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부 고가구조물에 의한 일조환경 영향분석 = Analysis on the Effects of Sunshine Environment by Overpass Structure in Urban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0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sunshine regulations of our country, focused on common houses and general construction, are failing to reflect adequately the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Besides, researches are chiefly being conducted on a pitch between common houses and its diverse effects, neglecting clearance between a road or elevated structure and a residential area, environmental elements brought on by structures, such as sunshine difficulty, and their result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unshine environment of elevated structures adjacent to a residential district, as part of all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looked over currently used clearance adequacy level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in relation to an angle of direction. Then, clearance ratio by heights was calculated through a pitch by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With a view to minimize the sunshine difficulty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construction, it aims to propose the basic data needed for calculating the minimum clearance, whil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alignment on structures.
      번역하기

      Current sunshine regulations of our country, focused on common houses and general construction, are failing to reflect adequately the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Besides, researches are chiefly being conducted on a pitch between ...

      Current sunshine regulations of our country, focused on common houses and general construction, are failing to reflect adequately the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Besides, researches are chiefly being conducted on a pitch between common houses and its diverse effects, neglecting clearance between a road or elevated structure and a residential area, environmental elements brought on by structures, such as sunshine difficulty, and their result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unshine environment of elevated structures adjacent to a residential district, as part of all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looked over currently used clearance adequacy level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in relation to an angle of direction. Then, clearance ratio by heights was calculated through a pitch by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With a view to minimize the sunshine difficulty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construction, it aims to propose the basic data needed for calculating the minimum clearance, whil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alignment on struc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행 우리나라의 일조규정은 공동주택 및 일반 건축물을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도로 및 고가 구조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간의 인동간격 및 인동간격이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로 및 고가구조물과 주거지역과의 이격거리 및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일조장애들의 환경적인 요소와 그에 따른 인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및 고가 구조물 중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는 고가구조물을 중심으로 일조환경을 검토하여, 현재 사용되는 이격거리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해보고, 구조물의 방위각에 따른 방향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물의 특성에 따른 일영거리를 통해 높이에 따른 이격거리비율을 산정하여, 향후 건설시 발생되는 일조장애를 최소화 하기위하여 구조물에 관한 제도 정비의 필요성과 최소 이격거리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번역하기

      현행 우리나라의 일조규정은 공동주택 및 일반 건축물을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도로 및 고가 구조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간의 인동간격 및 인동간격...

      현행 우리나라의 일조규정은 공동주택 및 일반 건축물을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도로 및 고가 구조물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공동주택간의 인동간격 및 인동간격이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로 및 고가구조물과 주거지역과의 이격거리 및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일조장애들의 환경적인 요소와 그에 따른 인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 및 고가 구조물 중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는 고가구조물을 중심으로 일조환경을 검토하여, 현재 사용되는 이격거리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해보고, 구조물의 방위각에 따른 방향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조물의 특성에 따른 일영거리를 통해 높이에 따른 이격거리비율을 산정하여, 향후 건설시 발생되는 일조장애를 최소화 하기위하여 구조물에 관한 제도 정비의 필요성과 최소 이격거리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연구원, "주거지역 개발밀도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공동주택단지의 주거환경기준을 중심으로"

      2 최찬환, "서울지역에서 일조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제한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00

      3 "도로환경정비를 위한 입문서" (주) 일본도로협회

      4 김민희, "도로 및 교량 구조물에 의한 농지의 일조 시간 산정용 도구개발" 한양대학교 2005

      5 건설교통부, "교량현황조서" 2005

      6 박수호, "경사지 아파트 주동의 향에 따른 일조의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7 박태안, "경사지 아파트 주동의 일조환경에 관한 연구" 2001

      1 국토연구원, "주거지역 개발밀도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공동주택단지의 주거환경기준을 중심으로"

      2 최찬환, "서울지역에서 일조확보를 위한 건축물의 높이제한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00

      3 "도로환경정비를 위한 입문서" (주) 일본도로협회

      4 김민희, "도로 및 교량 구조물에 의한 농지의 일조 시간 산정용 도구개발" 한양대학교 2005

      5 건설교통부, "교량현황조서" 2005

      6 박수호, "경사지 아파트 주동의 향에 따른 일조의식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7 박태안, "경사지 아파트 주동의 일조환경에 관한 연구"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로포장공학회 -> 한국도로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avement Engineers ->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7 0.43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