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인의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촌진흥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 본부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142780
2008
Korean
520.7
KCI등재
학술저널
1-31(31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인의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촌진흥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 본부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인의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촌진흥기관의 역할을 정립하고,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 본부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고찰, 농업인 및 농촌진흥기관의 농업인 교육 담당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진흥기관의 농업인교육관련 연계를 위해서는 한국농업대학이 농업인평생교육기관으로 평가인정을 받고, 전국의 농업인대학을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역의 농업기술센터는 한국농업대학과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여 학점은행제 운영에 소요되는 교육 및 이력관리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농업대학의 농업인대학 운영본부화를 위하여 평생학습원의 조직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평생학습원의 비전, 미션 및 전략이 제시되었으며, 조직의 기능 및 세부과제가 제시되었다. 셋째, 농업인교육의 학점은행제를 도입을 위한 체계를 설정한 후, 농업관련 기존 표준교육과정 분석, 농업인 요구분석, 전국 농업인대학 교육과정 분석, 기존 농업관련 전공 교육과정 분석, 전문가 검토 등의 과정을 거쳐서 '영농 전문학사'와 '농업 경영 학사'의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넷째, 고졸미만 농업인을 위한 사전학습제도화를 위하여 농업인교육의 평가인정을 통한 방안과 One-Stop 평생학습모델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ssign the role of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the making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y.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s, docum...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ssign the role of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the making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y. The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analyzing the related literatures, documents, records review, (2) need analysis of farmers and members ig rural development organizations in terms of farmer's lifelong learning, (3) consulting experts.
The following four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Korean national agricultural college should be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ies and be approve for lifelong learning credit. Also,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s should ru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lifelong learning credit. (2) For the doing role of headquarter of farmer's university, division of lifelong learning should be add to department of technology training in Korea agricultural college. In relation with this, vision, mission and strategy of division of lifelong learning were suggested. (3) Steps for introduction of credit bank system of farmer education were suggested. Also standard curriculums of 'farming associate degree' and 'agricultural management bachelor's degree'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existing standard curriculum related with agriculture, analyzing need of farmer, analyzing curriculum of farmer's university, analyzing curriculum of agriculture major. (4) For farmer who do not have high school graduate, two solutions were suggested which are approving farmer's education and one-stop lifelong learning model.
참고문헌 (Reference)
1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2006
2 나승일, "한국농업전문학교 정밀진단 및 개편방안" 농림부 2004
3 송병국, "평생학습센터의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4 정철영,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의 문제점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33 (33): 1-24, 2001
5 최상덕, "지식기반 경제.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평생학습체제 구축방안 연구"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2005
6 농촌진흥청, "지방 농촌지도기관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 1년차 완결보고서" 농촌진흥청 2005
7 김진모, "전환기 농촌지도사의 역할과 능력개발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 35 (35): 69-85, 2003
8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활동성과 분석과 지도공무원 능력 개발 방향" 농촌진흥청 2005
9 최운실, "열린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교육 개혁 과제 연구: 학점은행제, 시간등록제, 원격 사회교육 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96
10 이용환, "신지식농업인 육성을 위한 교육.훈련 방안과 지원 대책" 32 (32): 119-139, 2000
1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2006
2 나승일, "한국농업전문학교 정밀진단 및 개편방안" 농림부 2004
3 송병국, "평생학습센터의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4 정철영,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의 문제점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33 (33): 1-24, 2001
5 최상덕, "지식기반 경제.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평생학습체제 구축방안 연구"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2005
6 농촌진흥청, "지방 농촌지도기관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 1년차 완결보고서" 농촌진흥청 2005
7 김진모, "전환기 농촌지도사의 역할과 능력개발 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 35 (35): 69-85, 2003
8 김진모, "전문지도연구회 활동성과 분석과 지도공무원 능력 개발 방향" 농촌진흥청 2005
9 최운실, "열린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교육 개혁 과제 연구: 학점은행제, 시간등록제, 원격 사회교육 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1996
10 이용환, "신지식농업인 육성을 위한 교육.훈련 방안과 지원 대책" 32 (32): 119-139, 2000
11 나승일, "수요자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모델 및 평가지표 개발" 농림부 2005
12 송병국,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새로운 관점 모색" 7 (7): 189-210, 2001
13 최상덕, "비형식, 무형식 학습 인증의 현황과 과제: OECD 국제조사 참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4 김진모, "농촌지도직공무원 역량 진단 및 육성 지원 방안" 농촌진흥청 2006
15 김진모, "농촌지도직공무원 계층교육체계 구축" 한국농업전문학교 2006
16 농촌진흥청, "농촌지도사업보고서" 농촌진흥청 2006
17 정철영, "농업전문인력 교육의 발전 방향" 43-76, 2002
18 나승일, "농업인적자원개발 전문가로서의 농촌지도요원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 35 (35): 21-38, 2003
19 백영묵, "농업인의 학습양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2
20 마상진,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21 이천영, "농업인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교육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2 정철영, "농업기술센터 교육과정별 표준 프로그램 개발" 농촌진흥청 2007
23 농촌진흥청, "농업.농촌 발전계획과 연계한 농촌지도사업 중장기 계획: 2004-2013" 농촌진흥청 2005
24 김진모, "농어업인 교육정책 혁신"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5
25 정철영, "국외의 농업인력 교육 체제 및 현황 분석- 미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 한국농업교육학회 34 (34): 49-72, 2002
26 최상덕, "교육계좌제 시행을 위한 평생학습 인증체제 구축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27 UNESCO, "Recognition, Validation and Certification of Informal and Non-formal Learning" UNESCO 2005
28 OECD, "New OECD Activity on Recognition of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Guidelines for Country Participation" OECD 2006
29 정철영, "21세기 지식기반 농업을 위한 농업인력 육성 방안. 서울대학교 BK21연구과제 보고서"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02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12-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8-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5-03-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8 | 1.08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35 | 1.587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