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曹雪芹의 소설 紅樓夢을 소재로 각색한 청대 시기 희곡 중에서,극작가 吳鎬의 紅樓夢散套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吳鎬의 紅樓夢散套=...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2991
2016
-
紅樓夢 ; 각색 ; 희곡 ; 紅樓戱 ; 曹雪芹 ; 吳鎬 ; 초점화자 ; 규장각 ; 紅樓夢 ; 改編 ; 戱曲 ; 紅樓戱 ; 曹雪芹 ; 吳鎬 ; 焦點話者 ; 奎章閣 ; Hongloumeng ; Dramatization ; Drama ; Honloumeng Drama ; Cao Xueqin ; Wu Hao ; Focalizer ; Kyujanggak
820
KCI등재
학술저널
57-84(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曹雪芹의 소설 紅樓夢을 소재로 각색한 청대 시기 희곡 중에서,극작가 吳鎬의 紅樓夢散套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吳鎬의 紅樓夢散套=...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曹雪芹의 소설 紅樓夢을 소재로 각색한 청대 시기 희곡 중에서,극작가 吳鎬의 紅樓夢散套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吳鎬의 紅樓夢散套는 청대에 각색한홍루몽 희곡에서 통시적으로 중간 시기에 위치한 작품으로, 극작가가 소설 원작에 대한 비평적 태도를 드러내는 동시에 다른 홍루몽 희곡 작품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각색을 하게 된주요 출발점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극작가가 이러한 태도를 구현하는 주요각색 방법은 紅樓夢散套의 체제와 구성을 분석하고, 극중 인물의 배치와 운용을 분석하는것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극의 내용을 120회 紅樓夢의 주요 이야기 전개 축선을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원작의 색채를 존중하였고, 극 전개 상 주요 대목에서 여성 인물을 초점화자로 설정하며 이들의 극중 역할 비중을 원작에 비해 확대하거나 축소하고,또 역할의 성격을 변경하는 것 등을 통해 원작 및 기타 각색 희곡 작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주제 의식을 형상화 하도록 하는 결과를 도출하도록 의도하였다. 紅樓夢散套의 극본은 여러 차례 중복 간행하였고, 또 중국 이외 지역으로 전파되었는데, 특히 한국에서 소장하고 있는 紅樓夢散套본은 유일한 청대 홍루몽 희곡 작품으로, 희곡 각색을 통한 중국에서의 紅樓夢 수용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紅樓夢 전파 과정, 나아가 중국고전 소설과 기타 장르와의 연관 관계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참고할 만한 측면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ght after Hongloumeng was published, it has been well-received by a lot ofpeople. Some drama writers even tried to change the plot to make it go well withtraditional Chinese dram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Wu Hao, theHongloumeng drama ...
Right after Hongloumeng was published, it has been well-received by a lot ofpeople. Some drama writers even tried to change the plot to make it go well withtraditional Chinese drama.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Wu Hao, theHongloumeng drama writer, and his Hongloumeng Santao. This paper is comprisedof four subjects in total, including first preface and last conclusion. First chapterstarts with urging the need of this research, showing the product of the paststudy, an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Chapter two consists of the motive of thedramatization and the elements of effect. The most important portion is that WuHao felt the sense of competition with other writers, especially Zhong Zhen Kui. Sohe planed to have discrimination with the works of Zhong. In the chapter three,we are going to analyze the main features of Hongloumeng Santao, one of whichpresents the change of the role of the narrator, which usually is female role.Hongloumeng Santao has spreaded across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 copyin Kyujanggak, the library in Seoul Nation University in South Korea, which wasprinted around in 1882, has a few differences with the first copy in the point ofillust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曹雪芹, "홍루몽" 나남출판사 2009
2 도해자, "글로리아 네일러의 셰익스피어 다시쓰기 - 『마마 데이』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4) : 33-54, 2014
3 王丹, "荊石山民『紅樓夢散套(曲譜)』考述―兼論兩種新發現的版本" 中國藝術硏究院 (6) : 2015
4 一粟, "紅樓夢資料彙編" 中華書局 1964
5 徐扶明, "紅樓夢與戱曲比較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84
6 李根亮, "紅樓夢的傳播與接受" 黑龍江人民出版社 2007
7 一粟, "紅樓夢書錄" 中華書局 1953
8 阿英, "紅樓夢戱曲集" 中華書局 1978
9 洪振快, "紅樓夢古畵錄" 人民文學出版社 2010
10 조미원, "紅樓夢 서사는 어떻게 다시 쓰여져 왔는가?(Ι)― 淸代 中·後期의 紅樓戱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57) : 349-369, 2009
1 曹雪芹, "홍루몽" 나남출판사 2009
2 도해자, "글로리아 네일러의 셰익스피어 다시쓰기 - 『마마 데이』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4) : 33-54, 2014
3 王丹, "荊石山民『紅樓夢散套(曲譜)』考述―兼論兩種新發現的版本" 中國藝術硏究院 (6) : 2015
4 一粟, "紅樓夢資料彙編" 中華書局 1964
5 徐扶明, "紅樓夢與戱曲比較硏究" 上海古籍出版社 1984
6 李根亮, "紅樓夢的傳播與接受" 黑龍江人民出版社 2007
7 一粟, "紅樓夢書錄" 中華書局 1953
8 阿英, "紅樓夢戱曲集" 中華書局 1978
9 洪振快, "紅樓夢古畵錄" 人民文學出版社 2010
10 조미원, "紅樓夢 서사는 어떻게 다시 쓰여져 왔는가?(Ι)― 淸代 中·後期의 紅樓戱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57) : 349-369, 2009
11 曹雪芹, "紅樓夢" 人民文學出版社 1996
12 李修生, "古本戲曲劇目提要" 文化藝術出版社 1997
13 王文章, "傅惜華藏古典戲曲珍本叢刊 75" 學苑出版社 2010
14 이지은, "仲振奎의 紅樓夢傳奇 硏究" 중국어문연구회 (43) : 469-487, 2009
15 崔洛民, "『紫釵記』成書 過程을 통해 본 湯顯祖의 俗文學觀" 대한중국학회 24 : 2005
宋元話本小說 ‘篇尾’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예술의 의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7 | 0.439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