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 시간 및 부모의 스크린미디어 지도방식과 유아 실행기능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6개소에 재원 중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46826
2024
Korean
070
학술저널
291-296(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 시간 및 부모의 스크린미디어 지도방식과 유아 실행기능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6개소에 재원 중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 시간 및 부모의 스크린미디어 지도방식과 유아 실행기능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6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38명과 그들의 부모 1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9.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 시간과 유아의 실행기능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 시간이 높을수록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인 억제 능력과 인지 전환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온정적 지도방식은 유아 실행기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가 유아의 스크린미디어 사용에 대해 자녀와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작업기억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부모의 통제적 지도방식은 유아 실행기능 발달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행기능 하위요인인 인지 전환 능력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크린미디어 사용은 유아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대체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어서는 안 되며, 부모의 온정적 지도하에서 유아가 스크린미디어를 사용한다면, 스크린미디어가 유아 실행기능 발달을 지원하는 긍정적인 매체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