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Глагол отдыхать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 семантический и 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аспекты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9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사 отдыхать 를 실제적인 용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 연구한 것이다. 러시아어에서 이 단어처럼 사용빈도가 높고, 또 상당히 확대된 의미체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해석사전에는 매우 빈약하게 설명되어 있는 단어도 찾아보기 어려운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용례를 다 아우르는 총체적인 사전적인 정의를 내리고 다른 단어들과의 어결합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러시아어 어원사전과 해석사전, 역사사전, 어결합사전, 연상의미사전 상의 정보를 그 대상으로 하며, 보다 실제적인 데이터는 문학작품과 인터넷 자료를 포함한 정기간행물의 텍스트들과 ≪На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의 자료들을 기반으로 추출되었다.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의미를 정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진행되었다:
      1)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들 사이에는 ≪그것들을 하나의 의미적 통합체로 연결시키는 특정한 관계가 존재한다≫(Д.И. Шмелёв 쉬멜료프);
      2) 다의어는 ≪보편적인 것에서 개별적인 것으로, 동기의미에서 파생의미로 하강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단계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Н.Ю. Шведова 쉬베도바).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용례별 뉘앙스들이 생겨나게 된 동인에 대해 설명을 제시하였으며, 하위요소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어결합 관계 뿐만 아니라, 이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의 어결합 관계 역시 살펴보았으며, 그 예들을 목록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원어민들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어결합 отдыхать от кого-л., чего-л.와 отдыхать после чего-л.을 구별하는 데도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런 까닭에, 이 연구결과는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교육현장에도 환류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사 отдыхать 를 실제적인 용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 연구한 것이다. 러시아어에서 이 단어처럼 사용빈도가 높고, 또 상당히 확대된 의미체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본 논문은 동사 отдыхать 를 실제적인 용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 연구한 것이다. 러시아어에서 이 단어처럼 사용빈도가 높고, 또 상당히 확대된 의미체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해석사전에는 매우 빈약하게 설명되어 있는 단어도 찾아보기 어려운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용례를 다 아우르는 총체적인 사전적인 정의를 내리고 다른 단어들과의 어결합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일차적으로 러시아어 어원사전과 해석사전, 역사사전, 어결합사전, 연상의미사전 상의 정보를 그 대상으로 하며, 보다 실제적인 데이터는 문학작품과 인터넷 자료를 포함한 정기간행물의 텍스트들과 ≪Национальный корпус русского языка≫의 자료들을 기반으로 추출되었다.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의미를 정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진행되었다:
      1) 다의어의 다양한 의미들 사이에는 ≪그것들을 하나의 의미적 통합체로 연결시키는 특정한 관계가 존재한다≫(Д.И. Шмелёв 쉬멜료프);
      2) 다의어는 ≪보편적인 것에서 개별적인 것으로, 동기의미에서 파생의미로 하강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단계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Н.Ю. Шведова 쉬베도바).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용례별 뉘앙스들이 생겨나게 된 동인에 대해 설명을 제시하였으며, 하위요소별로 구분하였다. 또한, 동사 отдыхать 의 어결합 관계 뿐만 아니라, 이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의 어결합 관계 역시 살펴보았으며, 그 예들을 목록화하고자 노력하였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원어민들도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어결합 отдыхать от кого-л., чего-л.와 отдыхать после чего-л.을 구별하는 데도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런 까닭에, 이 연구결과는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교육현장에도 환류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Введение
      • Ⅱ. ≪Отдыхать ? отдых≫по данным словарей русского языка
      • Ⅲ. Семантическая структура глагола отдыхать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 Ⅳ. Синтаг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лагола ОТДЫХАТЬ
      • Ⅴ. Выводы
      • Ⅰ. Введение
      • Ⅱ. ≪Отдыхать ? отдых≫по данным словарей русского языка
      • Ⅲ. Семантическая структура глагола отдыхать в совреме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 Ⅳ. Синтагматические отношения глагола ОТДЫХАТЬ
      • Ⅴ. Выводы
      • Cписок литературы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У)" Д.Н. Ушакова

      2 Ожегов С.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ОШ)"

      3 Даль В.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т 2. (СД)"

      4 Шведова Н.Ю., "Теоретические результаты, полученные в работе над «Русским семантическим словарем»" 1 : 1999

      5 Тихонов А.М., "Сло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2 т. – 2-е изд., стер., т.1, (ССРЯ)" Рус. яз 1990

      6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Словарь языка Пушкина, In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П)" изд-во иностранных и национальных словарей

      7 Е.П. Иванян, "Словарь эвфемизмов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амара 2012

      8 А.П.Евгеньево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 том 1 (МАС)"

      9 Гл. ред. Ф. П. Филин,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XI-XVII вв. Вып. 1-25" Наука 2000

      10 Ожегов С.И.,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О)"

      1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У)" Д.Н. Ушакова

      2 Ожегов С.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ОШ)"

      3 Даль В.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т 2. (СД)"

      4 Шведова Н.Ю., "Теоретические результаты, полученные в работе над «Русским семантическим словарем»" 1 : 1999

      5 Тихонов А.М., "Сло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2 т. – 2-е изд., стер., т.1, (ССРЯ)" Рус. яз 1990

      6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Словарь языка Пушкина, In Институт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П)" изд-во иностранных и национальных словарей

      7 Е.П. Иванян, "Словарь эвфемизмов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амара 2012

      8 А.П.Евгеньево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в 4-х т, том 1 (МАС)"

      9 Гл. ред. Ф. П. Филин,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XI-XVII вв. Вып. 1-25" Наука 2000

      10 Ожегов С.И.,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СО)"

      11 Лухманова И., "Секреты усталости: как научиться отдыхать" Нескучный сад

      12 Виноградов В. В., "Русский язык (Грамматическое учение о слове)" Высш. шк 1986

      13 Лопатин В.В., "Русский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ТС)"

      14 Н.Ю. Шведовой, "Русский семант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систе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по классам слов и значений, (РСС)"

      15 "Русский ассоциативный словарь. (Ассоциативный тезаурус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1994

      16 Шмелёв, Д.Н., "Проблемы семантического анализа лексики. Изд. 3-е" Издательство ЛКИ 2008

      17 Крысин Л.П., "Пособие для студ. филол. фак. высш. учеб. Заведений" Изд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Академия»

      18 Ефремова Т.Ф., "Н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Толково-словообразовательный" Русский язык 2000

      19 Кузнецова Э.В., "Лексиколог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 – 2-е изд. испр. и доп" Высш. шк 1989

      20 Стернин И.А., "Контрастивная лингвистика. Проблемы теории и методики исследования" Восток - Запад 200-,

      21 Зализняк Анна А., "Константы и переменные глагола отдыхать, In Константы и переменные русской языковой картины мира" Языки славянских культур c337-c353, 2012

      22 Виноградов В. В., "Избранные труды. Лексикология и лексикография" Наука c170-, 1977

      23 Пеньковский А.В., "Загадки пушкинского текста и словаря: Опыт филологической герменевтики" Языки славянской культуры c88-c89, 2005

      24 С.А. Кузнецов, "Большой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БТС)"

      25 "Большой словарь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в 17-ти т., том 5 (БА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9-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슬라브학회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Eurasian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5 0.5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