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를 바탕으로 결연징표의 요건과 유형 분류의 기준이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 중 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를 바탕으로 결연징표의 요건과 유형 분류의 기준이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 중 결...
본 연구는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를 바탕으로 결연징표의 요건과 유형 분류의 기준이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방각본 소설의 적강인물 결연서사 중 결연징표의 성립 여부와 유형이 애매하게 나타나는 작품의 사례는 <구운몽 > 과 <숙향전> 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구운몽>은 천상계에서 만난 성진과 팔선녀의 인연이 인간계의 삶에서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따라 결연징표의 역할과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 숙향전>에는 천정인연의 증거가 되는 여럿의 결연징표가 중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숙향전> 결연징표의 기능과 유형을 분류하고 정립하기 위해서는 그 중심이 되는 결연징표를 기점으로 또 다른 여러 결연징표들이 어떤 관계로 엮이어지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구운몽>과 <숙향전> 관련 지금까지의 연구 흐름은 천상계를 중심으로 천상계의 등장인물 상호 간의 관련성에서 그 의미를 찾는 작업이 주류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두 작품의 결연서사를 흥미롭게 견인하는 내용과 구조는 그 분량과 빈도 면에서만 보아도 천상계보다 인간계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강인물의 등장과 천정연분론에 갇혀 인간계를 등한시하고 천상계 중심으로만 살펴온 기존 연구의 선입견과 일반론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그 결과 작품의 중심 서사를 인간계의 인물관계를 통해 전개되는 결연서사에 두고 이를, 문학적으로 가능하게 만드는결연징표의 요건과 유형이 무엇인지를 <구운몽>과 <숙향전>의 구체적사례를 빌려 더 명확하게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rriage relationship epics of people expelled from heaven in ancient Korean woodblock novels. In particular, it aims to review the classification criteria. Guunmong and Sukhyang-jeon are works whose classification of Toke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arriage relationship epics of people expelled from heaven in ancient Korean woodblock novels. In particular, it aims to review the classification criteria. Guunmong and Sukhyang-jeon are works whose classification of Tokens of a match is ambiguous among ancient Korean woodblock novels.
In Guunmong, Tokens of a match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met in the heavenly world affects the life of the human world.
In Sookhyangjeon, tokens of a match that prove fate made in heaven continue to appear in various fo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ken that are the center of a match and the other tokens. This is because this process allows us to classify tokens of a match and set the criteria for the type.
Until now, research on Guunmong and Sukhyang-jeon has mainly focused on finding its meaning, focusing on the heave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ackground that interestingly leads marriage relationship epics of these two works is centered on the story of the human worl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tory of the human world, away rom the prejudice and general theory of existing studies that focused only on heaven.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more clearly identify the requirements and types of tokens of a match by looking at marriage relationship epics focusing on human relations in the human world.
임진왜란 관련 가족 서사 <이한림전> 연구 – 구조적 원천과 소재적 원천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