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0년대『매일신보』연재소설의 문체변화 과정(2) = 1910년대 후반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36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serial publication on Maeil-Sinb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10s, which was considered the literal style transformation. In the inner form, The literal style on Maeil-Sinb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10s was separated instruc...

      This thesis is about serial publication on Maeil-Sinb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10s, which was considered the literal style transformation.
      In the inner form, The literal style on Maeil-Sinbo in the latter half of the 1910s was separated instructions from sayings in the aspect of conversation reproduction. Furthermore spacing words and writing of short sentences were established, so prose style sentences of modern novels was established that it break from verse style sentences of the old novels.
      With an objectification of description which has begun by transforming a termination of a word, it has an critical effect on replacing a reading method of modern novel with a silent reading. On the other hand the literal style of a serial novel has polarized in 'Maeil Sinbo' a language adapted a taste of subscribers, because of a change of a point of view which is willing to share a popular novel with a novel for intellectuals. This fundamentally causes a direct effect that the literal style of a serial novel is dependent on view of media's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1910년대 후반기『매일신보』의 편집정책과 표기법
      • 3.『무정』의 등장과 국문체 소설의 변화
      • 4. 문체의 상호교섭과 근대적 문체의 성취
      • Abstract
      • 1. 서론
      • 2. 1910년대 후반기『매일신보』의 편집정책과 표기법
      • 3.『무정』의 등장과 국문체 소설의 변화
      • 4. 문체의 상호교섭과 근대적 문체의 성취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 연구" 상명대 어문학연구소 7 : 123-147, 1998

      2 "한국근대신문연재소설연구" 이회 1996

      3 "한국근대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1985

      4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 소명 2006

      5 "춘원의 문체론적 연구" 1967197~199쪽

      6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7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신서원 2002

      8 "소 속 :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 주 소 : [704-040]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캐슬골드파크 1303동 1002호> 전화번호 : 053-241-5569(집) 011-9352-5569(손전화)"

      9 "논문접수 : 2007년 10월 31일" 2007.10.31

      10 "논문심사 : 2007년 11월 2일~12월 26일" 2007.11.02

      1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 연구" 상명대 어문학연구소 7 : 123-147, 1998

      2 "한국근대신문연재소설연구" 이회 1996

      3 "한국근대소설의 문체론적 연구" 1985

      4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 소명 2006

      5 "춘원의 문체론적 연구" 1967197~199쪽

      6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민음사 1997

      7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신서원 2002

      8 "소 속 :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강사 주 소 : [704-040]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캐슬골드파크 1303동 1002호> 전화번호 : 053-241-5569(집) 011-9352-5569(손전화)"

      9 "논문접수 : 2007년 10월 31일" 2007.10.31

      10 "논문심사 : 2007년 11월 2일~12월 26일" 2007.11.02

      11 "게재결정 : 2007년 12월 26일" 2007.12.26

      12 "개화기의 국문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84

      13 "개화기소설의 문체연구" 1975

      14 "191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문체변화 과정 (1)" 한국현대소설학회 33 : 76-93, 2007.03

      15 "1910년대 매일신보 소재 소설 연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