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수원화성(華城)국제연극제의 야외 공연 공간 중심으로 ­ = A Study on Space Utilization in Environmental Theater : Focusing on Outdoor Performance Space at Suwon Hwaseong Fortress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4363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2.9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02 p.: 삽도, 사진.; 26 cm.

      • 소장기관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연예술은 정해진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작업들에 의해 형상화되는 예술이며, 공연예술은 반드시 일어나는 장소인 구체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때 공간은 행위를 구축함과 동시에 행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서양 연극사에서 실내공연장은 르네상스 이후, 사실적인 무대 묘사와 환상을 창출하는 공연 미학은 실내극장 시대를 불러왔다. 21세기에 이르러 현재까지 연극 공연은 주로 실내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전위적 흐름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한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은 공연과 공간의 특성을 탐구하였다. 환경연극은 공간에 대한 새로운 미학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실내공연장을 탈피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현장성이 충만한 삶의 공간으로 전환하면서 관객과 연기자들의 역동적인 관계를 통해 하나의 환경을 구성하는 총체적 요소로 간주한다. 공연의 성격에 맞는 공간을 사용하거나, 공간의 성격에 어울리는 공연을 만드는 등 새로운 예술 장르를 반영하며 사회 변화와 예술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면서 기존의 장르나 예술개념으로 수렴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공연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60년대 이후 미국 실험극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환경연극이 유입되었고, 1990년대 이후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함께 각 자치단체에서 지역 축제 혹은 연극축제를 통해 야외 공연이 많아지면서 공연 공간이 확대하였다. 이러한 공연들은 환경연극의 공간개념을 부분적으로 차용하고 있으나 환경연극적 공연이 제작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은 가설무대를 설치하거나 야외 공원에 구축된 야외무대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연들은 대부분 일회적이거나 가시적인 성격을 강조하여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공연 단체가 준비한 작품의 성격과 공간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기존의 공간 환경을 무시하게 되며 또한 주변 환경을 배경으로 한 가설무대는 형식적인 무대로 활용하게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리차드 셰크너(Richard Schechner)가 주장한 환경연극의 공연 공간특성을 제시한 ‘발견공간(Found Space)’과 ‘변형공간(Transformed Space)’의 관점을 중심으로 수원화성국제연극제 야외 공연 공간이 어떠한 양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환경연극의 개념과 형성배경을 연구하고 환경연극 공연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환경연극의 공연 특성을 통하여 ‘환경연극’의 정의를 내리고, 주요 공간 개념인 ‘발견공간’, ‘변형공간’과 구축된 환경의 ‘융합공간(Combined Space)’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축제의 개념과 형성을 통해 환경연극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이어서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야외 공연 공간과 무대 활용 사례를 환경연극적 공간 개념을 토대로 공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공연예술은 정해진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작업들에 의해 형상화되는 예술이며, 공연예술은 반드시 일어나는 장소인 구체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때 공간은 행위를 구축함...

      공연예술은 정해진 특정 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작업들에 의해 형상화되는 예술이며, 공연예술은 반드시 일어나는 장소인 구체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때 공간은 행위를 구축함과 동시에 행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서양 연극사에서 실내공연장은 르네상스 이후, 사실적인 무대 묘사와 환상을 창출하는 공연 미학은 실내극장 시대를 불러왔다. 21세기에 이르러 현재까지 연극 공연은 주로 실내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전위적 흐름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한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은 공연과 공간의 특성을 탐구하였다. 환경연극은 공간에 대한 새로운 미학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실내공연장을 탈피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공연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현장성이 충만한 삶의 공간으로 전환하면서 관객과 연기자들의 역동적인 관계를 통해 하나의 환경을 구성하는 총체적 요소로 간주한다. 공연의 성격에 맞는 공간을 사용하거나, 공간의 성격에 어울리는 공연을 만드는 등 새로운 예술 장르를 반영하며 사회 변화와 예술 환경의 변화를 주도하면서 기존의 장르나 예술개념으로 수렴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공연 공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60년대 이후 미국 실험극 영향을 받은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환경연극이 유입되었고, 1990년대 이후 지방자치제의 정착과 함께 각 자치단체에서 지역 축제 혹은 연극축제를 통해 야외 공연이 많아지면서 공연 공간이 확대하였다. 이러한 공연들은 환경연극의 공간개념을 부분적으로 차용하고 있으나 환경연극적 공연이 제작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은 가설무대를 설치하거나 야외 공원에 구축된 야외무대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연들은 대부분 일회적이거나 가시적인 성격을 강조하여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공연 단체가 준비한 작품의 성격과 공간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기존의 공간 환경을 무시하게 되며 또한 주변 환경을 배경으로 한 가설무대는 형식적인 무대로 활용하게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리차드 셰크너(Richard Schechner)가 주장한 환경연극의 공연 공간특성을 제시한 ‘발견공간(Found Space)’과 ‘변형공간(Transformed Space)’의 관점을 중심으로 수원화성국제연극제 야외 공연 공간이 어떠한 양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나아가 발전방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환경연극의 개념과 형성배경을 연구하고 환경연극 공연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환경연극의 공연 특성을 통하여 ‘환경연극’의 정의를 내리고, 주요 공간 개념인 ‘발견공간’, ‘변형공간’과 구축된 환경의 ‘융합공간(Combined Space)’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축제의 개념과 형성을 통해 환경연극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이어서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야외 공연 공간과 무대 활용 사례를 환경연극적 공간 개념을 토대로 공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rforming arts are embodied by diverse works that constitute certain designated space so that performing arts are in a desperate need of a specific space where they are actually performed. In this case, space plays a role in displaying and regulating behaviors at once. In the history of Western plays, the theatrical aesthetics, which create realistic stage setting and fantasy,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indoor theatres after the Renaissanc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theatre performances have been mostly performed in indoor space.
      Since the 1960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space have been studied for the ‘Environmental Theater’ tha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avant-garde trend. The Environmental Theater was the result of doing away with the existing indoor performance hall and pursuing performances in a variety of spaces by presenting new spatial aesthetics. Such spaces turned into a living space full of vividity, which is regarded as a general factor of the environment through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audience and actors. It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performing space that leads a change in society and artistic environment but does not converge on the existing genre or concent of art by reflecting a new genre of art such as the use of spac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a performance or the creation of a performance that fits the character of a space.
      In the country, artists influenced by American Experimental Theater since the 1960s have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Theater, and as local autonomy system took firm root in Korean soil, each local government actively pushed ahead with local or theatre festivals so that increasing outdoor performances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performing space since the 1990s. Even though such performances partially borrow the spatial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there have been little production of performances like Environmental Theater. Most performances being performed in natural environment take the form of a makeshift stage of an outdoor stage set in an outdoor park and so on. Such performances result in a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 of a play prepared by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 space, because they are mainly focused on one-time or visibl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character of space. As a result, the existing spatial environment is disregarded and the makeshift sta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rves as a formality.
      The thesis aims at looking into how space for outdoor performances of Suwon Hwaseong Fortress Theater Festival is being and will be used,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Found Space’ and ‘Transformed Space’ tha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space of Environmental Theater made by Richard Schechner.
      For the study, there has been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and formative background of Environmental Theater, and the changing process of Environmental Theater performances. Sequently, the study lays down a definition of ‘Environmental Theater’ by means of the its performing characteristics, and largely looks into key spatial concepts like Found Space, Transformed Space and Combined Space of the established environment. Finally, it figured out the connectivity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through the concept and formation of festival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with regard to space for outdoor performances and case of stages used of Suwon Hwaseong Fortress Theatre Festival, on the basis of the spatial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번역하기

      Performing arts are embodied by diverse works that constitute certain designated space so that performing arts are in a desperate need of a specific space where they are actually performed. In this case, space plays a role in displaying and regulating...

      Performing arts are embodied by diverse works that constitute certain designated space so that performing arts are in a desperate need of a specific space where they are actually performed. In this case, space plays a role in displaying and regulating behaviors at once. In the history of Western plays, the theatrical aesthetics, which create realistic stage setting and fantasy, have brought about the era of indoor theatres after the Renaissanc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theatre performances have been mostly performed in indoor space.
      Since the 1960s,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space have been studied for the ‘Environmental Theater’ that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avant-garde trend. The Environmental Theater was the result of doing away with the existing indoor performance hall and pursuing performances in a variety of spaces by presenting new spatial aesthetics. Such spaces turned into a living space full of vividity, which is regarded as a general factor of the environment through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audience and actors. It has emerged as a new type of performing space that leads a change in society and artistic environment but does not converge on the existing genre or concent of art by reflecting a new genre of art such as the use of spac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a performance or the creation of a performance that fits the character of a space.
      In the country, artists influenced by American Experimental Theater since the 1960s have introduced the Environmental Theater, and as local autonomy system took firm root in Korean soil, each local government actively pushed ahead with local or theatre festivals so that increasing outdoor performances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performing space since the 1990s. Even though such performances partially borrow the spatial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there have been little production of performances like Environmental Theater. Most performances being performed in natural environment take the form of a makeshift stage of an outdoor stage set in an outdoor park and so on. Such performances result in a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 of a play prepared by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the space, because they are mainly focused on one-time or visibl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character of space. As a result, the existing spatial environment is disregarded and the makeshift sta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rves as a formality.
      The thesis aims at looking into how space for outdoor performances of Suwon Hwaseong Fortress Theater Festival is being and will be used,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Found Space’ and ‘Transformed Space’ tha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space of Environmental Theater made by Richard Schechner.
      For the study, there has been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 and formative background of Environmental Theater, and the changing process of Environmental Theater performances. Sequently, the study lays down a definition of ‘Environmental Theater’ by means of the its performing characteristics, and largely looks into key spatial concepts like Found Space, Transformed Space and Combined Space of the established environment. Finally, it figured out the connectivity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through the concept and formation of festival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with regard to space for outdoor performances and case of stages used of Suwon Hwaseong Fortress Theatre Festival, on the basis of the spatial concept of the Environmental Thea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범위와 방법 4
      • 2.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의 개념과 변천과정 6
      • 2.1 환경연극의 개념과 형성배경 6
      • 1.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2. 연구범위와 방법 4
      • 2.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er)의 개념과 변천과정 6
      • 2.1 환경연극의 개념과 형성배경 6
      • 2.2 환경연극의 공연사적 변천과정 15
      • 3. 리차드 셰크너(Richard Schechner)의 환경연극 공간 35
      • 3.1 공연특성과 개념설정 35
      • 3.2 공간의 변형 42
      • 3.3 발견공간 (Found Space) 48
      • 3.4 변형공간 (Transformed Space) 50
      • 3.5 융합공간 (Combined Space) 53
      • 4. 수원화성(華城)국제연극제의 공연 공간 57
      • 4.1. 공연축제의 개념과 배경 59
      • 4.1.1 공연축제의 개념 59
      • 4.1.2 공연축제의 의의와 배경 63
      • 4.2 수원화성국제연극제의 야외 공연 공간 67
      • 4.2.1 수원화성의 공간별 특징과 활용 68
      • 4.2.2 발견공간 (Found Space) 74
      • 4.2.3 변형공간 (Transformed Space) 79
      • 4.2.4 융합공간 (Combined Space) 80
      • 4.3 소결 85
      • 5. 결론 90
      • 참고문헌 96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