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 <이한림전> 연구 – 구조적 원천과 소재적 원천을 중심으로 – = Study on the Family Narrative <Lee Han-rim Jeon> Related to the Imjin War – Focusing on structural and material sourc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98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이한림전>의 구조적 원천과 소재적 원천을 확인하고 그 매개로서의 임진왜란이 서사적으로 기억되고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한림전>은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의 대표 소설인 <최척전>과 ‘만남과 혼인 전란으로 ’→‘ 인한 가족의 이합집산 가족의 ’→‘ 상봉’이라는 기본 서사 구조 외에 여성의 시련이나 외국 체험 등을 공유하면서 기존에<최척전>과 함께 다루어지던 <남윤전>보다 <최척전>과 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면서도 <최척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여성 서사’가 강화되고 있다는 차별성을 보이면서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한림전>은 가족의 이합집산 서사 속에 임진왜란 관련 역사적 사실을 실기류 형식으로 결합하고, 임진왜란 관련 구비 설화와 문헌 설화를 수용하는 동시에 임진왜란 관련 대표 서사인 <임진록>의 특정 계열과도 친연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임진록>보다 더 다층적인 서사화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관련 서사를 보완하는 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한림전>에서는 임진왜란 반발 초기의 전투부터 실기에 근거한 사실의 기억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관련 대표 서사인 <임진록>이 대체로 민중 성향을 드러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한 인식이나 명군에 대한 인식에서 유사한 지향을 드러내면서도 선조에 대해서는 부정적 언급이 전혀 드러나지 않으며 임진왜란의 결과에 대해서도 완전한 승리라는 과장된 서술이 나타나는 등 다른 지향을 드러낸다. 이는 창작 맥락에서 임진왜란에 대한 <이한림전> 작가만의 고유한 기억이자 재구성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진왜란에 대한 일정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한림전>의 말미에는 4천여자의 필사기가 부가되어 있는데, 가족의 이합에 대한 논평이 주를 이루고 임진왜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나 역사 인식은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처럼 필사기를 통해 볼 때 향유 맥락에서는 임진왜란보다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가족의 이합집산 서사로서의 인식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상황 속 실제 한 가족이 겪은 이야기처럼 향유되면서 조선의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 사회인 가족을 파괴한 사건으로서의 임진왜란에 대한 기억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이한림전>의 구조적 원천과 소재적 원천을 확인하고 그 매개로서의 임진왜란이 서사적으로 기억되고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한림전>은 임진왜란 관...

      본고는 <이한림전>의 구조적 원천과 소재적 원천을 확인하고 그 매개로서의 임진왜란이 서사적으로 기억되고 재구성되는 양상과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한림전>은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의 대표 소설인 <최척전>과 ‘만남과 혼인 전란으로 ’→‘ 인한 가족의 이합집산 가족의 ’→‘ 상봉’이라는 기본 서사 구조 외에 여성의 시련이나 외국 체험 등을 공유하면서 기존에<최척전>과 함께 다루어지던 <남윤전>보다 <최척전>과 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면서도 <최척전>에 비해 전반적으로 ‘여성 서사’가 강화되고 있다는 차별성을 보이면서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한림전>은 가족의 이합집산 서사 속에 임진왜란 관련 역사적 사실을 실기류 형식으로 결합하고, 임진왜란 관련 구비 설화와 문헌 설화를 수용하는 동시에 임진왜란 관련 대표 서사인 <임진록>의 특정 계열과도 친연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임진록>보다 더 다층적인 서사화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관련 서사를 보완하는 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한림전>에서는 임진왜란 반발 초기의 전투부터 실기에 근거한 사실의 기억들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관련 대표 서사인 <임진록>이 대체로 민중 성향을 드러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한 인식이나 명군에 대한 인식에서 유사한 지향을 드러내면서도 선조에 대해서는 부정적 언급이 전혀 드러나지 않으며 임진왜란의 결과에 대해서도 완전한 승리라는 과장된 서술이 나타나는 등 다른 지향을 드러낸다. 이는 창작 맥락에서 임진왜란에 대한 <이한림전> 작가만의 고유한 기억이자 재구성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진왜란에 대한 일정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한림전>의 말미에는 4천여자의 필사기가 부가되어 있는데, 가족의 이합에 대한 논평이 주를 이루고 임진왜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나 역사 인식은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처럼 필사기를 통해 볼 때 향유 맥락에서는 임진왜란보다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가족의 이합집산 서사로서의 인식이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상황 속 실제 한 가족이 겪은 이야기처럼 향유되면서 조선의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 사회인 가족을 파괴한 사건으로서의 임진왜란에 대한 기억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material sources of <Lee Hallimjeon> and to analyze the mechanism by which the Imjin War as a medium are remembered and reconstructed narratively.
      <Lee Hallim-jeon> shares a basic narrative structure with <Choi Cheok-jeon>, a representative novel of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and also shows certain sharing aspects with <Namyun-jeon> and <Jeokdongsae>,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o be a new aspect of the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that it shows aspects of war-related disunity and collection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se works, and has meaning as a work that can closely fill in the war-related family narratives.
      <Lee Hallimjeon> can be said to show a more multi-layered narration than <Imjinrok> in that it combines historical fact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the form of actual records in the narrative of the family's merger and acquisition, accepts oral and literary tales related to the Imjin War, and also shows affinity with a specific series of <Imjinrok>, the representative narrative related to the Imjin War.
      In <Lee Hallimjeon>, memories of facts based on actual facts from the early battles of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appear. In addition, just as <Imjinrok>, a representative narrative related to the Imjin War, generally reveals the people's tendencies, it also reveals a similar orientation in its perception of Japan and the Ming army. In contrast, no negative comments are made about King Seonjo, and an exaggerated description of the outcome of the Imjin War as a complete victory appears, revealing a differentorientation. This can be said to reveal the author's unique way of remembering the Imjin Wa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material sources of <Lee Hallimjeon> and to analyze the mechanism by which the Imjin War as a medium are remembered and reconstructed narratively. <Lee Hallim-jeon> shares a b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material sources of <Lee Hallimjeon> and to analyze the mechanism by which the Imjin War as a medium are remembered and reconstructed narratively.
      <Lee Hallim-jeon> shares a basic narrative structure with <Choi Cheok-jeon>, a representative novel of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and also shows certain sharing aspects with <Namyun-jeon> and <Jeokdongsae>,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o be a new aspect of the family narrative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that it shows aspects of war-related disunity and collection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se works, and has meaning as a work that can closely fill in the war-related family narratives.
      <Lee Hallimjeon> can be said to show a more multi-layered narration than <Imjinrok> in that it combines historical facts related to the Imjin War in the form of actual records in the narrative of the family's merger and acquisition, accepts oral and literary tales related to the Imjin War, and also shows affinity with a specific series of <Imjinrok>, the representative narrative related to the Imjin War.
      In <Lee Hallimjeon>, memories of facts based on actual facts from the early battles of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appear. In addition, just as <Imjinrok>, a representative narrative related to the Imjin War, generally reveals the people's tendencies, it also reveals a similar orientation in its perception of Japan and the Ming army. In contrast, no negative comments are made about King Seonjo, and an exaggerated description of the outcome of the Imjin War as a complete victory appears, revealing a differentorientation. This can be said to reveal the author's unique way of remembering the Imjin Wa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