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8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Ⅱ.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
      • Ⅲ. 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 Ⅳ.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 국문초록
      • I. 머리말
      • Ⅱ.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
      • Ⅲ. 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 Ⅳ.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 V. 인접 분야 역사의 시대구분
      • Ⅵ.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
      • Ⅶ.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
      • Ⅷ. 맺음말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복화, "해방 이후 한국 아동전집 출판에 관한 역사적 고찰:아동전집 출판기획을 중심으로"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2000

      2 최 준, "한제국시대의 출판연구-출판문화와 한국 근대화에 관하여" 서울중앙대학교 법정대학 학생회 17 : 1963

      3 김희락, "한국출판의 시대구분론"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언론연구소 1 : 1983

      4 전영표, "한국출판의 사적 연구-개화기 및 일제기를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1981

      5 김희락, "한국출판사 연구(1, 2)"

      6 김영찬, "한국출판사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1983

      7 안춘근, "한국출판문화사대요" 청림출판 1987

      8 백운관, "한국출판문화변천사" 타래 1992

      9 안춘근, "한국출판문화론" 범우사 1981

      10 "한국출판문화 1,300"

      1 정복화, "해방 이후 한국 아동전집 출판에 관한 역사적 고찰:아동전집 출판기획을 중심으로"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2000

      2 최 준, "한제국시대의 출판연구-출판문화와 한국 근대화에 관하여" 서울중앙대학교 법정대학 학생회 17 : 1963

      3 김희락, "한국출판의 시대구분론"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언론연구소 1 : 1983

      4 전영표, "한국출판의 사적 연구-개화기 및 일제기를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1981

      5 김희락, "한국출판사 연구(1, 2)"

      6 김영찬, "한국출판사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1983

      7 안춘근, "한국출판문화사대요" 청림출판 1987

      8 백운관, "한국출판문화변천사" 타래 1992

      9 안춘근, "한국출판문화론" 범우사 1981

      10 "한국출판문화 1,300"

      11 주상희, "한국철학서적출판에 대한 실태분석:해방이후부터 1990년까지"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1991

      12 변영희, "한국의 출판정책" 1991

      13 최 준, "한국의 출판연구(1922~1945년)" 중앙대학교 9 : 1964

      14 최 준, "한국의 출판연구(1910~1923년)"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 (1) : 1964

      15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① 원시고대편" 풀빛 1997

      16 김민환, "한국언론사" 나남 1996

      17 이기백, "한국사의 시대구분문제 in: 한국사시대구분론" 을유문화사 1995

      18 홍기삼, "한국문학사 시대구분론" 12 : 1989

      19 이동성, "한국 출판정책 in: 현대출판론" 세계사 1997

      20 이종국, "한국 출판사 연표(2)" 한국출판연구소 1993

      21 이종국, "한국 출판사 연표" 한국출판연구소 1991

      22 이임자, "한국 출판과 베스트셀러" 경인문화사 1992

      23 정진석, "한국 언론매체의 역사 in:언론학원론" 범우사 1994

      24 이종국, "한국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 2008

      25 민병덕, "출판학서설" 1 : 1969

      26 이종국, "출판연구와 출판평설" 일진사 2006

      27 김근수, "출판" 서울특별시사 편찬위원회 3 : 1979

      28 부길만, "책의 역사" 일진사 2008

      29 이두영, "유형별로 본 우리 출판 100년 in: 우리출판 100년" 현암사 2001

      30 로버트 V. 다니엘스, "역사학입문" 지식산업사 1993

      31 E. 베른하임, "역사학입문" 범우사 1985

      32 문준걸, "역사학습에서 시대구분의 서구중심주의 시각의 문제와 관점의 재고" 105 : 2008

      33 황경미,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서구중심주의 분석과 극복방안" 서강대 교육대학원 2007

      34 차하순, "새로 고쳐 쓴 역사의 본질과 인식" 학연사 2007

      35 안병우, "북한의 한국사 인식(II)" 한길사 1990

      36 이광재, "북한 출판의 사적 고찰" 한국출판연구소 2 : 1990

      37 김영주, "북한 언론의 이론과 실천" 나남 1991

      38 김호일, "근대의 기점에 대한 제설(諸說)의 분석" 한국정신문화원 1995

      39 고덕환, "개화세력사회의 출판연구" 중앙대 대학원 신문방송대학원 1985

      40 哲學史硏究會, "西洋哲學史觀と時代區分" 株式會社 昭和堂 2004

      41 彌吉長光, "江戶時代の出版と人 (彌吉長光著作集 第三卷)" 日外アソシエ-ツ株式會社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