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각계에서 60주년 기념 교류행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반면에, 출판계에서는 100년에 달하는 스페인 번역출판의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48136
2010
-
300
KCI등재
학술저널
33-54(22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0년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각계에서 60주년 기념 교류행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반면에, 출판계에서는 100년에 달하는 스페인 번역출판의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혀 ...
2010년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각계에서 60주년 기념 교류행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반면에, 출판계에서는 100년에 달하는 스페인 번역출판의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혀 언급이 없는 관심의 부재를 보이는 형편이다. 더욱이 ‘세계 책의 날’제정배경이 스페인의 출판문화에서 유래된 만큼 한-스페인과의 문화교류에서 출판문화의 교류는 빼놓을 수 없는 분야이자 주요부문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한-스페인 간의 출판상황을 더듬어보면서 양국이 처한 출판문화의 좌표에 따라 양국 간의 출판교류 가능 영역을 타진해보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한-스페인 간의 출판교류의 역사는 한국출판연감이 발행된 초창기에 비로소 그 흔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소개된 스페인 문학은 최남선이 발행한 잡지 ≪청춘≫(1915년 1월호)에 작품 ‘돈키호테’와 작가 세르반테스를 소개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다. 이후에 번역자 양성에 기여한 한국외국어대학의 스페인어학과 설립과 함께 정부와 번역문화원의 지원으로 스페인 번역문학이 활성화되었으나, 한국문학을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데에는 그다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 대중문화의 스페인 파급, 즉 한류의 스페인 착(着)으로 인한 한국어 붐이 일고 있는
현상을 통해 한국 출판문화의 스페인과의 교류에 대한 활성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이와 같이 양국 간의 문화적 관심이 제고되는 고무적 현상 앞에 출판문화 교류에 대한 관심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움직임에 앞서 한국과 스페인의 출판문화 위상을 점검해보고 양국 간의 좌표가 제시하는 출판의 흐름을 간파함으로써 양국 간의 출판문화 교류확장을 위한 정책적 대안 및 출판분야 내의 내적 인프라적 교류에 대한 대안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ar 2010 is a special year for Korea and Spain, because it has been 60 years since both had a treaty of amity. Thus, we can see occasionally some cultural exchange programs this year in various fields. However, publishing field has not shown any ...
The year 2010 is a special year for Korea and Spain, because it has been 60 years since both had a treaty of amity. Thus, we can see occasionally some cultural exchange programs this year in various fields. However, publishing field has not shown any exchange programs, although it has been around 100 years since Spanish literatur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Spain has had a long history concerned with the publishing culture. April 23rd, which had before been Spanish Book Day, has been legislated and commemorated for ‘The World Book Day’ by UNESCO. This suggests that Spain is a nation with a historic background of publishing culture. That's why we never talk about excluding ‘books’ and ‘publishing’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Therefore, I discuss about these topics in this thesis. Especially, Spanish publishers have some concern with Korean books. Because they are faced with a phenomena, - a kind of booming Korean wave (“Hallyu”) relating to the Korean language gradually. This will offer some ideas that may activate the publishing Hallyu in Spain.
In this thesis, I explain the publishing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from the introduction of ≪Don Quijote≫ in the early 20th century up to some latent new books. To analyze and create publishing indices, I used some statistical data. Through this methodology, I could read the coordinates and phases of Korean & Spanish publishing culture. And then I tried to offer some problems, alternative suggestions, and our tasks, in order to help activate publish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유, "사회문화적 공간 확장과 문학적 형상화: 유럽연합 출범 이후 스페인 소설의 양상과 특징-호세 카를로스 소모사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19 (19): 1-25, 2008
2 Government Information Agent, "World is now of cultural, diplomatic and artistic time"
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he Chronology for Korean Diplomacy"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Annual Report for Korean Reading Promotion" 2010
5 Yang, Eun-Sook, "Spanish culture and Literature" (80) : 2010
6 Korea University Spain·Latin America Institute, "History of Spainish Literature" Korea University Press 2008
7 Kim, Se-Hun,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in GDP 40,000 dollars Era" 2008
8 Jo, Min-Hyun, "Cultural stagnation and frame culture of Spain" (52) : 2009
9 Jeong, Jeong-Suk, "An analysis of Cultural Competitiveness in OECD countries"
10 Kim, Sang-Yu, "A study on Korean Literature introduced in Spain. in :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Univ. of Yeon-Se 2004
1 김상유, "사회문화적 공간 확장과 문학적 형상화: 유럽연합 출범 이후 스페인 소설의 양상과 특징-호세 카를로스 소모사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19 (19): 1-25, 2008
2 Government Information Agent, "World is now of cultural, diplomatic and artistic time"
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The Chronology for Korean Diplomacy"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Annual Report for Korean Reading Promotion" 2010
5 Yang, Eun-Sook, "Spanish culture and Literature" (80) : 2010
6 Korea University Spain·Latin America Institute, "History of Spainish Literature" Korea University Press 2008
7 Kim, Se-Hun,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in GDP 40,000 dollars Era" 2008
8 Jo, Min-Hyun, "Cultural stagnation and frame culture of Spain" (52) : 2009
9 Jeong, Jeong-Suk, "An analysis of Cultural Competitiveness in OECD countries"
10 Kim, Sang-Yu, "A study on Korean Literature introduced in Spain. in :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Univ. of Yeon-Se 2004
11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10 Korean Publishing Yearbook"
12 Federation of Publisher's Guilds of Spain, "2009 Spanish Publishing Yearbook"
13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9 Korean Publishing Yearbook"
14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8 Korean Publishing Yearbook"
15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7 Korean Publishing Yearbook"
16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6 Korean Publishing Yearbook"
17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5 Korean Publishing Yearbook"
18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4 Korean Publishing Yearbook"
19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3 Korean Publishing Yearbook"
20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2 Korean Publishing Yearbook"
21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1 Korean Publishing Yearbook"
22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2000 Korean Publishing Yearbook"
23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1999 Korean Publishing Yearbook"
24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1964 Korean Publishing Yearbook"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1 | 0.7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