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력범죄 피의자 신상공개 제도의 법적 문제와 개선 방안 = A Study on the Legal problems and improvements about Revelation of Malicious Crime’s Susp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2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recent murder by Ko Yoo-Jung & Ahn In-Deuk has rekindled controversy over whether it is fair to reveal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While there are views that revelation of malicious crime’s suspect violates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principle of disclosure and rule of definiteness, others say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o prevent malicious crimes. This study reviewed the legal problems of the revelation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based on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m. And this study present an improvement plan that could harmonize public benefits (such as people's right to know) and human rights. The improvement plan about the revelation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n whether to reveal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or not should be made by unified through one process and judgment institution, such as National Police Agency human rights committee. Second, Article 8-2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ertain Violent Crimes” will have to be amended in view of the principle of clarity. Requirements of opening he malicious crime’s suspect will have to specify in the law. And Delegation regulation that details about revelation of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can be made by Commissioner General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necessary. Finally,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suspects who are involved in the case. Finally, the law should specify how faces of
      번역하기

      The recent murder by Ko Yoo-Jung & Ahn In-Deuk has rekindled controversy over whether it is fair to reveal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While there are views that revelation of malicious crime’s suspect violates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

      The recent murder by Ko Yoo-Jung & Ahn In-Deuk has rekindled controversy over whether it is fair to reveal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While there are views that revelation of malicious crime’s suspect violates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principle of disclosure and rule of definiteness, others say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to prevent malicious crimes. This study reviewed the legal problems of the revelation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based on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m. And this study present an improvement plan that could harmonize public benefits (such as people's right to know) and human rights. The improvement plan about the revelation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n whether to reveal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or not should be made by unified through one process and judgment institution, such as National Police Agency human rights committee. Second, Article 8-2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ertain Violent Crimes” will have to be amended in view of the principle of clarity. Requirements of opening he malicious crime’s suspect will have to specify in the law. And Delegation regulation that details about revelation of the malicious crime’s suspect can be made by Commissioner General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necessary. Finally,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suspects who are involved in the case. Finally, the law should specify how faces o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기, "흉악범죄 피의자의 신상공개 기준과 절차 ―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8조의 2 재검토 ―" 법학연구원 22 (22): 219-244, 2010

      2 노규호, "흉악범 얼굴공개의 필요성과 논의점" 27 (27): 36-60, 2009

      3 염건령, "흉악범 얼굴공개의 필요성과 근거" 27 (27): 11-36, 2009

      4 김두상, "성범죄자 신상등록제도의 개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5 (25): 153-171, 2017

      5 이용식, "성범죄자 신상등록·신상공개·신상고지 제도에 관한 소고" 한국피해자학회 24 (24): 175-196, 2016

      6 강성두, "범죄피의자의 인권 :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상 피의자 신상공개 규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18 : 371-390, 2010

      7 박광현, "범죄자신상공개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35 (35): 307-332, 2015

      8 문봉규, "공개수배제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법학연구소 18 (18): 261-285, 2010

      9 이병도, "경찰의 피의자 신상공개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경찰학회 20 (20): 225-246, 2018

      10 이무선, "강력범죄피의자의 얼굴(신상)공개의 정당성 여부" 한국법학회 (39) : 223-246, 2010

      1 정용기, "흉악범죄 피의자의 신상공개 기준과 절차 ―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8조의 2 재검토 ―" 법학연구원 22 (22): 219-244, 2010

      2 노규호, "흉악범 얼굴공개의 필요성과 논의점" 27 (27): 36-60, 2009

      3 염건령, "흉악범 얼굴공개의 필요성과 근거" 27 (27): 11-36, 2009

      4 김두상, "성범죄자 신상등록제도의 개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5 (25): 153-171, 2017

      5 이용식, "성범죄자 신상등록·신상공개·신상고지 제도에 관한 소고" 한국피해자학회 24 (24): 175-196, 2016

      6 강성두, "범죄피의자의 인권 :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상 피의자 신상공개 규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18 : 371-390, 2010

      7 박광현, "범죄자신상공개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35 (35): 307-332, 2015

      8 문봉규, "공개수배제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법학연구소 18 (18): 261-285, 2010

      9 이병도, "경찰의 피의자 신상공개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국경찰학회 20 (20): 225-246, 2018

      10 이무선, "강력범죄피의자의 얼굴(신상)공개의 정당성 여부" 한국법학회 (39) : 223-246, 2010

      11 강동욱, "강력범죄피의자 신상공개의 정당성여부에 대한 법적 검토" 한양법학회 (26) : 145-161, 2009

      12 정철호, "강력범죄 피의자의 신상공개에 대한 법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56-16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