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식생은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와 자연환경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특성과 하천식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
하천식생은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와 자연환경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특성과 하천식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산천에 시험조사구간을 설정하여 하도수리학 관점에서 하도내 식생분포 특성을 조하였다. 조사결과, 주요 하도내 식생은 환삼덩굴, 줄, 갈대, 달뿌리풀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시험조사구간의 하도 특성인 홍수량, 부유사량, 토양특성, 하상재료 등을 조사하였다. 금년 홍수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고, 하천내 토양은 약산성을 나타냈으며, 하상재료는 세사와 굵은 모래가 혼합된 토양이었다. 3) 홍수후 단면변화, 고수부지 퇴적층 두께, 유향 등을 조사하였다. 홍수에 의하여 저수로 일부구간이 세굴되고 사주가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수부지 하상재료 퇴적은 전반적으로 부유사가 약 1cm 정도 퇴적되었고, 저수로 부근에는 하상재료가 부상해서 쌓인 것으로 세사 및 모래가 많이 퇴적되었다. 4) 식생을 고려하여 2차원 모형으로 수리특성을 모의했으며, 이를 기초로 유속과 유향을 비교해 보면 유향은 주로 저수로 중심부를 따라 흐르고, 고수부지 식생구역에서는 유속이 느려진다. 그리고 식생이 최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적 자료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보다 폭넓고 지속적인 기초자료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이 실시되면, 하천식생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도의 하천관리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