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各國의 初等 道德科 敎育內容 比較  :  韓國, 中國, 日本, 美國, 英國을 中心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Various coun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58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硏究는 韓國, 日本, 中國, 美國, 英國의 初等 道德科 敎育 內容을 比較하여 共通點과 差異點을 찾고 道德 敎育의 바른 指導를 爲하여 內容이 어떻게 陳述되어야할지 또 그것이 指向 할 方向을 찾기 爲한 硏究였는데 敎育 內容은 어떤 背景에서 出發하여야 할 것인가의 一般理論인 內容의 槪念, 性格, 選定 原則, 組織 原則 等을 Tyler, Taba, Gagne, Downey, Bloom, Paker & Rubn, Broudy, Smith, Burnett, 李 榮德, 等의 著書를 通하여 硏究 證明되었고 道德科 理論 卽 道德性의 槪念, 性格, 發達過程의 理論을 Wilson, Kay, Piaget, Morris, Havighurst, 等의 硏究를 通해서 살펴보았고 參考하였다. 蒐集된 各國의 道德科 敎育內容을 ①道德 要素, ②內容 選定 原則, ③內容 組織 原則, ④生活領域別, ⑤Morris의 發達段階에 依하여 比較하고 그 結果와 韓國의 內容을 比較 分析하였다.
      以上의 比較 分析에서 밝혀진 事項은
      ① 他國 네 나라간의 共通 陳述 項目은 8個程度인데 韓國과 他國의 것을 比較하였더니 共通 項目이 31個項이 되었다. 이것은 韓國과 日本이 비슷한 點이 많은 結果이다.
      ② 亞細亞國에는 英, 美兩쪽에 있는 저축, 스포츠맨 쉽, 명예, 양심 等의 要素는 전혀 陳述이 없었다.
      ③ 韓國의 道德要素 數가 42個로, 他國에 比하여 많음이 밝혀졌다.
      ④ 中國, 美國은 學年 區別 없이 內容이 陳述되었고 韓國, 英國, 日本은 學年別로 內容(要素)이 나타났다.
      ⑤ 韓國, 中國, 日本에 陳述된 자주, 자유책임, 공덕 等의 要素는 西洋國에는 陳述이 없었다.
      ⑥ 內容 選定原則에 보다 接近하고 있는 나라는 韓國과 英國임이 밝혀졌다.
      ⑦ 內容 組織原則에 보다 接近한 나라는 西洋國임이 나타났다.
      ⑧ 他國은 生活領域 區別없이 陳述되었는데 韓國만 生活領域別로 陳述되었다. 韓國의 陳述을 基準하여 領域別 比較를 하였더니 全體的으로 個人, 社會, 國家, 生活順으로 陳述되었다.
      ⑨ 領域別 陳述에서 中國, 美國은 社會, 個人, 國家生活 順으로 社會生活面을 더 强調하고 있었다.
      ⑩ 他國은 反共生活領域에 한 項도 陳述이 없는데 韓國만이 5個項이 陳述되었다.
      ⑪ Morris의 發達段階에 依한 比較에서는 各國 共히 前道德 段階에 該當되는 內容이 가장 많았다.
      번역하기

      本 硏究는 韓國, 日本, 中國, 美國, 英國의 初等 道德科 敎育 內容을 比較하여 共通點과 差異點을 찾고 道德 敎育의 바른 指導를 爲하여 內容이 어떻게 陳述되어야할지 또 그것이 指向 할 方...

      本 硏究는 韓國, 日本, 中國, 美國, 英國의 初等 道德科 敎育 內容을 比較하여 共通點과 差異點을 찾고 道德 敎育의 바른 指導를 爲하여 內容이 어떻게 陳述되어야할지 또 그것이 指向 할 方向을 찾기 爲한 硏究였는데 敎育 內容은 어떤 背景에서 出發하여야 할 것인가의 一般理論인 內容의 槪念, 性格, 選定 原則, 組織 原則 等을 Tyler, Taba, Gagne, Downey, Bloom, Paker & Rubn, Broudy, Smith, Burnett, 李 榮德, 等의 著書를 通하여 硏究 證明되었고 道德科 理論 卽 道德性의 槪念, 性格, 發達過程의 理論을 Wilson, Kay, Piaget, Morris, Havighurst, 等의 硏究를 通해서 살펴보았고 參考하였다. 蒐集된 各國의 道德科 敎育內容을 ①道德 要素, ②內容 選定 原則, ③內容 組織 原則, ④生活領域別, ⑤Morris의 發達段階에 依하여 比較하고 그 結果와 韓國의 內容을 比較 分析하였다.
      以上의 比較 分析에서 밝혀진 事項은
      ① 他國 네 나라간의 共通 陳述 項目은 8個程度인데 韓國과 他國의 것을 比較하였더니 共通 項目이 31個項이 되었다. 이것은 韓國과 日本이 비슷한 點이 많은 結果이다.
      ② 亞細亞國에는 英, 美兩쪽에 있는 저축, 스포츠맨 쉽, 명예, 양심 等의 要素는 전혀 陳述이 없었다.
      ③ 韓國의 道德要素 數가 42個로, 他國에 比하여 많음이 밝혀졌다.
      ④ 中國, 美國은 學年 區別 없이 內容이 陳述되었고 韓國, 英國, 日本은 學年別로 內容(要素)이 나타났다.
      ⑤ 韓國, 中國, 日本에 陳述된 자주, 자유책임, 공덕 等의 要素는 西洋國에는 陳述이 없었다.
      ⑥ 內容 選定原則에 보다 接近하고 있는 나라는 韓國과 英國임이 밝혀졌다.
      ⑦ 內容 組織原則에 보다 接近한 나라는 西洋國임이 나타났다.
      ⑧ 他國은 生活領域 區別없이 陳述되었는데 韓國만 生活領域別로 陳述되었다. 韓國의 陳述을 基準하여 領域別 比較를 하였더니 全體的으로 個人, 社會, 國家, 生活順으로 陳述되었다.
      ⑨ 領域別 陳述에서 中國, 美國은 社會, 個人, 國家生活 順으로 社會生活面을 더 强調하고 있었다.
      ⑩ 他國은 反共生活領域에 한 項도 陳述이 없는데 韓國만이 5個項이 陳述되었다.
      ⑪ Morris의 發達段階에 依한 比較에서는 各國 共히 前道德 段階에 該當되는 內容이 가장 많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 論
      • A. 硏究의 目的
      • B. 硏究의 方法.
      • Ⅱ. 理論的 背景.
      • A. 敎育內容의 一般理論
      • Ⅰ. 緖 論
      • A. 硏究의 目的
      • B. 硏究의 方法.
      • Ⅱ. 理論的 背景.
      • A. 敎育內容의 一般理論
      • B. 道德科敎育의 理論
      • Ⅲ. 道德科 敎育內容 比較.
      • A. 比較 分析의 背景
      • B. 各國의 敎育內容 分析比較.
      • C. 韓國의 敎育內容 分析.
      • D. 各國과 韓國의 內容 比較.
      • Ⅳ. 結 論
      • A. 要 約
      • B. 提 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