communities,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dominant species were examined in Gamak Bay from April, July, September, and November, 2003. A total of 40 taxa were sampled with a mean abundance of t...

      Spatio-temporal patterns in the zooplankton communities,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dominant species were examined in Gamak Bay from April, July, September, and November, 2003. A total of 40 taxa were sampled with a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ranging from 270~1,803 inds/m3.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Acartia erythraea, followed by Eurytemora pacifica, Podon polyphemoides, A. omorii, and Paracalanus parvus s. l during the study period.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three regions: the middle part of the sampling area (B), sites 1, 2 (A) and other sites (C). The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H')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regions (p<0.05), but no differences in the mean abundances were observed (p>0.05).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bundance of dominant species, all zo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are calculated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Of these, the abundance of dominant tax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a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p<0.05). In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variation of the communities were predominantly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해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조류에 따른 요각류 개체수의 변화" 19 : 137-145, 2001

      2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251-264, 1992

      3 "한국 동해 남부 연안 일광만의 요각류 Acartia steueri의 알 생산력" 31 : 288-295, 1998

      4 "진해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양상" 22 : 43-56, 2004

      5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29 : 415-430, 1996

      6 "울산-감포 해역의 냉수 출현과 동물플랑크톤 분포" 9 : 51-63, 2004

      7 "여수 근해산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양적 분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165-183, 1982

      8 "시화호와 인근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로 본 시화호의 생태적 안정성" 2 : 97-91, 1997

      9 "섬진강 하류계의 요각류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33 : 176-186, 2000

      10 "망목 크기가 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 및 군집해석에 미치는 영향" 9 : 12-19, 2004

      1 "황해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조류에 따른 요각류 개체수의 변화" 19 : 137-145, 2001

      2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251-264, 1992

      3 "한국 동해 남부 연안 일광만의 요각류 Acartia steueri의 알 생산력" 31 : 288-295, 1998

      4 "진해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양상" 22 : 43-56, 2004

      5 "진해만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및 요각류 분포 특성" 29 : 415-430, 1996

      6 "울산-감포 해역의 냉수 출현과 동물플랑크톤 분포" 9 : 51-63, 2004

      7 "여수 근해산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양적 분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165-183, 1982

      8 "시화호와 인근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로 본 시화호의 생태적 안정성" 2 : 97-91, 1997

      9 "섬진강 하류계의 요각류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33 : 176-186, 2000

      10 "망목 크기가 동물플랑크톤 분포 자료 및 군집해석에 미치는 영향" 9 : 12-19, 2004

      11 "만경 동진강 하구계의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염분" 1991181-192

      12 "득량만 동물플랑크톤 분포" 28 : 517-532, 1995

      13 "동해 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 1. 종 목록, 우점종 분포, 종간 유연관계." 30 : 225-238, 1997

      14 "네트 망목 크기가 Acartia steueri (Copepoda: Calanoida)의 생체량추정에 미치는 영향." 35 (35): 445-450, 2002

      15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변동" 26-34, 1993

      16 "광양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화" 22 : 11-29, 2004

      17 "계절과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7 : 51-59, 2002

      18 "경기만 동물플랑크톤의 시" 8 : 243-250, 2003

      19 "가막만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별 출현 양상" 20 : 118-129, 2002

      20 "가막만 수질 및 저질 환경의 계절별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21-33, 1994

      21 "가막만 북서부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9 : 34-47, 2000

      22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copepod Acartia tranteri in Westernport Bay" lim ocea (lim ocea): 14-28, 1987

      23 "Zooplankton responses to hypoxia Behavioral patterns and survival of three species of calanoid copepods" 127 : 599-607, 1997

      24 "Zooplankton investigations in Shijiki Bay II Zooplankton communities from September 1975 to April 1976 with special reference to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inlet copepods" 1-22, 1982

      25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ter" 221-499, 1978

      26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117-, 1963

      27 "The biology of marine cladocerans in warm temperature water Symposium on Warm Water Zooplankton UNESCO/ National Institude of Oceanography" 383-393, 1977

      28 "Simul- taneous measurements of small-scale physical dynamics and zooplankton distribution" 513-530, 1992

      29 "Sampling zooplankton: correction" 268 : 353-353, 1995

      30 "Recent Red t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292-, 1998

      31 "Oceanic distribution of Evadne in the eastern Pacific" 239-248, 1972

      32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18 : 117-143,

      33 "New data on the ecology distribution of cladocerans and first local observations on reproduction of Evadne nordmanni and Podon intermedius" 131-143, 1985

      34 "Monographi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2" 174-, 1968

      35 "J Oceanogr" 42 : 134-138,

      36 "Heterogeneit and the relative roles of bottom-up and top-down forces in natural communities" 724-732, 1992

      37 "Fecundity studies of neritic calanoid copepods Acartia clausi Giesbrecht and A A simple empirical model of daily egg production" 255-271, 1981

      38 "Effects of bottom-layer hypoxia on abundance and depth distributions of organisms in Patuxent River" 205 : 43-59, 2000

      39 "Dormant eggs of marine copepods" ocea (ocea): 125-140, 1981

      40 "Distribution patterns of zooplankton in Tomales Bay" 254-272, 1993

      41 "Distribution of the marine cladoceran Evadne spinifera in waters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ocea (ocea): 47-51, 1993

      42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copeods affecting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pepoda" 271-290, 1991

      43 "Annual zooplankton succession in coastal NW Mediterranean waters The importance of the smaller size fractions" 23 : 319-331, 2001

      44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78-100, 1964

      45 "A comparative study of the zooplankton in two adjacent embayments" 145-159, 1985

      46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173-, 1984

      47 "1984 Food limited growth of marine zooplankton" 124 : 455-4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3-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연구원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영문명 :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외국어명 : Ocean and Polar Research
      KCI등재
      2005-06-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Ocean Science Journal
      외국어명 : Ocean Science Journal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5 0.74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