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통일교육의 변천과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1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transitions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and governance thereof, and seeking direction for new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necessary for the modified awareness of unification and social phenomena following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not only for schools but the general public began to be activated since the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Accordingly, diversified means of activating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had been proposed.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means of advancing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among such diversified mea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unlike the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 for which the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nd schools play the principal role, more diversified range of partie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civil groups, corporations and clubs are involved with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further advance 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establish governance system for gener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related policies by establishing consensus and gathering all available resources for peaceful unification.
      Third, while civil social activities and government policies in the area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had achieved marked progresses, advances in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system are still quite sluggish. Overall activities of civic society in Korea underwent rapid growth in terms of their scales and capabilities with the onset of the era of direct democracy immediatel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system of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in 1987. From this perspective, establishment of private-public sector governance system for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currently remains inadequate in comparison to the advances made for civic society activities and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can be deemed necessary in creating unification education system much more appropriate for the matured democratic civic society.
      Fourth, another reason for the importance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is that the topic of unification that embraces the era and history is a social transition that is not only for the benefits only of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but also capable of imparting influences on all the constitue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s it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Germany, unification does not only signify integration at the domain of regime but understanding and union at the domain of civic society is also very important. As such, it is necessary to seek channels for socio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he residents of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can understand and live with each other by pursuing common values. Since peace and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is the demand of the current era for which all the people in our society are the subjects and participate in, it is extremely urgent to activate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and formulate consensus for unification.
      Mature private-public governance is required for the advancement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civic groups, etc. to form alliance to deduce and proliferating the detail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reaching social agreement (social consensus) throughout our soc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significance of Korean type Beutelsbacher consensus
      For this purpose, there is a need to pursue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with high levels of role division,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diversified principals. Moreover, unlike the pa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ivate-public cooperation structure with high levels of role division,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diversified principals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new unification environment and unification campaign related maturity of civic society. Accordingly, there is a necessary for civic societies including civic organization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etc. and various associations to shar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ursue cooperative governance with the governmen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transitions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and governance thereof, and seeking direction for new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necessary for the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transitions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and governance thereof, and seeking direction for new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necessary for the modified awareness of unification and social phenomena following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not only for schools but the general public began to be activated since the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Accordingly, diversified means of activating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had been proposed.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means of advancing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among such diversified mea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unlike the unification education at school for which the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and schools play the principal role, more diversified range of parties including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civil groups, corporations and clubs are involved with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further advance unification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establish governance system for gener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related policies by establishing consensus and gathering all available resources for peaceful unification.
      Third, while civil social activities and government policies in the area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had achieved marked progresses, advances in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system are still quite sluggish. Overall activities of civic society in Korea underwent rapid growth in terms of their scales and capabilities with the onset of the era of direct democracy immediatel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system of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in 1987. From this perspective, establishment of private-public sector governance system for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currently remains inadequate in comparison to the advances made for civic society activities and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can be deemed necessary in creating unification education system much more appropriate for the matured democratic civic society.
      Fourth, another reason for the importance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is that the topic of unification that embraces the era and history is a social transition that is not only for the benefits only of residents of specific regions but also capable of imparting influences on all the constitue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s it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Germany, unification does not only signify integration at the domain of regime but understanding and union at the domain of civic society is also very important. As such, it is necessary to seek channels for socio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he residents of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can understand and live with each other by pursuing common values. Since peace and unification in Korean Peninsula is the demand of the current era for which all the people in our society are the subjects and participate in, it is extremely urgent to activate regional unification education and formulate consensus for unification.
      Mature private-public governance is required for the advancement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civic groups, etc. to form alliance to deduce and proliferating the detail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reaching social agreement (social consensus) throughout our soc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e significance of Korean type Beutelsbacher consensus
      For this purpose, there is a need to pursue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with high levels of role division,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diversified principals. Moreover, unlike the pa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ivate-public cooperation structure with high levels of role division, autonomy and participation of diversified principals in order to reflect the changes in the new unification environment and unification campaign related maturity of civic society. Accordingly, there is a necessary for civic societies including civic organization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etc. and various associations to shar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pursue cooperative governance with the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분석 4
      • 제3절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 16
      • 1. 연구의 방법 1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분석 4
      • 제3절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 16
      • 1. 연구의 방법 16
      • 2. 연구의 범위와 논문의 구성 17
      • 제2장 사회통일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적용 19
      • 제1절 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19
      • 1. 통일교육의 개념 19
      • 2. 통일교육의 목표 24
      • 제2절 사회통일교육 개념과 필요성 29
      • 1. 사회통일교육의 개념과 등장 29
      • 1) 사회교육 정의와 교육의 법적 근거 29
      • 2) 사회통일교육 개념과 근거 41
      • 2. 통일의식과 사회통일교육의 필요성 58
      • 1) 2030 통일의식 58
      • 2) 국민통일의식 64
      • 제3절 거버넌스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 68
      • 1. 거버넌스 개념 69
      • 2. 거버넌스 등장 배경과 유형 73
      • 3. 시민사회 이해 84
      • 4.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95
      • 제3장 사회통일교육 변천 102
      • 제1절 광복이후1980년대: 반공교육 시기 103
      • 1. 광복이후1980년대 남북한 관계 104
      • 2. 광복이후1980년대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10
      • 제2절 1990년대: 사회통일교육과 거버넌스 형성기 117
      • 1. 1990년대 남북한 관계 117
      • 2. 1990년대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19
      • 제3절 2000년대 이후: 사회통일교육과 거버넌스 발전기 122
      • 1. 2000년대 이후 남북한 관계 122
      • 2.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24
      • 제4장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129
      • 제1절 통일교육지원법의 의미와 기본 원칙 130
      • 제2절 사회통일교육 주체별 거버넌스 현황 134
      • 1. 통일교육협의회 회원단체 134
      • 2. 지역통일교육센터 150
      • 3. 통일관 158
      • 제3절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문제점 162
      • 1. 사회통일교육 주체 간 네트워크 부재 162
      • 2. 통일교육 내용의 사회적 합의 부재 164
      • 제5장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168
      • 제1절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제 168
      • 1. 사회통일교육 지원법의 실효성 확대 168
      • 2. 사회통일교육 분야의 민관 협력 개선 173
      • 제2절 사회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177
      • 1. 통일교육지침서 내용의 대중화 177
      • 2. 2030 통일공감대 모색 179
      • 3. 평화통일 퍼실리테이터 양성 187
      • 4. 통일국민협약 성격의 통일교육 사회적 합의 190
      • 5.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와 연대 193
      • 제6장 결론 2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저, 정원식, 이영덕, 김종서, 최신 교육학개론(경기: 교육과학사, , 2009

      2. 편저, 오길수, 은재호,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서울: 대영문화사, , 2009

      3. 북한 현대사, 김성보,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 2004

      4. 두 개의 한국, 오버더퍼, (경기: 길산, , 2008

      5. NGO란 무엇인가, 김동춘,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 2000

      6.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2019

      7. B.J.젤리거(공편), 박재창, 민주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서울 : 도서 출판 오름, , 2007

      8. 『교육학개론』, 김두범, 박영희, 권기, 교육학개론(서울: 학이당, , 2011

      9. 『평생교육론』, 김문섭, 김규태, 김진숙, 김문섭, 김진숙, 김규태, 평생교육론(경기: 양성원, , 2019

      10. 거버넌스 신드롬, 이명석,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17

      1. 공저, 정원식, 이영덕, 김종서, 최신 교육학개론(경기: 교육과학사, , 2009

      2. 편저, 오길수, 은재호, 한국의 협력적 거버넌스(서울: 대영문화사, , 2009

      3. 북한 현대사, 김성보,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 2004

      4. 두 개의 한국, 오버더퍼, (경기: 길산, , 2008

      5. NGO란 무엇인가, 김동춘,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 2000

      6.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2019

      7. B.J.젤리거(공편), 박재창, 민주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서울 : 도서 출판 오름, , 2007

      8. 『교육학개론』, 김두범, 박영희, 권기, 교육학개론(서울: 학이당, , 2011

      9. 『평생교육론』, 김문섭, 김규태, 김진숙, 김문섭, 김진숙, 김규태, 평생교육론(경기: 양성원, , 2019

      10. 거버넌스 신드롬, 이명석,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2017

      11. 거버넌스의 이해, 김석준, (서울: 대영문화사, , 2002

      12. 『2010 통일백서』, 통일부, 통일부, 통일백서(서울 : 통일부, 2011), , 2010

      13. 『2021 통일백서』, 통일부, 통일백서(서울 : 통일부, 2021), , 2021

      14. 『통일백서 2003』, 통일부, 통일부,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3), , 2003

      15. 『통일백서 2005』, 통일부, 통일백서 (서울 : 통일부, 2005), , 2005

      16. 『2018 북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북한이해(서울: 통일교육원, 2018), , 2018

      17. 『통일백서 2002』(, 통일부, 통일부,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2), , 2002

      18. 통일교육원 40년사,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원 40년사(서울 : 통일교육원, , 2012

      19.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2018

      20. 대한민국 컬처코드, 주창윤, (서울: 21세기북스, , 2010

      21. 자비없네 잡이없어, 김민아, (서울: 서해문집, , 2018

      22. 민주 정치와 시민교육, 서현진, 이수정, (서울 : 백산서당, , 2020

      23. 북한 문제와 남남갈등, 마인섭,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 2012

      24. 『2021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서울: 국립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2021), , 2021

      25. 『2020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서울: 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2020), , 2020

      26. 『남북관계 지식사전』, 통일부 통일교육원, 남북관계 지식사전(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2015

      27.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한국자유총연맹 민주시민교육센터, 민주주의와 시민사회(서울: 서경문화, , 1999

      28.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황선옥,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생각 나누기」 (민주시민교육 활동가 역량강화 부록 자료집, , 2020

      29. 『2001 통일교육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지침서(서울: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0), , 2001

      30. 남남갈등 해소방안 연구, 조한범, (서울: 통일연구원, , 2006

      31. 통일교육 개선방안 연구, 황병식, (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 1997

      32. 통일교육의 성립과 과정, 박찬석, (경기 : 한국학술정보, , 2006

      33.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조정아, 통일정책연구제16권 2호(통일연구원, , 2007

      34.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박상필, (파주: 한울, , 2013

      35. 『2009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 지침서(서울 : 통일교육원, 2009), , 2009

      36. 『통일교육기본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기본지침서(서울 : 통일부정책실, , 2000

      37. 『통일교육기본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기본지침서(서울 : 통일 통일정책실, ∼2004), , 2000

      38. 『통일교육기본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기본지침서(서울 :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8), , 2005

      39. 『사회통일교육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사회통일교육 지침서(서울 : 통일교육원, , 2000

      40. 『통일교육기본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기본지침서(서울 : 통일부, , 2001

      41.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 박광기,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2012

      42.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 Sherry R. Arnstein, 35:4, , 1969

      43.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모델, 박상필, (서울: 대영문화사, , 2018

      44. 세계의 분단사례 비교연구, 전득주, (서울: 푸른길, , 2004

      45. (공동연구원 이영재 김성진), 박영선, 「한국 시민사회의 연대 운동 진단: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를 중심으로」(서울: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 2021

      46. ,통일의식조사: 통일과 평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시대와 세대 앞에 서다」(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 2021

      47. 『2018 통일교육 운영계획』(,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 운영계획(서울: 통일부, 2018), , 2018

      48. 지역통일교육의 활성화 방안, 최현호, 박찬석, 통일전략제12권 3호 (한국통일전략학회, , 2012

      49. 탈냉전시대의 통일교육 방향, 고유환, 안보연구제25호(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 1995

      50. 통일과 민주시민교육의 과제, 이준호, 사회행정연구제20권(안양대 사회행정연구소, , 2004

      51. 독일 민주시민교육의 교수법,, 원준호, 박재창, B.J.젤리거(공편), 민주 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서울 : 도서출판 오름, , 2007

      52.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박찬석, 도덕윤리과교육제56권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2017

      53. 통일교육지침서: 국민의 정부, 통일부, 통일부, 통일교육 기본방향(서울: 통일부, , 1998

      54. 「통일교육지침서 1998∼2020」.,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부 통일교육원, , 1998

      55.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 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서울: 통일교육원, , 2018

      56.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구현방안, 박광기, (서울 : 통일연구원, , 2005

      57. 인문학으로 다가가는 통일교육, 오기성, (경기: 양성원, , 2016

      58. 『2021년도 통일교육 시행계획』, 통일부 통일교육원, 년도 통일교육 시행계획(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21), , 2021

      59. 『남남갈등 진단 및 해소방안』,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 남남갈등 진단 및 해소방안(서울: 경 남대 출판부, , 2004

      60. 통일교육의 로컬리티 관점 개발, 임석준, 김현정, 강동완, 인문사회과학연 구제16권 1호(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2015

      61. 통일교육지원법 개선 방안 연구, 김창환, 통일교육연구제3호(통일 교육학회, , 2003

      62. 호남지역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노찬백, 통일문제 연구제20권 2호 (조선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 2005

      63. 민주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강영혜, (서울 : 한국교육개발연구원, , 2011

      64. 독일의 국가통일과 민주시민교육, 정창화, 한국사회과학논총제3권 1호(한독사회과학회, , 2020

      65. The Future of Governing : Four Emergin Models, B . Guy Peters, , 1996

      66. 「각 국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선거연수원, 「각 국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해외연구관 2014-7호 보고서, , 2014

      67. 민주시민교육의 논리와 발전전망,, 심익섭, 박재창, B.J.젤리거(공편), 민주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서울 : 도서출판 오름, , 2007

      68. 사회통일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김창환, 광복70주년 통일교육이 미래다 포럼 자료집(통일교육협의회, , 2015

      69. 통합대비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미경,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 대회 자료집(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2018

      70. , 『2018년 2030세대 통일의식 조사』, 통일교육협의회, 년 2030세대 통일의식 조사(2018, 12), , 2018

      71. 『독일통일 총서: 통일교육 분야』, 통일부, 독일통일 총서: 통일교육 분야(서울 : 통일부, , 2016

      72. 참여와 소통에서 권한과 협력으로,, 유창복, 도시문제제53권 제 597호(대한지방행정공제회, , 2018

      73. 한국의 통일교육 변천에 관한 연구, 박찬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 1998

      74.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민주시민교육, 이동기, (서울 : 도서출판 북멘토, , 2018

      75. 『국민의 정부 통일교육 기본방향』, 통일부, 국민의 정부 통일교육 기본방향(서울 : 통일부, , 1998

      76. 민족 통합을 위한 사회통일교육방안, 김한종, 사회과학교육연구제1 권 7호(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 2004

      77. 사회통일교육의 쟁점과 활성화 방향, 박병철, 김형빈, 통일전략제14권 2호(한국통일전략학회, , 2014

      78. The New Governance :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R. A. W. Rhodes, 44:4, , 1996

      79. 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시민교육,, 이승종, 박재창, B.J.젤리거(공편), 민주시민교육의 전략과 과제(서울 : 도서출판 오름, , 2007

      80.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발전 방향 연구, 김종수, 북한학연구제7권 제2호(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2011

      81. 사회통일교육 뉴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박소연,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8

      82. 대학통일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김종수, 북한학연구제 11권 제1호(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2015

      83. 소통을 디자인하는 리더, 퍼실리테이터, 채홍미, 주현희, (서울: 아이앤유, , 2012

      84. 통일교육 지원법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음선필, 입법학 연구제 15호 1권(한국입법학회, , 2018

      85. 통일교육의 현실과 과제: 사회통일교육, 신효숙, 통일한국(평화문제 연구소, , 2001

      86.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민주시민교육』, 심성보, (서울: 북멘토, , 2018

      87. 사회통일교육에 대한 분석과 활성화 방안, 김창희, 통일전략제7권 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 2007

      88. 사회통일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관한 연구, 정경환, 통일전략제14권 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 2014

      89. 이타적 욕구 충족 공간으로서의 시민사회, 박상필, 한국비영리연구 제2호(한국비영리학회, , 2010

      90. 한반도 평화체제 이행기 통일교육의 과제, 한만길, 통일교육연구 제15권 2호(통일교육학회, , 2018

      91.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서대숙, (서울: 을유문화사, , 2000

      92. 사회통일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제언, 신희선, 신희선, 신희선, 인문사회과학연구원 제34권(인문사회과학연구소, , 2012

      93. 성인통일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비판적 여구, 전숙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1999

      94. 신세계질서와 국제무대에서의 남북한 협력, 고유환, 통일문제연구 제4권 제4호, , 1992

      95. 독일통일의 쟁점과 한반도 통일에의 시사점, 염돈재, 제주평화연구원 12호(JPI Research Series, , 2011

      96.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배영애, 통일전략제14권 2호(한국통일전략학회, , 2014

      97.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 고정식, 통일지향 교육 패러다임 정립과 추진방안(서울 : 통일 연구원, , 2004

      98.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주민자치역량 강화방안, 김은경, 월간 주민자치 제5권(한국자치학회, , 2016

      99. 사회 통일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오기성, 평화학연구 제10권 1호(세계평화통일학회, , 2009

      100. 통일 전 동, 서독 학교 통일교육의 이념과 실상, 김창환,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8권 1호(한독교육학회, , 2003

      101. 2001∼2002 회원단체 국고지원사업 추진실적보고서, 통일교육협의회, 통일교육협의회, , 2001

      102. 여성의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증적 방안, 황애리, 장인숙, 통일 연구제12권 1호(평화문제연구소, , 2000

      103.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법적 구조에 관한 고찰, 장명봉, 통일문제 연구제1권 4호(평화문제구소, , 1989

      104. 『통일교육: 갈등과 분단을 꿰뚫는 평화의 길찾기, 박찬석, 박찬석, 통일교육: 갈등과 분단을 꿰뚫는 평화의 길찾기 (경기: 인간사랑, , 2003

      105. 민주화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부활과 지속적 발전, 임혁백, 한국국제 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한국국제정치확회, , 2008

      106. 지자체 기반의 사회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 변종헌, 평화학연구 제14권 3호(한국평화통일학회, , 2013

      107. ”집단지성을 활용한 사회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유병희, 집단지성을 활용한 사회통일교육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 2013

      108. 스마트 거버넌스: 디지털 발자국, 시민참여의 혁신, 임지원, (서울: 유원북스, , 2020

      109.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기본 성격과 실천적 의의, 대구대학교부설 평화통일연구소,, 대구대학교부설 평화통일연구소,, 평화통일연구제7권(대구대학교 평화통일연구소, , 1990

      110.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정하윤, 한국민주 시민교육학회보제13권 2호(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 2012

      111. 통일교육에 있어서의 민족, 평화, 시민에 대한 논의, 박찬석, 시민교육 연구제133권 1호(한국사회과교육학회, , 2001

      112. 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9 19공동성명’ 평가와 과제, 고유환, 북한학연 구제1권 1호(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2005

      113.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NGO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영동,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 2005

      114. 한국의 ‘안보/통일 딜레마’와 파생효과 감소방안,, 엄상윤, 세종정책연구, -14(성남: 세종연구소, 2021), , 2012

      115. 지방의 협치(Local Government)와 시민단체의 협치연결망,, 최창현, 한국행정과 정책연구제1권(강원행정학회, , 2003

      116. 세대의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조정아, 통일교육연구제15권 2호(통일교육학회, 2018), , 2030

      117. KEDI 교육정책포럼 겸 KINU 통일교육 쟁점 공론화 토론회, 이갑준,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 2018

      118. KEDI 교육정책포럼 겸 KINU 통일교육 쟁점 공론화 토론회, 조정아,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 2018

      119.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박광기, 大 韓政治學會報제8권 2호(대한정치학회, , 2011

      120. 독일의 정치교육을 통해 본 한국 통일교육의 방향 정립, 박광기, 대 한정치학회보제18권 2호(대한정치학회, , 2001

      121. 스마트도시사업 단계별 시민참여 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남광우, 박정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24권 2호(한국지리정보학회, , 2021

      122.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민주시민교육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이경희, 한국동북아논총제15권 1호(한국동북아학회, , 2010

      123. 사회협약형 통일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20대 국회를 중심으로, 김종수, 평화학연구제17권 제4호(한국평화연구학회, , 2016

      124. 참여와 협력의 거버넌스: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유소영,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국제관리학과 박사논문, , 2013

      125. 통일대비 학교통일교육 활성화 방안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조휘제,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박사학위 논문, , 2007

      126. 한국의 민족 정체성과 통일을 위한 열린 민족 개념에 관한 연구, 이진영, 통일연구제15권 1호(연세대 통일연구소, , 2001

      127. 통일교육의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지도세력의 참여를 위한 시론, 나석권,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 1971

      128.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보고』, 장의선, 장의선,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보고 (충북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20

      129. 통일교육지원법 내용과 추진방향 : 통일교육은 한반도의 미래교육, 진희관, 통일한국제183호(평화문제연구소, , 1999

      130. 사회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고성호,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2권 2호(한국정치외교사학회, , 2001

      131. 민주화, 국제화 그리고 통일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전득주, 한국정치학보제29호(한국정치학회, , 1995

      132.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 적 연구, 강병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박사논문, , 2011

      133. 시민(citizen)과 시민권(citizenship)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년 6월 민주항쟁, 정상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술토론회 자료집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 1987

      134. 통일교육지원법 활성화 방안 : 통일교육에 대한 국민적 합의창출 필요, 진희관, 통일한국제183호(평화문제연구소, , 1999

      135.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과 NGO의 정책과정 참여: 참여정부를 중심으로,, 박재창, 한국정책과학학회보제1권 제2호(한국정책과학 학회, , 2007

      136. 사회통일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 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정희태, 윤리연구제1권 82호(한국윤리학회, , 2011

      137.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 민주시민교육으로 지역사회를 재 구성하자,, 이필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참여단체 워크숍 자료집, , 2020

      138. 참여의 사다리로 본 민관협치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균, 김찬수, NGO연구 제11권 2호(한국NGO학회, , 2018

      139. KEDI 교육정책포럼 겸 KINU 통일교육 쟁점 공론화 토론회 -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김정원, (KEDI 연구보고서, , 2018

      140. 지역발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분 당-죽전 도로 연결을 중심으로, 민보경, 서순탁, 지역사회개발연구제 30권 제2호(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 2005

      141. 예먼과 독일의 통일사례 비교와 시사점 : 통합 합의과정 및 통 일방식을 중심으로, 김용욱,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28호 1권(한국정 치외교사학회, , 2006

      142. 학교 통일교육과 사회 통일교육의 연계성 분석: ‘통일교육지침서’ 를 중삼으로, 김홍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2호(학습자중 심교과교육학회, , 2018

      143. 통일의식 조사를 통한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전라북도 사 례를 중심으로, 윤향미, 오재록, 입법과 정책제7권 1호(국회입법조사처, , 2015

      144. 민주시민 수업을 둘러싼 마을교육공동체 담론의 결합 : 사회과 마을 수업의 가능성, 서용선, 한국사회과학수업학회 학술대회지 년 13호(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9), , 2019

      145. 협치는 어떻게 작동되나 : 다당제-분점정책정책에서의 국정 협 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허민,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과 박 사학위논문, , 2019

      146. 왜 그리고 어떤 민주시민교육인가?: 한국형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연구, 장은주, (경기 : 경기도연구원, , 2014

      147. 협력적 거버넌스의 책무성 확보방안 연구-주민자치센터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양현모, 은재호,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 2009

      148. 지역통일교육 관련자의 통일인식에 따른 지역 사회통일교육 활 성화 방안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강명진,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149. 통일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 민족공동체의식에 관련된 남북한 교육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장경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논문, , 1993

      150.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서울 : 통일연구원, 한국자유총연맹 민주시민교육센터, 민주시민교육의 방법과 실제, 한만길, (서울: 양동문화사, 2000), ,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