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경제 시스템과 관련 비즈니스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주관적 가치인식 및 행동적 특성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4개의 유형별 특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6572
-
2015년
Korean
공유경제 ;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 Sharing Economy ; Creating Shared Value ; Value Perception ; Service Model ; Maket Segmentation ; Q Methodology ; Subjectivity Study ; Hybrid Research ; 공유경제 서비스 ; 공유가치 ; 가치인식 ; 스키마 ; 주관성 ; Q방법론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 에어비앤비 ; 집카 ; 소셜 네트워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경제 시스템과 관련 비즈니스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주관적 가치인식 및 행동적 특성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4개의 유형별 특징...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경제 시스템과 관련 비즈니스에 대한 한국인 소비자의 주관적 가치인식 및 행동적 특성 유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4개의 유형별 특징을 발견하여 해석적 관점에서 이론적 정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은 창조경제라는 정책적 동인과 소셜 네트워킹 기반의 사회문화적 트렌드 변화에 힘입어 산업적으로 공유경제 프레임의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 학술적 연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주제에 대한 응답자들의 주관성에 기초한 자결적 정의를 토대로 유형별 가치인식의 스키마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총 40개의 Q표본을 구성하여 P표본들의 소팅을 통해 유형화 한 집단들은 제1유형(사회지향 가치인식 형), 제2유형(월드가든 가치인식 형), 제3유형(실리추구 가치인식 형), 제4유형(보수적 가치인식 형)으로 명명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consumer's perceptual schemata typologi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business and service value based on sharing economy frame. For this, by applying Q methodology, this study prop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consumer's perceptual schemata typologi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business and service value based on sharing economy frame. For this, by applying Q methodology, this study proposes theoretical definitions of four differentiated typologies derived from results of analysis in a interpretive perspective. Recently, in industrial area, socio-cultural frame and market of sharing economy are expanding rapidly due to the impact of ‘the creative’ government policies and social networking infrastructure in Korea. It is only a short time since most of sharing economy-themed precedent studies have been kicked into high gear. This study is in-depth focused on discovering unique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ubjectivity schemata based on their 'internal operant definitions' on the topic. Consequently, we discovered four consumer groups named as Type 1 ‘Social-oriented’, Type 2 ‘Walled-garden oriented’, Type 3 ‘Utilitarian-oriented’, and Type 4 ‘Conservative-ori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