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인터넷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시민교육의 개념은 사회통합과 질서에 주안점을 둔 제도권 차원의 사회화 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99992
2006
Korean
인터넷 ; 시민성 ; 시민교육 ; 정치참여 ; Internet ; citizenship education ; political participatio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7-43(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터넷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시민교육의 개념은 사회통합과 질서에 주안점을 둔 제도권 차원의 사회화 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민...
이 논문은 인터넷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시민교육의 개념은 사회통합과 질서에 주안점을 둔 제도권 차원의 사회화 교육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민의 참여를 증진시키는 능동적 차원으로 그 개념이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 시민교육은 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돕는 인터넷을 통한 교육지원체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인터넷 또는 사이버 시민성(internet citizenship; cyber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을 갖추기 위한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의미하기도 한다. 인터넷 시대에 시민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인터넷에서 시민들이 다양한 공공정보와 정치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공공문제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참여동기와 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의 인터넷시민 교육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 the concept and practical examples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ternet. Citizenship education is made up of different elements and disputes that arise about the relative emphasis to be placed on each element. The range of vi...
This paper introduce the concept and practical examples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ternet. Citizenship education is made up of different elements and disputes that arise about the relative emphasis to be placed on each element. The range of views about what constitutes good citizenship has led to a variety of approaches to citizenship education. There are concep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ranging from passive to active approaches. Conservative and passive approaches emphasize socialization or the development of loyalty to the national state. These approaches exist through the accumulation of static and limited knowledge of national history and traditions. Activist approaches emphasize engagement with the important issues of the day and participation in forming and reforming society at local, national and even global levels. The activist focus for the development of engaged and active citizens. Because the Internet provide that citizens may take part in politics by various way, it is tool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This paper suggest the object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on Internet in two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on Internet is causing the motivation to have more interests to political problem through the Internet. The first dimension is fostering competence that citizen can participate actively in politics process.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introduce overseas cases of citizenship education projects through Internet including NetSmartz, Changing Currents, Citizen X, CyberSmart, CivNet.
목차 (Table of Contents)
‘언어ㆍ문화ㆍ소통 기술’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리터러시의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