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양보 기능 요소 연구 = Study on Concessive Connective Element in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6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양보연결]의 기능을 하는 문법항목 각각의 의미와 그 문법항목의 사용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양보연결]의 의미를 갖는 여러 유형 중, `C1아도 C2형.`을 선정하고, 그 항목은 단독...

      이 논문은 [양보연결]의 기능을 하는 문법항목 각각의 의미와 그 문법항목의 사용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양보연결]의 의미를 갖는 여러 유형 중, `C1아도 C2형.`을 선정하고, 그 항목은 단독형 13개와 반복형 3개를 합쳐서 총 16개를 분석한다. 의미 차이는 교체 검증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그 기본형과의 교체를 통하여 의미를 산출한다. 단독형에서 `C1아도 C2.`는 기본형으로서 가장 중립적으로 [양보연결]을 구사하려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C1더라도 C2.`, `C1을지라도 C2.`, `C1을지언정 C2.`는 C1이 [무리한 가정 양태]라는 것을 나타내고 C2의 발화수반력을 강화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의 발화수반력 정도를 나열하면`C1아도 C2. < C1더라도 C2. < C1을지라도 C2. < C1을지언정 C2.`라고 할 수 있다. `C1은들 C2.`는 C2에 [불필요양태]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C1아 봤자 C2.`는 [시도상]을 C1에 사용하고 C2에 [불필요양태]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C1아 봐야 C2.`는 C1에 `[시도상]`을 쓰고 C2에 [불필요양태]를 쓰고 싶으며, [필요조건연결]일 때 사용하는 것이다. 세 항목의 발화수반력 정도를 나열하면, `C1은들 C2. < C1아 봤자 C2. < C1아 봐야 C2.`라고 할 수 있다. `C1을망정 C2.`는 C1의 사태에 대하여 [비선호양태]를 드러내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C1으나마 C2.`는 C1의 사태에 대하여 [비선호양태]를 드러내며 C2의 사태에 대하여 [선호양태]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C1되 C2.`는 [대조연결]과 [양보연결]을 함께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하지만 C2가 C1의 [단서양태]가 될 때만 사용하는 것이다. `C1음에도 불구하고 C2.`는 C2에 [희박완료상]의 사태가 나올 때 사용하는 것이다. `C1기로서니 C2.`는 부정문인 C2의 사태를 [당연양태]로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이다. `C1다고 해서 C2.`는 C1이 [가정양태]이며 C2가 [전칭양화부정양태]일 때 사용하는 것이다. 반복형에서는, `C1다 C1다 하면서 C2.`는 [인용격]을 반복하며 [양보연결]과 [동시연결]을 함께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C1았으면 C1았지 C2.`는 C1을 반복하여 강조하면서 C2에 [금지화행]을 나타내는 부정문을 쓰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C1을래야 C1을 수 없다.`는 C1에 [의도양태]가 나타나며 `C1을 아무리 의도하여도 C1을 할 수 없다.`는 것, 즉 `C1을 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dentifies the meaning of each of the grammatical items that has the function as a concession connection. I use the substitution verification method for finding the semantic difference, and calculate the meaning by replacing with the basic ...

      This paper identifies the meaning of each of the grammatical items that has the function as a concession connection. I use the substitution verification method for finding the semantic difference, and calculate the meaning by replacing with the basic type. Among the various classes that have the meaning of [concession connection], `C1ado C2.` type is selected, and the total of 16 items is analyzed by combining 13 items of independent type and 3 items of iterative type. In independent type, `C1ado C2.` is the basic form because `C1ado C2.` is the most neutral way to use [concession connection]. `C1deorado C2.`, `C1euljirado C2.`, and `C1euljieonjeong C2.` are also used to indicate that C1 is [unreasonable assumption modality] and to reinforce the illocutionary force of C2. We express the degree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se, `C1ado C2. < C1deorado C2. < C1euljirado C2. < C1euljieonjeong C2`. `C1eundeul C2` is used to represent [unnecessary modality] in C1. `C1a bwassja C2.` is used when you want to use [attempt aspect] for C1 and use [unnecessary modality] for C2. `C1a bwaya C2.` is used when we want to use [attempt aspect] for C1 and use [unnecessary modality] for C2. The order of illocutionary force of three items is `C1eundeul C2. < C1a bwassja C2. < C1a bwaya C2.`. `C1eulmangjeong C2.` is used to expose [non-favored modality] to the situation of C1. `C1eunama C2.` is used when we want to expose [non-favored modality] for the situation of C1 and expose simultaneously the meaning of [contrast connection] and the meaning of [concession connection]. `C1dwoe C2.` is used when it is meant to be concurrent with the meaning of [contrast connection] and [concession connection], but should only be used when C2 is [proviso modality] of C1. `C1eumedo bulguhago C2.` is used when a situation of [sparse perfective] occurs in C2. `C1giroseoni C2.` is used to indicate the situation of C2(negation) as [natural modality]. `C1dago haeseo C2.` is used to indicate that C1 is [sumption modality] and not [sufficient condition connection] for C2. In the iterative form, `C1da C1da hamyeonseo C2.` is used to repeats the [quotation case] and display both [concession connection] and [same time connection] at the same time. `C1asseumyeon C1assji C2.` is used when we want to emphasize C1 repeatedly and write a negative sentence that conveys [prohibition speech-act] in C2. `C1eulleya C1eul su eobsda.` is used to emphasize that `No matter how you want C1, you can not do C1`, that is, `You can not do C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2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1

      3 김현지,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양보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226, 2002

      5 박지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의 연결어미 연구 : 기대 부정의 의미 기능을 바탕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권수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 : 2010

      7 장요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아도', '-더라도', '-고도', '-은들'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483-504, 2009

      8 석주연,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69-194, 2005

      9 서희정,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185-208, 2010

      10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 이익섭,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2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1

      3 김현지, "한국어 접속문에서의 양보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이미혜,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226, 2002

      5 박지윤,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의 연결어미 연구 : 기대 부정의 의미 기능을 바탕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권수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관계 연결어미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 : 2010

      7 장요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아도', '-더라도', '-고도', '-은들'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483-504, 2009

      8 석주연,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형 교육의 방향에 대한 일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169-194, 2005

      9 서희정,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185-208, 2010

      10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1 정종수, "제약에 따른 양보 어미 교육 순서 선정에 관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1) : 109-138, 2012

      12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용법 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3 임동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

      14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2005

      15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6

      16 박재연, "연결어미와 양태 :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30 : 119-141, 2009

      17 신지연, "대립과 양보 접속어미의 범주화" 한국어문학회 (84) : 75-98, 2004

      18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1992

      19 서정수, "국어의 종속 접속문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 : 1994

      20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6

      21 김윤정, "국어 양보 접속어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9 0.47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