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세 초기 서방기독교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에리우제나(Johannes Scotus Eriugena)의 사상과 그가 중세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다루었다. 이 중에서 제3차년 연구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0774
-
2010년
Korean
디오니시우스 ; Thomas Aquinas ; Hugh ; Maximus the Confessor ; Carolingian Christianity ; Pseudo-Dionysius ; Eriugena ; commentary ; translation ; harmony ; Divine Names ; Western Christianity ; Expositiones ; Celestial Hierarchy ; scholasticism ; Periphyseon ; 고백자 막시무스 ; 에리우제나 ; 아퀴나스 ; 카롤링거 ; 기독교 ; 발현 ; 회귀 ; 조화(harmonia) ; 페리프시온 ; 엑스포지티오네스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세 초기 서방기독교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에리우제나(Johannes Scotus Eriugena)의 사상과 그가 중세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다루었다. 이 중에서 제3차년 연구에...
본 연구는 중세 초기 서방기독교의 형성 및 발전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에리우제나(Johannes Scotus Eriugena)의 사상과 그가 중세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다루었다.
이 중에서 제3차년 연구에서는 번역과 주석의 역사를 통해 에리우제나의 사상을 자리매김하는 것이었다. 에리우제나는 자신의 저작에서 카롤링거 기독교의 특징인 ‘하르모니아’(조화) 개념을 다양한 방법으로 잘 보여주었다. 그는 동방과 서방, 신앙과 이성간의 조화뿐만 아니라, 기독교사상 전체를 엮는 발현과 회귀개념을 발전시켰다. 또한 카롤링거 기독교는 양자론과 기독론, 아이콘논쟁과 그리스도의 본질, 유카리스트와 마리아론에 이르는 기독교의 주요사상들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해 주었다. 이런상황에서 그는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 뿐만 아니라 기독교사상과 그리스 철학에 대한 조화도 강조했으며, 동시에 자연스럽게 교부들의 저작 번역과 주석의 시대를 열어 주었다. 서양중세의 기독교사상, 특히 막시무스에서 제르송에 이르는 번역과 주석의 역사에서 에리우제나는 중세신학의 한 축을 담당했다.
첫째, 디오니시우스가 남긴 다섯 권의 작품은 짧은 분량이지만, 이해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심오하다. 각각의 책은 중요한 신학적 담론을 담고 있으며, 중세사상과 사회에 미친 영향이 대단하다. 몇 페이지에 불과한 신비주의 신학(Mystical Theology)은 에카르트에 이르는 중세신비주의 전통에 중요한 사상적 개념을 제공했다. 천상의 위계(Celestial Hierarchy)는 신학연구의 방법론적 서설과 함께 9단계로 나뉜 기독교 천사론의 교과서가 되었다. 교회의 위계(Ecclesiastical Hierarchy)는 중세봉건체제와 교황권의 확립에 정당성을 제공했다. 신의 이름들(Divine Names)은 신에 대한 다양한 명칭과 기능에 대한 조직신학적 분석을 제공했다.
둘째, 디오니시우스의 저서와 사상을 서방기독교에 본격적으로 소개한 사람은 바로 에리우제나다. 디오니시우스의 전승사에 있어서 에리우제나는 번역과 주석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공헌했다. 첫째, 디오니시우스 작품에 대한 에리우제나의 번역본은 이후 서방기독교 사상가들이 디오니시우스의 작품을 이해하는 주된 통로역할을 했다. 11-13세기에 에리우제나의 페리프시온이 파문을 당하기도 했지만, 그의 디오니시우스 번역본은 전혀 권위를 잃지 않았다. 디오니시우스 작품의 더 나은 번역을 위해 그는 막시무스, 아우구스티누스, 오리게누스에 이르는 교부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에리우제나는 디오니시우스 작품에 대한 단순한 번역가로 머물러 있지 않았다. 디오니시우스의 천상의 위계에 대한 에리우제나의 주석서(Expositiones in Ierarchiam coelestem)는 에리우제나의 교부이해와 자신의 창조적인 해석의 진수를 잘 보여준다. 그는 많은 새로운 사상적 개념을 만들어 내었고, 주석과 해석을 통해, 창조와 인류의 기원, 구속론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신학적 사유체계를 생산해 내었다. 이같이 디오니시우스의 전승사에 있어서 에리우제나의 번역과 주석은 중세 사상사에 중요한 전환점과 계기를 제공했다.
셋째, 본인은 막시무스에서 아퀴나스에 이르는 번역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팔레스틴의 스키토폴리스의 주교 요한이 540년에 디오니시우스 저작에 대한 편집과 주석을 작업 시작한 이래 디오니시우스에 대한 연구는 중세 동방과 서방기독교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했다. 고백자 막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rn in Ireland, the ninth century theologian and philosopher, John the Scot, Eriugena (810-877), left behind several commentaries, translations, books, and poems (Patrologia Latina vol. 122). Eriugena was initially a translator and commentator of Dio...
Born in Ireland, the ninth century theologian and philosopher, John the Scot, Eriugena (810-877), left behind several commentaries, translations, books, and poems (Patrologia Latina vol. 122). Eriugena was initially a translator and commentator of Dionysius via the footsteps of Maximus. Eriugena illustrates an unrivalled breadth of theological ingenuity in early medieval Christianity. First, he received, digested, and appropriated the theme of procession and return, which had developed from the Neo-Platonists, including Proclus, and the legendary theologian, Pseudo-Dionysius. Second, the Periphyseon was one of the earliest theological masterpieces in medieval Christianity, anticipating the Summa Theologiae of Thomas Aquinas in the thirteenth century.
Lastly, as a faithful student of the early Fathers, Eriugena was a genuine scholar who both synthesized Eastern and Western Christian thought in philosophy and theology and also creatively reconstructed the theological discourses and themes of his predecessors, especially those pertaining to the concept of procession and return.
Eriugena has been known one of the best translators and commentators in Christian thoughts. He began his career as a translator of Pseudo-Dionysius’s corpus. In translating project, Eriugena could extract the theological nexus, coin many new terms, and also apply those terms and terminologies in his own thoughts. His commentary and expositions on Dionysius’s Celestial Hierarchy well display Eriugena’s theological genius. Eriugena’s theological works were inherited by Hugh of St. Victor and even by Thomas Aquinas. Aquinas’s Summa reflect a huge impact of Eriugena. As a commentator and translator he finally opened a new scholarly chapter in medieval Christia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