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의 사회적 책임: 척도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37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경제주체의 구성요소는 국가, 기업, 가정으로 형성된다고 ...

      [연구목적]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오고 있다. 경제주체의 구성요소는 국가, 기업, 가정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국가나 기업, 가정의 구성원은 결국 개인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하여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구성원의 가장 핵심 주체인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현실이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 할 수 있는 포괄적이며 신뢰가능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으로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3가지 차원으로 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개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척도의 세부 항목으로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 책임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온실가스 줄이기’ ‘공해방지 및 환경개선’ ‘환경보호’ ‘친환경 소비자 되기’, 자선적 책임으로는 ‘불쌍한 사람 돕기’ ‘이웃을 위한 봉사’ ‘사회적 모금행사 참여’ ‘약자를 돕는 일’, 윤리적 책임으로는 ‘공정거래 질서와 법규준수’ ‘사회적 규범 준수’ ‘미풍양속 준수’ ‘국가가 제정한 법률 준수’ 등이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시키며, 향후 국가적으로나 지방자치단체가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 할 것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ISO 26000의 핵심과제인 환경부문, 자선부문, 윤리부문에 대한 개인의 책임 활동을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생존과 성장을 지탱해주고 지원해주는 사회에 대해 기업 이상으로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Recently as the impotance of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mphasized, many studies on CSR have been conducted. While components of economic units are nation, companies, and families, their members all can be thought to c...

      [Purpose] Recently as the impotance of activiti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emphasized, many studies on CSR have been conducted. While components of economic units are nation, companies, and families, their members all can be thought to consist of individuals. Even though there exist precedent studies about CSR activities, there is none on the studies of individuals’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most essential of economic units.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goal to develop a comprehensive and reliable scale that can measure activities of individual social responsibility.
      [Methodology] As the result of study, the ISR scale with three dimensions of environmental, charitable,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has been developed.
      [Findings] The followings are the subsections of the ISR standards new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include “to reduce greenhouse gases in daily life”, “to prevent pollution & inprove environment”, “to protect environment”, and “to becom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er”. Charitable responsibilities include “to help the poor”, “to volunteer for the neighborhood” “to participate in social charity events”, and “to help the social weak”. Ethical responsibilities are “to manage fair trade and obey regulations”, “to follow social norms”, “to keep beautiful traditional customs”, and “to obey the national legisl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will help realiz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social responsibility once again and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are important for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to diagnose ISR activities. Futhermore, as it can help individuals to sincerely perform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environmental, charitable, and ethical sections, which are the core agenda of the ISO 26000 promoted across the world, and envision the future-oriented society, it is thought to function as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nto the advanced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 Ⅱ. 개인의 사회적 책임
      • Ⅲ. 척도개발
      • Ⅳ. 결론
      • 요약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 Ⅱ. 개인의 사회적 책임
      • Ⅲ. 척도개발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창택, "환경교육과 생태적 책임" 대한철학회 81 : 1-24, 2002

      2 임희섭, "한국사회 시민성의 이론적 고찰" 4 (4): 5-30, 2001

      3 노한균, "캐롤(A. B. Carroll)의 기업사회책임(CSR)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비영리학회 10 (10): 141-169, 2011

      4 김정희, "정보사회의 소비자와 시장" 신정 2004

      5 박범우, "외식기업의 기업시민 행동과 윤리적 기업태도가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219-234, 2017

      6 노영란, "시민성과 시민윤리" 대한철학회 83 : 187-210, 2002

      7 이기춘,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1999

      8 양해림, "생태계의 위기와 책임윤리의 도전 -한스 요나스의 책임개념을 중심으로-" 65 (65): 243-270, 2000

      9 설동훈, "사회학의 이해" 다산출판사 2006

      10 송대영, "사회적 역할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0

      1 고창택, "환경교육과 생태적 책임" 대한철학회 81 : 1-24, 2002

      2 임희섭, "한국사회 시민성의 이론적 고찰" 4 (4): 5-30, 2001

      3 노한균, "캐롤(A. B. Carroll)의 기업사회책임(CSR)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비영리학회 10 (10): 141-169, 2011

      4 김정희, "정보사회의 소비자와 시장" 신정 2004

      5 박범우, "외식기업의 기업시민 행동과 윤리적 기업태도가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219-234, 2017

      6 노영란, "시민성과 시민윤리" 대한철학회 83 : 187-210, 2002

      7 이기춘, "소비자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1999

      8 양해림, "생태계의 위기와 책임윤리의 도전 -한스 요나스의 책임개념을 중심으로-" 65 (65): 243-270, 2000

      9 설동훈, "사회학의 이해" 다산출판사 2006

      10 송대영, "사회적 역할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0

      11 이진규,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의식에 관한 실증 연구 -인구통계적 특성을중심으로-" 41 (41): 239-280, 1997

      12 Stampfl, Ronard W., "Multi-disciplinary Foundation for Consumer Code of Ethics" 12-20, 1979

      13 Pinnet, X., "Imagine Speaks out. How to Manag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putation in a Global Marketplace"

      14 김창호, "ISO26000시행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 구축방안"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3 (13): 33-68, 2006

      15 Soukhanov, Anne H., "Encarta Webster’s Dictionary" Bloomsbury, Holtzbrinck Publishers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