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랜드마크의 요소가 약속장소 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Landmark Elements Influence on Appointment Place Desig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9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landmark is place designation, which includes anchoring a selection point for directions, and designating appointment places through communications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irection of landmark design which helps to set appointment pla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of landmark which are used to designate the landmark among other places. (Method) In this study, the appointment place designation specified through communication is set as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survey target area is set as the area around Gangnam S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landmarks, w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mar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the methods of accessibility and the persons' familiarity with the target area a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whether to select appointment places as a dependent variable. After experimental hypothe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test them.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familiarity level; 2)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partner with the destination; 3)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ex of the respondent; 4)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ages of respondents; and 5)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respondent access methods. In addition, the design direction was derived throug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First,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the site rarely choose a public landmark as a place for appointment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Landmarks must be plac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landing. Second, landmarks that are visited by man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area should be located near subway stations or near such nodes of public transportation as bus stops. Third, since the population density of public landmarks are high, it is necessary to minimize unnecessary public facilitie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landmark-used appointment plac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appointment place specification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target area, and means of approach. Al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plac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variables are considered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landmark and the location of the appointment, thereby providing a basic knowledge of the landmark.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landmark is place designation, which includes anchoring a selection point for directions, and designating appointment places through communications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landmark is place designation, which includes anchoring a selection point for directions, and designating appointment places through communications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irection of landmark design which helps to set appointment pla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of landmark which are used to designate the landmark among other places. (Method) In this study, the appointment place designation specified through communication is set as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survey target area is set as the area around Gangnam S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landmarks, w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mar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the methods of accessibility and the persons' familiarity with the target area a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whether to select appointment places as a dependent variable. After experimental hypothe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test them.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familiarity level; 2)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partner with the destination; 3)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ex of the respondent; 4)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ages of respondents; and 5)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respondent access methods. In addition, the design direction was derived throug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First,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the site rarely choose a public landmark as a place for appointment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Landmarks must be plac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landing. Second, landmarks that are visited by man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area should be located near subway stations or near such nodes of public transportation as bus stops. Third, since the population density of public landmarks are high, it is necessary to minimize unnecessary public facilitie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landmark-used appointment plac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appointment place specification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target area, and means of approach. Al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plac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variables are considered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landmark and the location of the appointment, thereby providing a basic knowledge of the landma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랜드마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장소지정이며, 그 방법에는 길찾기를 위한 선택지점 지정, 타인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하는 약속 장소 지정이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함께 장소를 지정하는데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 요소를 조사 · 분석하여 약속 장소 지정에 도움을 주는 랜드마크의 설계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랜드마크의 기능 중 타인과 정하는 약속장소 지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조사 대상지는 강남역 주변지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에 따라 상징성, 공공성, 개인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랜드마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랜드마크의 속성, 이용자들의 특징, 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약속장소 지정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해 실험 가설을 세우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검정하였다. (결과) 검정을 통해 나타난 유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응답자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2)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3)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4)응답자의 연령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5)응답자의 접근수단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또한 이러한 결과를 논의를 통해 설계방향을 도출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에 익숙한 사람들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공공성의 랜드마크를 약속장소로 많이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이동수단과 내리는 장소를 고려해 랜드마크를 배치해야 한다. 둘째, 지역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많이 방문하는 곳의 랜드마크는 지하철역 주변이나 버스 정류장같이 대중교통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셋째, 공공성의 랜드마크 주변은 인구밀도가 높으므로 불필요한 공공시설물을 최대한 줄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약속장소로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한 연구로, 약속장소 지정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특성, 약속 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이 있으며 해당 변수가 함께 고려된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약속장소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랜드마크의 속성과 약속장소 정하기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약속장소 정하기에 쓰이는 랜드마크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랜드마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장소지정이며, 그 방법에는 길찾기를 위한 선택지점 지정, 타인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하는 약속 장소 지정이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연구배경 및 목적) 랜드마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장소지정이며, 그 방법에는 길찾기를 위한 선택지점 지정, 타인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하는 약속 장소 지정이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함께 장소를 지정하는데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 요소를 조사 · 분석하여 약속 장소 지정에 도움을 주는 랜드마크의 설계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랜드마크의 기능 중 타인과 정하는 약속장소 지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조사 대상지는 강남역 주변지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에 따라 상징성, 공공성, 개인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랜드마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랜드마크의 속성, 이용자들의 특징, 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약속장소 지정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해 실험 가설을 세우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검정하였다. (결과) 검정을 통해 나타난 유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응답자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2)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3)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4)응답자의 연령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5)응답자의 접근수단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또한 이러한 결과를 논의를 통해 설계방향을 도출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에 익숙한 사람들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공공성의 랜드마크를 약속장소로 많이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이동수단과 내리는 장소를 고려해 랜드마크를 배치해야 한다. 둘째, 지역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많이 방문하는 곳의 랜드마크는 지하철역 주변이나 버스 정류장같이 대중교통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셋째, 공공성의 랜드마크 주변은 인구밀도가 높으므로 불필요한 공공시설물을 최대한 줄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약속장소로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한 연구로, 약속장소 지정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특성, 약속 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이 있으며 해당 변수가 함께 고려된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약속장소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랜드마크의 속성과 약속장소 정하기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약속장소 정하기에 쓰이는 랜드마크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우, "효율적인 경로탐방을 위한 경로안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577-590, 2015

      2 강영진, "현대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종호,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민주, "도시이미지가 지역자긍심,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랜드마크 인지요인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5 정진우, "가상현실을 이용한 루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랜드마크의 설명 용이성(Describability)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25-270, 2003

      6 Lim, SeungBin, "Environmental mentality and Human behavior" Bomoondang Press 2007

      1 정진우, "효율적인 경로탐방을 위한 경로안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577-590, 2015

      2 강영진, "현대 랜드마크건축의 도시적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종호,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민주, "도시이미지가 지역자긍심,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랜드마크 인지요인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5 정진우, "가상현실을 이용한 루트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랜드마크의 설명 용이성(Describability)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25-270, 2003

      6 Lim, SeungBin, "Environmental mentality and Human behavior" Bomoondang Pr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