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仙道와 중국의 道敎에 나타난 삼분사유가 지닌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선도의 삼분사유는 氣論을 바탕으로 한다. 「一→三」의 분화과정에서 보이는 三은 一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08588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59(2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仙道와 중국의 道敎에 나타난 삼분사유가 지닌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선도의 삼분사유는 氣論을 바탕으로 한다. 「一→三」의 분화과정에서 보이는 三은 一이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仙道와 중국의 道敎에 나타난 삼분사유가 지닌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선도의 삼분사유는 氣論을 바탕으로 한다. 「一→三」의 분화과정에서 보이는 三은 一이 갖는 세 가지 양태이다. 도교의 삼분사유도 선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론을 바탕으로 해서 작동한다. 氣는 「一→二→三」의 과정을 거쳐 분화하며, 一ㆍ二ㆍ三은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 근원적인 기가 변성한 것, 즉 元氣의 세 가지 양태이다. 「一→二→三」의 분화과정은 원기의 자기전개를 말하는 것으로서 선도에 보이는 「一→三」의 분화와 다르지 않다. 三一論과 바陽論 모두 기론에 속하므로 운동ㆍ변화하는 기라는 관념으로부터 세계의 역동성과 분화의 연속성을 담보한다. 다만 삼일론은 음양론에 비해 사물들 사이의 연속감을 보다 잘 표현한다는 장점이 있다. 『雲?七籤』에 대한 분석을 통해볼 때 중국 도교와 한국 선도 사이에는 부인할 수 없는 상동성이 있다. 양자에는 삼분사유가 관류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老子"
3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4 김성환, "한국도교의 자연관" 23 :
5 杜維明, "존재의 연속성 : 중국의 자연관 in: 자연 그 동서양적 이해" 종로서적 1989
6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4
7 안동준, "북방계 신화의 신격유래와 도교신앙" 21 : 2004
8 우실하,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 소나무 2007
9 張立文, "기의 철학" 예문서원 2004
10 안동준, "고조선 지역의 무교가 중원 도교문화에 미친 영향" 26 : 2007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老子"
3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4 김성환, "한국도교의 자연관" 23 :
5 杜維明, "존재의 연속성 : 중국의 자연관 in: 자연 그 동서양적 이해" 종로서적 1989
6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4
7 안동준, "북방계 신화의 신격유래와 도교신앙" 21 : 2004
8 우실하,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 소나무 2007
9 張立文, "기의 철학" 예문서원 2004
10 안동준, "고조선 지역의 무교가 중원 도교문화에 미친 영향" 26 : 2007
11 "雲 七籤"
12 김일권, "道敎의 宇宙論과 至高神 觀念의 交涉 硏究" 한국종교학회 1999
13 "神理大全"
14 "桓檀古記"
15 "周易"
16 김낙필, "全秉薰의 천부경 이해" 1 : 2006
17 민영현, "中國道家와 道敎 그리고 韓國 仙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국학연구원 1 : 125-167, 2006
18 "三一神誥"
19 민영현, "「蘇塗經典本訓」에 나타난 三․一의 의미맥락(context)과 天符經의 철학사상" 국학연구원 3 : 67-105,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66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