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신분열병에서 리스페리돈의 초기 치료 반응을 통한 장기적 치료 반응의 예측 = Prediction of the Long-term Response of Risperidone to Schizophrenia by Acute Phase Response Profile in Clinical Set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98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Risperidone, one of most wide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s, not only ameliorate positive symptoms of acute phase but improve long-term quality of life as well. To achiev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s, it is important to readjust treatment regimen in case of insufficient response at an appropriate time point.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is issue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past treatment history of 51 schizophrenics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more than 48 weeks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predetermined criteria, and CGI-severity scores at 7 selected time points were assessed. The time pattern of therapeutic responses was analyzed, and appropriate point of time to reliably predict the long-term efficacy was sought. Results : Thirty-one (60.8%) and twenty (39.2%) patients were respectively defined as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our criteri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osage of risperidone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t any time point evaluated. We observ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GI-severity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emerged after the 8th week, and that the treatment response profile during this phase might predict long-term outcom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8-week time point may be the most appropriate in assessing the clinical response to risperidone and the decision to continue with or to change the regimen. However, this study is a naturalistic study and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require further confirmative researches.
      번역하기

      Objective : Risperidone, one of most wide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s, not only ameliorate positive symptoms of acute phase but improve long-term quality of life as well. To achiev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s, it is important to readjust treatm...

      Objective : Risperidone, one of most wide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s, not only ameliorate positive symptoms of acute phase but improve long-term quality of life as well. To achieve sufficient therapeutic effects, it is important to readjust treatment regimen in case of insufficient response at an appropriate time point.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is issue in clinical setting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past treatment history of 51 schizophrenics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more than 48 weeks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predetermined criteria, and CGI-severity scores at 7 selected time points were assessed. The time pattern of therapeutic responses was analyzed, and appropriate point of time to reliably predict the long-term efficacy was sought. Results : Thirty-one (60.8%) and twenty (39.2%) patients were respectively defined as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by our criteri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osage of risperidone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at any time point evaluated. We observ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GI-severity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emerged after the 8th week, and that the treatment response profile during this phase might predict long-term outcom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8-week time point may be the most appropriate in assessing the clinical response to risperidone and the decision to continue with or to change the regimen. However, this study is a naturalistic study and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require further confirmative research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대표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 하나로, 급성기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호전과 같은 장기적인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리스페리돈에 충분한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서 약물교체를 포함한 치료방법의 변경이 중요하다. 그러나 임상 상황에서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룬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방 법:본 연구에서는 48주 이상 리스페리돈으로 치료한 5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여러 임상 변인과 리스페리돈의 치료력을 조사하였다. 48주의 조사 기간 동안 모두 7개 시점에서 각각 CGI-severity를 평가하였으며, 48주째 CGI 점수의 변화 정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환자들을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기간에 따른 치료반응을 분석하였으며, 48주째의 장기적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을 구하였다. 결 과:51명 중 31명(60.8%)은 반응군, 20명(39.2%)은 비반응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평가 시점에서 두 군간에 리스페리돈의 용량은 차이가 없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8주 이후부터 두 군간에 CGI-s everity 점수의 변화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기 8주 동안의 치료반응으로 장기적인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 적: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대표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 하나로, 급성기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호전과 같은 장기적인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

      목 적:리스페리돈(risperidone)은 대표적인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중 하나로, 급성기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호전과 같은 장기적인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리스페리돈에 충분한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서 약물교체를 포함한 치료방법의 변경이 중요하다. 그러나 임상 상황에서 이와 같은 문제를 다룬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방 법:본 연구에서는 48주 이상 리스페리돈으로 치료한 5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여러 임상 변인과 리스페리돈의 치료력을 조사하였다. 48주의 조사 기간 동안 모두 7개 시점에서 각각 CGI-severity를 평가하였으며, 48주째 CGI 점수의 변화 정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환자들을 치료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기간에 따른 치료반응을 분석하였으며, 48주째의 장기적 효능을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을 구하였다. 결 과:51명 중 31명(60.8%)은 반응군, 20명(39.2%)은 비반응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평가 시점에서 두 군간에 리스페리돈의 용량은 차이가 없었다. 리스페리돈 투여 8주 이후부터 두 군간에 CGI-s everity 점수의 변화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기 8주 동안의 치료반응으로 장기적인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