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본 연구는 Fairclough에 의해 대표되는 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입장을 취할 것이다. 여기서 ‘비평적’이라는 말을 앞에 덧붙이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6721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본 연구는 Fairclough에 의해 대표되는 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입장을 취할 것이다. 여기서 ‘비평적’이라는 말을 앞에 덧붙이는...
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본 연구는 Fairclough에 의해 대표되는 비평적 담화분석 (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입장을 취할 것이다. 여기서 ‘비평적’이라는 말을 앞에 덧붙이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전통적 담화분석의 입장과는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사회⋅정치적 담화분석’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담화분석 방식은 Fairclough를 비롯하여, Wodak, Fowler, Hodge, Kress 같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발전된 이론 틀로서, 사회의 익숙한 곳에 숨어 있는 담화의 권력관계, 지배/피지배 관계를 찾아내고, 그것의 힘의 관계(power relation)를 들춰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입장은 푸코가 각 시대별 에피스테메에 기초하여 권력이 행사되는 과정이 물리적인 힘을 통해서라기보다는 담론을 통해서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권력과 담론과의 관계에 주목하였던 문제의식과 그 맥을 같이한다. 그러므로 비평적 담화분석은 푸코 등에 의해서 제기된 거대 담론 이론을 구체적 언어분석에 적용하고자 하는 -즉 ‘담론’과 ‘담화’연구를 한 장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유용한 접근 방식이다. 또한 비평적 담화분석은 담화가 어떻게 사회적 조건들을 생산/형성하고 현 상황을 영속화, 재생산 또는 정당화하는데 기여하는지, 그리고 사회 변화의 시작과 전개 및 공고화 과정에 어떻게 개입하는지에 대해서 담화분석 측면에서 접근하여 해석을 시도한다.
분석대상 : 정치 담화 및 광고 담화
본 연구에서 우리는 주로 정치담화와 광고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을 예정인데, 그 까닭은 이 두 장르가 담화의 이데올로기성을 잘 드러내주는 대표 영역이기 때문이다. 정치담화에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른 여러 이데올로기들이 대립하게 마련이며, 광고의 경우는 자본의 이해관계가 정교하게 숨어있다. 정치담화와 광고담화는 둘 다 상대를 설득하는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범주에 속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실제 분석 과정에서는 그 유사성보다는 차이점이 두드러진다. 정치담화는 -비록 최근 들어서 정치에도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가 점차 중요시되고는 있으나- 설득적 소구를 그 근간으로 한다면, 광고는 15/20초라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자를 구매로 이끌기 위한 유혹적 소구가 그 주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서로 유사하면서도 차이를 드러내는 정치담화와 광고담화의 상보적 특징이 본 작업에서 행해질 분석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 분석자료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프랑스 등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비교문화적 시각 역시 넓혀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