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도 특성과 식생의 상관관계 분석: 문산천 시험조사결과 분석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Analysis results of Munsan River Investigation Rea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ream vegetation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to assess flood control and natural environment. We collected and accumulated a basic date about vegetation and channel characteristics,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1) The Munsan stream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stream and investigated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ithin channel. Major plants were Humulus japonim Sieb, Zizania latifolia Turcz, phragmites communis Trinius and phragmites japonica Steud 2) Flood discharge, suspended sediment, soil properties and bed material channel were investigated for analyzing channel characteristics. Flood discharge had relatively low level, soil acidity was measured to be weak acid and bed material consisted of fine sand and coarse sand. 3) After flood, cross-sectional change, deposit depth and flow direction were investigated. We found that flood cause to scour the low flow channel and to move a bar. 4) We simulated a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hannel using two dimensional model based on vegetation. As a results of it, Flow direction move along the center of low flow channel and flow velocity decreased in vegetation zone. Therefore, vegetation is regarded to sccelerate the sediment deposition. Hereafter, provided that a followed data collection, accumulation and analysis using hydraulic model are performed successively, we can understand and forecast accurately the hydraulic channel alteration due to veget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igh technology on stream management.
      번역하기

      Stream vegetation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to assess flood control and natural environment. We collected and accumulated a basic date about vegetation and channel characteristics,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1) The Munsan stream was s...

      Stream vegetation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to assess flood control and natural environment. We collected and accumulated a basic date about vegetation and channel characteristics, then analyzed their relationship. 1) The Munsan stream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stream and investigated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ithin channel. Major plants were Humulus japonim Sieb, Zizania latifolia Turcz, phragmites communis Trinius and phragmites japonica Steud 2) Flood discharge, suspended sediment, soil properties and bed material channel were investigated for analyzing channel characteristics. Flood discharge had relatively low level, soil acidity was measured to be weak acid and bed material consisted of fine sand and coarse sand. 3) After flood, cross-sectional change, deposit depth and flow direction were investigated. We found that flood cause to scour the low flow channel and to move a bar. 4) We simulated a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hannel using two dimensional model based on vegetation. As a results of it, Flow direction move along the center of low flow channel and flow velocity decreased in vegetation zone. Therefore, vegetation is regarded to sccelerate the sediment deposition. Hereafter, provided that a followed data collection, accumulation and analysis using hydraulic model are performed successively, we can understand and forecast accurately the hydraulic channel alteration due to veget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igh technology on stream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하천식생은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와 자연환경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특성과 하천식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산천에 시험조사구간을 설정하여 하도수리학 관점에서 하도내 식생분포 특성을 조하였다. 조사결과, 주요 하도내 식생은 환삼덩굴, 줄, 갈대, 달뿌리풀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시험조사구간의 하도 특성인 홍수량, 부유사량, 토양특성, 하상재료 등을 조사하였다. 금년 홍수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고, 하천내 토양은 약산성을 나타냈으며, 하상재료는 세사와 굵은 모래가 혼합된 토양이었다. 3) 홍수후 단면변화, 고수부지 퇴적층 두께, 유향 등을 조사하였다. 홍수에 의하여 저수로 일부구간이 세굴되고 사주가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수부지 하상재료 퇴적은 전반적으로 부유사가 약 1cm 정도 퇴적되었고, 저수로 부근에는 하상재료가 부상해서 쌓인 것으로 세사 및 모래가 많이 퇴적되었다. 4) 식생을 고려하여 2차원 모형으로 수리특성을 모의했으며, 이를 기초로 유속과 유향을 비교해 보면 유향은 주로 저수로 중심부를 따라 흐르고, 고수부지 식생구역에서는 유속이 느려진다. 그리고 식생이 최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적 자료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보다 폭넓고 지속적인 기초자료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이 실시되면, 하천식생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도의 하천관리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번역하기

      하천식생은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와 자연환경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특성과 하천식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

      하천식생은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와 자연환경의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 특성과 하천식생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산천에 시험조사구간을 설정하여 하도수리학 관점에서 하도내 식생분포 특성을 조하였다. 조사결과, 주요 하도내 식생은 환삼덩굴, 줄, 갈대, 달뿌리풀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시험조사구간의 하도 특성인 홍수량, 부유사량, 토양특성, 하상재료 등을 조사하였다. 금년 홍수량은 비교적 적은 편이고, 하천내 토양은 약산성을 나타냈으며, 하상재료는 세사와 굵은 모래가 혼합된 토양이었다. 3) 홍수후 단면변화, 고수부지 퇴적층 두께, 유향 등을 조사하였다. 홍수에 의하여 저수로 일부구간이 세굴되고 사주가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수부지 하상재료 퇴적은 전반적으로 부유사가 약 1cm 정도 퇴적되었고, 저수로 부근에는 하상재료가 부상해서 쌓인 것으로 세사 및 모래가 많이 퇴적되었다. 4) 식생을 고려하여 2차원 모형으로 수리특성을 모의했으며, 이를 기초로 유속과 유향을 비교해 보면 유향은 주로 저수로 중심부를 따라 흐르고, 고수부지 식생구역에서는 유속이 느려진다. 그리고 식생이 최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적 자료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보다 폭넓고 지속적인 기초자료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이 실시되면, 하천식생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고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도의 하천관리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시험조사구간의 하도조사
      • 1. 서 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2. 시험조사구간의 하도조사
      • 2.1 연구조사 대상하천 선정
      • 2.2 하도현황 조사
      • 3. 하도내 식생분포
      • 3.1 배경
      • 3.2 하도내 식생분포 조사항목과 조사방법
      • 3.3 하도내 식생분포 특성
      • 3.4 하류역의 조사구간에서 홍수후 입지환경과 식생과의 관계
      • 3.5 하도내 식생분포 특성
      • 4. 홍수시 조사구간의 수리특성 분석
      • 4.1 2차원 모형(RMA2)의 특성 및 입력 자료
      • 4.2 RMA2 모형에 의한 수리특성 분석
      • 5. 하도특성과 식생의 상관관계
      • 5.1 하도형태별 고수부지 퇴적 특성
      • 5.2 입지조건에 따른 식생의 분포특성
      • 5.3 식생분포와 고수부지 퇴적에 관한 수리검토
      • 6.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 6.1 결 론
      • 6.2 향후 연구방향
      • 참고문헌
      • 부록
      • 서지자료
      • 수자원분야 기본연구과제 목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