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성리더십의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 KCI 등재저널에 게재된 연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19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리더의 덕목과 진정성 등이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지금 진성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는 과거 부터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까지 KCI 등재저널에 게재된 진성리더십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KCI에 등재저널에 게재된 435편의 진성리더십 연구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고 진성리더십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특히 기업조직과 기타조직(비기업조직), 연도별(2011~2017/2018~2023) 진 성리더십 연구동향을 토픽 모델링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성리더십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진성리더십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 게 진성리더십 연구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리더의 덕목과 진정성 등이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지금 진성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는 과거 부터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리더의 덕목과 진정성 등이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지금 진성리더십과 관련된 연구는 과거 부터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까지 KCI 등재저널에 게재된 진성리더십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KCI에 등재저널에 게재된 435편의 진성리더십 연구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고 진성리더십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한다. 특히 기업조직과 기타조직(비기업조직), 연도별(2011~2017/2018~2023) 진 성리더십 연구동향을 토픽 모델링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성리더십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진성리더십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 게 진성리더십 연구현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current societal emphasis on leadership virtues and authenticity,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ongoing for some time. However,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reviews of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a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of 435 authentic leadership studie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uthentic leader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s the research trends of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corporate organizations and other organizations (non-corporate organizations) by year (2011~2017 /2018~2023) based o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uthentic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ers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
      번역하기

      With the current societal emphasis on leadership virtues and authenticity,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ongoing for some time. However,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reviews of...

      With the current societal emphasis on leadership virtues and authenticity,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ongoing for some time. However,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reviews of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 published in KCI-registered journal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a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of 435 authentic leadership studies published in KCI-listed journal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uthentic leader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compares the research trends of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corporate organizations and other organizations (non-corporate organizations) by year (2011~2017 /2018~2023) based o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authentic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ers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uthentic leadership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연구
      • 2.1 진성리더십
      • 2.2 선행연구 검토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연구
      • 2.1 진성리더십
      • 2.2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 3.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3.2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