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의식의 문화정치학: 혁명기 러시아 문화와 정신분석운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3년전체) 1917년을 전후하여 1920년대 말까지 러시아에서 벌어진 문화혁명에서 무의식의 문제설정이 차지한 역할과 위상, 기능 등은 아직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정치적·사회적·예술적 입장에서 볼 때 볼셰비키 혁명이 표방하는 이데올로기적 강압이 너무 분명했기에 이데올로기적 의식성을 무시한 채 무의식이라는 비가시적인 개념을 수용하기가 어려웠던 까닭이다.
      그러나 사태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면 해석과 분석의 지평도 변형되며, 지금까지 정당화되던 평가도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혁명기 러시아를 둘러싼 연구관점과 태도가 제도적 변천이나 이데올로기 분석, 정치적 입장 연구로부터 일상과 생활습관, 현실에 대한 무의식적 태도 등으로 바뀌었을 때, 명확한 심리적 태도로서의 의식성보다는 오히려 불투명하고 잠재적인, 역사의 기록과 사회체계 속에 잘 드러나지 않는 무의식적 과정이 조명되는 것이 당연하다. 무의식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버려야 할 게 아니라, 오히려 불투명하기에 의식적 구조들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 사회·문화적 영역들을 보충하고 해명하는 유력한 분석틀로 부각될 수 있다.
      문화연구의 영역에서 무의식에 대한 이러한 관점 변화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는 제도적 강제나 의식화를 통해서만 형성되는 게 아니라 무의식을 경유한 감정적 동일시를 통해서도 달성된다. 이런 감정적 동일시, 동질감을 조직하는 가장 효과적인 장치가 바로 문화라 한다면, 러시아 혁명 초기의 (정권으로부터의) 문화혁명과 (대중적 차원에서의) 문화운동이 한결같이 무의식의 문제를 쟁점화하지 않을 수 없던 배경이 설명된다. 구성주의 건축가인 긴즈부르그의 말을 빌면, 문화는 바로 대중의 욕망과 무의식을 조직화하는 사회적 응축기(social condenser)였던 바, 1920년대 소비에트 러시아의 문화적 변동이 일종의 메타정치학적 관점, 즉 문화정치학(cultural politics)의 관점에서 기술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혁명기 러시아 문화사는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나 이념적 지평 등의 부차적 효과로서 서술될 대상이 아니라, 바로 그 자체로 문화의 정치화, 또는 정치적 문화의 무대로 이해될 만한 타당성을 갖는다. 무의식의 프리즘을 통해, 문화 정치학적 주제로 혁명기 러시아의 문화 변동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이로부터 성립한다.
      당을 비롯하여 진보적 예술운동은 소비에트 문화의 성립 초부터 어떻게 대중의 무의식을 장악할 것인가를 혁명의 제1과제로 삼았다. 소비에트 러시아의 문화정치학을 논의할 때, 무의식은 결코 누락시킬 수 없는 분석틀이며, 이에 관한 다양한 실험과 무대화가 진행되던 19
      번역하기

      (3년전체) 1917년을 전후하여 1920년대 말까지 러시아에서 벌어진 문화혁명에서 무의식의 문제설정이 차지한 역할과 위상, 기능 등은 아직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정치적·사회적·예술적 ...

      (3년전체) 1917년을 전후하여 1920년대 말까지 러시아에서 벌어진 문화혁명에서 무의식의 문제설정이 차지한 역할과 위상, 기능 등은 아직 큰 주목을 받아오지 못했다. 정치적·사회적·예술적 입장에서 볼 때 볼셰비키 혁명이 표방하는 이데올로기적 강압이 너무 분명했기에 이데올로기적 의식성을 무시한 채 무의식이라는 비가시적인 개념을 수용하기가 어려웠던 까닭이다.
      그러나 사태에 대한 관점이 달라지면 해석과 분석의 지평도 변형되며, 지금까지 정당화되던 평가도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혁명기 러시아를 둘러싼 연구관점과 태도가 제도적 변천이나 이데올로기 분석, 정치적 입장 연구로부터 일상과 생활습관, 현실에 대한 무의식적 태도 등으로 바뀌었을 때, 명확한 심리적 태도로서의 의식성보다는 오히려 불투명하고 잠재적인, 역사의 기록과 사회체계 속에 잘 드러나지 않는 무의식적 과정이 조명되는 것이 당연하다. 무의식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버려야 할 게 아니라, 오히려 불투명하기에 의식적 구조들로 모두 설명되지 않는 사회·문화적 영역들을 보충하고 해명하는 유력한 분석틀로 부각될 수 있다.
      문화연구의 영역에서 무의식에 대한 이러한 관점 변화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는 제도적 강제나 의식화를 통해서만 형성되는 게 아니라 무의식을 경유한 감정적 동일시를 통해서도 달성된다. 이런 감정적 동일시, 동질감을 조직하는 가장 효과적인 장치가 바로 문화라 한다면, 러시아 혁명 초기의 (정권으로부터의) 문화혁명과 (대중적 차원에서의) 문화운동이 한결같이 무의식의 문제를 쟁점화하지 않을 수 없던 배경이 설명된다. 구성주의 건축가인 긴즈부르그의 말을 빌면, 문화는 바로 대중의 욕망과 무의식을 조직화하는 사회적 응축기(social condenser)였던 바, 1920년대 소비에트 러시아의 문화적 변동이 일종의 메타정치학적 관점, 즉 문화정치학(cultural politics)의 관점에서 기술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혁명기 러시아 문화사는 정치·경제적 이데올로기나 이념적 지평 등의 부차적 효과로서 서술될 대상이 아니라, 바로 그 자체로 문화의 정치화, 또는 정치적 문화의 무대로 이해될 만한 타당성을 갖는다. 무의식의 프리즘을 통해, 문화 정치학적 주제로 혁명기 러시아의 문화 변동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이로부터 성립한다.
      당을 비롯하여 진보적 예술운동은 소비에트 문화의 성립 초부터 어떻게 대중의 무의식을 장악할 것인가를 혁명의 제1과제로 삼았다. 소비에트 러시아의 문화정치학을 논의할 때, 무의식은 결코 누락시킬 수 없는 분석틀이며, 이에 관한 다양한 실험과 무대화가 진행되던 19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ovements in the radical period of the Russian revolution during the 1920s. After the Bolsheviki revolution, there were many experimental attempts to change the imperial-bourgeois society into a new communist one by means of the psychoanalysis which Sigmund Freud invented to explore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human being. At the first stage of this movement, a plenty of russian theorists tried to apply the psychoanalytic methods to the Russian reality. They could receive much government funds from the Bolsheviki party in this process, because soviet political leaders thought that the social practices of psychoanalysts seemed to remove an old fashioned lifestyles as an obstacles for the new society. Especially, Leon Trotsky who hold real power in the soviet regime, supported the psychoanalysts, for he himself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everyday in these days.
      Trotsky thought that the real revolutionary change could occur when people accept the revolution not only within their ideological consciousness, but also their unconscious mind. For the construction of new communist society, first of all, we need to reconfigure the old fashioned lifestyles, for example, marriage, the rules of usual etiquette, ordinary habits
      번역하기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ovements in the radical period of the Russian revolution during the 1920s. After the Bolsheviki revolution, there were many experimental attempts to change the imperial-bourgeois society into a new co...

      This paper purports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ovements in the radical period of the Russian revolution during the 1920s. After the Bolsheviki revolution, there were many experimental attempts to change the imperial-bourgeois society into a new communist one by means of the psychoanalysis which Sigmund Freud invented to explore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human being. At the first stage of this movement, a plenty of russian theorists tried to apply the psychoanalytic methods to the Russian reality. They could receive much government funds from the Bolsheviki party in this process, because soviet political leaders thought that the social practices of psychoanalysts seemed to remove an old fashioned lifestyles as an obstacles for the new society. Especially, Leon Trotsky who hold real power in the soviet regime, supported the psychoanalysts, for he himself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problems of everyday in these days.
      Trotsky thought that the real revolutionary change could occur when people accept the revolution not only within their ideological consciousness, but also their unconscious mind. For the construction of new communist society, first of all, we need to reconfigure the old fashioned lifestyles, for example, marriage, the rules of usual etiquette, ordinary habi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