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語 心理述語構文의 關係文法的 分析 = Korean Psych Constructions : A Relation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65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여러 언어에서 인지되어온 심리술어구문(또는 여격주어구문)은 그동안 많은 이론체계 내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도 이 구문의 특성을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학자들 사이에 존쟁이 거듭되고 있다. 이 구문의 통사구조 분석을 위한 제안 중에서 최근의 두 제안은 상반되는 접근법을 택하고 있다. 즉 지배 ·결속(GB)이론에서는 이 구문이 advancements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관계문법(RG)이론에서는 이 구문을 retreats로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을 관계문법의 이론체계 내에서 분석하되 Gerdts and Youn (1988)의 제안에 따라 advancement analysis를 하고 이들의 분석이 이 구분의 특성을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고에서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의 경험자 (experiencer)는 격표지에 상관없이 final subject이며, 경험자가 여격인 구문과 경험자가 주격인 구문은 한국어의 case rule에 의해 다른 격이 실현되었을 뿐 동일한 통사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2절에서는 심리술어구문에 대한 선행연구 중에서 retreat analysis와 advancement analysis를 비교하고 한국의 심시술어구문은 advancement analysis를 함으로써 문법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3절에서는 경험자가 여격이든 주격이든 주어의 통사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 경험자가 final subject라는 논거를 제시한다. 4절에서는 대상(theme)이 여러 종사현상에서 주어의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문법관계를 final 2-chomeur라고 주장한다. 5절에서는 경험자와 대상의 격표지를 advancement analysis와 Gerdts and Youn (1988, 1989)에서 제안된 한국어의 case rule과 Case Spread Law로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6절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은 경험자가 여격으로 실현되든 주격으로 실현되든 final subject인 중주격구문이라고 주장하고, 아울러 이 구문의 통사구조는 문법관계와 통사층위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관계문법의 이론체계 내에서 보다 잘 설명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번역하기

      세계 여러 언어에서 인지되어온 심리술어구문(또는 여격주어구문)은 그동안 많은 이론체계 내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도 이 구문의 특성을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학자들 사이에 존쟁이 ...

      세계 여러 언어에서 인지되어온 심리술어구문(또는 여격주어구문)은 그동안 많은 이론체계 내에서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도 이 구문의 특성을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학자들 사이에 존쟁이 거듭되고 있다. 이 구문의 통사구조 분석을 위한 제안 중에서 최근의 두 제안은 상반되는 접근법을 택하고 있다. 즉 지배 ·결속(GB)이론에서는 이 구문이 advancements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관계문법(RG)이론에서는 이 구문을 retreats로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을 관계문법의 이론체계 내에서 분석하되 Gerdts and Youn (1988)의 제안에 따라 advancement analysis를 하고 이들의 분석이 이 구분의 특성을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본고에서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의 경험자 (experiencer)는 격표지에 상관없이 final subject이며, 경험자가 여격인 구문과 경험자가 주격인 구문은 한국어의 case rule에 의해 다른 격이 실현되었을 뿐 동일한 통사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을 정당화하기 위해 2절에서는 심리술어구문에 대한 선행연구 중에서 retreat analysis와 advancement analysis를 비교하고 한국의 심시술어구문은 advancement analysis를 함으로써 문법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3절에서는 경험자가 여격이든 주격이든 주어의 통사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 경험자가 final subject라는 논거를 제시한다. 4절에서는 대상(theme)이 여러 종사현상에서 주어의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문법관계를 final 2-chomeur라고 주장한다. 5절에서는 경험자와 대상의 격표지를 advancement analysis와 Gerdts and Youn (1988, 1989)에서 제안된 한국어의 case rule과 Case Spread Law로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6절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어의 심리술어구문은 경험자가 여격으로 실현되든 주격으로 실현되든 final subject인 중주격구문이라고 주장하고, 아울러 이 구문의 통사구조는 문법관계와 통사층위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관계문법의 이론체계 내에서 보다 잘 설명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2. Brief Review of Previous Syntactic Approaches
      • 2.1 Retreat vs. Advancement Analysis
      • 2.2 Korean Psych Constructions
      • 1. introduction
      • 2. Brief Review of Previous Syntactic Approaches
      • 2.1 Retreat vs. Advancement Analysis
      • 2.2 Korean Psych Constructions
      • 3. The Final Subjecthood of the Experiencer
      • 3.1 Subject Honorification
      • 3.2 Plural Copy
      • 3.3 The-myense Construction
      • 4. Relational Properties of the Theme
      • 4.1 The Non-final Subjecthood of the Theme
      • 4.1.1 Subject Honorification
      • 4.1.2 The Reflexive casin
      • 4.1.3 kkeyse-Marking
      • 4.2 The Chomage of the Theme
      • 5. Case in Korean Psych Constructions
      • 5.1 S-Case and I-Case
      • 5.2 Case Stacking
      • 5.3 Case Spread
      • 6.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