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원격강의를 위한 교안 편집기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Writing Tools of Lecture Materials for On-Lin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023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원격강의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교육 컨텐츠를 활용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이며,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등 웹을 기반으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간에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원격강의는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인터넷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을 공유한다. 즉 원격강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하다.
      특히 원격강의는 인터넷의 양방향성을 이용해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통한 양방향교육 등 다양한 교육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이 인쇄된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교육내용의 신속한 업데이트가 어려운 반면 저작도구를 활용한 원격강의로서 수정내용이나 최신 교육자료는 물론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교육내용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내용의 반복수강이 가능해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융통성이 높으며,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보조적 교육자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은 자기학습방식으로 학습자 개인에 맞게 진도관리가 가능하다.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진도관리를 위해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가 이루어지는데 비해 원격강의는 교육내용을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함으로써 개인의 수준과 필요성에 맞는 맞춤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오프라인의 교육에서 문제되고 있는 보조학습이나 단계학습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안 편집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원격강의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교육 컨텐츠를 활용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이며,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등 웹을 기반으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간에 양방향의 커...

      원격강의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교육 컨텐츠를 활용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이며,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등 웹을 기반으로 교육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간에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체계라고 말할 수 있다.
      원격강의는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인터넷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을 공유한다. 즉 원격강의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 접속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하다.
      특히 원격강의는 인터넷의 양방향성을 이용해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통한 양방향교육 등 다양한 교육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이 인쇄된 교재를 사용함으로써 교육내용의 신속한 업데이트가 어려운 반면 저작도구를 활용한 원격강의로서 수정내용이나 최신 교육자료는 물론 학습자의 요구사항과 교육내용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내용의 반복수강이 가능해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융통성이 높으며, 그래픽, 사진 등 다양한 보조적 교육자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교육은 자기학습방식으로 학습자 개인에 맞게 진도관리가 가능하다.
      오프라인 교육의 경우 진도관리를 위해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가 이루어지는데 비해 원격강의는 교육내용을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함으로써 개인의 수준과 필요성에 맞는 맞춤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오프라인의 교육에서 문제되고 있는 보조학습이나 단계학습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안 편집기를 설계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Line Class means computer-base making use of variety kind of digital contents. It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on-line education system whic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web(lnternet, intranet, and extranet etc.) is possible either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among learners. Due to using internet ,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That is, it is available always, anywhere through internet without any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Specially, on-line class can organize the communities related to interesting theme using b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It can also utilize a lot of teaching techniques such a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motion video.
      While the off-line class is hard to update rapidly the lecture contents because of using the printed teaching materials, on-line class can timely reflect the corrected or the latest teaching materials to the lecture contents as wanted. In addition, because learners can learn repeatedly the same contents, the flexibility is higher than the off-line. It can also use easily the teaching supplements such as graphics and pictures. However, the off-line education can manage the studying process properly to the learner with self-studying style. While the off-line compel, one-way cramming lecture can to learners for the studying process management, the on-line can provide the education to satisfy the individuals, as customizing the contents to fit to the level and the needs of each learner.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design of new types of writing tools appropriate to web based system freely to use the Supplementary and the study by level study or which the off-line can't provide it. to be problematic in the off-line system.
      번역하기

      On-Line Class means computer-base making use of variety kind of digital contents. It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on-line education system whic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web(lnternet, intranet, and extranet etc.) is possible ei...

      On-Line Class means computer-base making use of variety kind of digital contents. It can be also explained by the on-line education system whic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web(lnternet, intranet, and extranet etc.) is possible either between teacher and learner or among learners. Due to using internet , it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That is, it is available always, anywhere through internet without any restriction of time and place.
      Specially, on-line class can organize the communities related to interesting theme using b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net. It can also utilize a lot of teaching techniques such a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motion video.
      While the off-line class is hard to update rapidly the lecture contents because of using the printed teaching materials, on-line class can timely reflect the corrected or the latest teaching materials to the lecture contents as wanted. In addition, because learners can learn repeatedly the same contents, the flexibility is higher than the off-line. It can also use easily the teaching supplements such as graphics and pictures. However, the off-line education can manage the studying process properly to the learner with self-studying style. While the off-line compel, one-way cramming lecture can to learners for the studying process management, the on-line can provide the education to satisfy the individuals, as customizing the contents to fit to the level and the needs of each learner.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the design of new types of writing tools appropriate to web based system freely to use the Supplementary and the study by level study or which the off-line can't provide it. to be problematic in the off-line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목차 = ⅰ
      • 표목차 = ⅲ
      • 그림목차 = ⅳ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3
      • 2. 교안 편집기에 대한 선행연구 = 5
      • 2.1 원격 강의의 흐름 = 5
      • 2.2 저작도구의 필요성 = 5
      • 2.3 기존 저작도구의 문제점 = 6
      • 3. 교육학적 접근의 교안 편집기 = 8
      • 3.1 교안 편집 저작도구를 물리과목으로 제한 = 8
      • 3.2 효율적인 교안 시스템 = 9
      • 3.3 교육학 이론을 적용한 교안 작성 = 10
      • 3.4 원격강의의 특성을 고려한 교안 작성 = 17
      • 3.5 원격강의용 교안 제작 시 고려사항 = 18
      • 4. 교안 편집기의 시스템 설계 = 20
      • 4.1 기능 구성도 = 20
      • 4.2 교안 편집기의 화면 스토리 보드 = 22
      • 4.3 교안 편집기의 메뉴별 기능 = 24
      • 5. 결론 = 32
      • 참고문헌 = 34
      • ABSTRACT = 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