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전체적인 상황과 그 특징을 파악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만주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은 1599년의 老滿文과 1632년의 新滿文으로부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2990
2016
-
만주족 ; 만주어 ; 번역 ; 중국소설 ; 출판 ; 滿漢合璧 ; 演義小說 ; 재자가인소설 ; 四大奇書 ; 滿洲族 ; 滿洲语 ; 飜譯 ; 中國小說 ; 出版 ; 滿漢合璧 ; 演義小說 ; 才子佳人小說 ; 四大奇書 ; The Manchu ; Manchu Language ; Chinese Novel ; Translation ; Publication ; Parallel Translation in Manchu and Han Script(滿漢合璧) ; Historical Novel ; Love Stories about Genius and Beauty ; Sitaqishu(四大奇書)
820
KCI등재
학술저널
85-114(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전체적인 상황과 그 특징을 파악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만주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은 1599년의 老滿文과 1632년의 新滿文으로부터 ...
본 논문은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전체적인 상황과 그 특징을 파악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만주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것은 1599년의 老滿文과 1632년의 新滿文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만주족은 정권 초기부터 한족 문화와 제도를 적극 수용하였고, 그로 인해 한문 서적의 만주어 번역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文館으로부터 內三院, 內閣 기구에는 滿文 번역 부서가 마련되어 있었고, 內翻書房과 같은 전문번역기구가 설치되기도 하였다. 科擧에는 飜譯科가 신설되었고, 啓心郞, 筆帖式과 같은 통번역 업무를 전담하는 관료 계층도 생겨났다. 國子監과 八旗 교육기관에서는 만주어문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만주어 학습을 장려하였고, 만문을 사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에 힘썼다. 청대 만주어 번역 소설의 출현은 이런 독특한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만문 도서는 크게 抄本과 刻本으로 구분되며, 각본은 官刻本과 坊刻本으로 나뉜다. 청대에나온 만문 도서는 수도 北京의 황실 중심의 관각본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에 지방 관서의 각본은 주로 만주어문 학습에 필요한 교과서나 공구서가 중심으로, 지극히작은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업적인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만문 坊刻本 역시 北京에 집중되어 있었다. 방각본 만문 도서는 대부분 만한합벽이고 순수 만문으로만 된 것은 극소수이다. 당시 書坊들에게 만문 도서의 간행은 주력 사업이 아닌 부차적인 아이템이었다. 내용적으 로 四書 등과 같은 유가경전, 사전류, 만주어문 학습서 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고, 삼국연의, 요재지이 등과 같은 문학 작품은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필자의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존하는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은 대략 48종이다.이 가운데 90% 정도는 만문으로만 번역되어 있고, 10%는 만문과 한문이 병렬되어 있는 滿漢合璧으로 되어 있다. 내용적으로 볼 때 연의류 소설과 재자가인류 소설이 거의 80% 정도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대기서’는 만주족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던 소설로, 삼국연의는 多爾袞의 명으로 순치7년(1650)에 간행되었고, 사대기서 나머지 작품들도비교적 이른 시기인 강희 연간에 만문으로 번역되어 각본, 혹은 초본의 형태로 유통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전체적으로 볼 때 청대 만주어로 번역된 중국 소설의 규모와 유통 범위는 크지 않았고, 주로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만문 식자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그 식자층은 대부분 ‘旗人’에 속해 있던 사람들로 만주족을 비롯하여 일부 몽고족, 한족 등 만주어문화권에 속해 있던 사람들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역본 소설은 만주어문화권에 속해 있던 蒙古族, 錫伯族, 達斡爾族 등 북방 소수민족들을 비롯하여 글자를 알지못하던 훨씬 더 많은 만주족들에게 ‘烏勒本(ulabun)’과 같은 說唱 예술의 형태로 전파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for grasping the overall situations andthe features of Chinese novel which were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inQing dynasty. The Manchu people became to have the new Manchu script(新滿文)since 1632 to ...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for grasping the overall situations andthe features of Chinese novel which were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inQing dynasty. The Manchu people became to have the new Manchu script(新滿文)since 1632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old Manchu script(老滿文, 1599). Thetranslation of the Manchu script from the Chinese character had risen inprominence, because Manchurian rulers wholeheartedly accepted the Han Chineseculture and the system from the initial stages of administration.Manchurian emperors set up the government department to take charge oftranslation work from Wenguan(文館) to Neisanyuan(內三院), Neke(內閣). Especially,The Kangxi emperor newly established the Neifanshufang(內飜書房) to takecompete charge of translation work about in 1671. The Qing government createdthe Fanyike(飜譯科)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also appointed governmentofficials to take charge of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ork, such asQixinlang(啓心郞) and bitieshi(筆帖式). The advent of the Manchurian translationnovels was related to the this historical background.The Manchu language books were divided into handwritten(抄本) and printededitions(刻本). The printed editions were divided into Guanke(官刻) and Fangkeeditions(坊刻). The palace edition books of capital Beijing took the absolute partsamong the Guanke editions, while provincial Guanke edition books occupied thesmall part. Fangke edition books were concentrated in Beijing. Fangke editionbooks were mainly translated into parallel translations in the Manchu and Hanscript(滿漢合璧). In addition, the most of publishers at that times published theManchu language books as the secondary items.According to my research, the Manchurian translation novels were about 48volumes. About ninety percent were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and tenpercent were parallel translations in the Manchu and Han script. Historical novels and love stories about genius and beauty almost occupied 80 percent amongthem. Sidaqishu(四大奇書) were also very popular novels among the Manchupeople. Sanguoyanyi were published in 1650 according to Dorgon's order. The restthree works were presumed to be translated in Kangxi years (1662-1722) in theearly Qing dynasty.In conclusion, Chinese novels translated into the Manchu language were not somany as we expected. Reader class of the Manchu language novels were restrictedin Beijing’s qiren(旗人), who were composed of Manchu, Mongol, Han people.Nonetheless, the Manchurian translation novels opened up the way to transmit tothe illiterate Manchu people by means of the Manchu traditional oral art like theulabun(烏勒本), and paved the way to transmit to northern ethnic minorities suchas Mongol, Xibo, Daur people within the Manchu language cultural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孫殿起, "琉璃廠小志" 北京古籍出版社 1982
2 趙志強, "論淸代的內翻書房" 中國人民大學 (2) : 1992
3 陳康祺, "浪潛紀聞初筆二筆三筆" 中華書局 1984
4 최형섭,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한국중국어문학회 65 : 89-115, 2010
5 마크 C. 엘리엇,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6 賀元秀, "論滿文譯本『三國演義』在新疆錫伯族民間的流傳及其影響" 伊犁師範學院 (4) : 2012
7 吳雪娟, "論滿文翻譯的歷史與現狀"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5
8 章宏偉, "論清代前期滿文出版傳播的特色" 河南大學 (1) : 2009
9 薛瑞兆, "論女眞字文化的興衰" 中國社會科學院少數民族文學研究所 (6) : 2011
10 陳伯霖, "試論達海" 黑龍江省民族研究所 (4) : 1987
1 孫殿起, "琉璃廠小志" 北京古籍出版社 1982
2 趙志強, "論淸代的內翻書房" 中國人民大學 (2) : 1992
3 陳康祺, "浪潛紀聞初筆二筆三筆" 中華書局 1984
4 최형섭,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한국중국어문학회 65 : 89-115, 2010
5 마크 C. 엘리엇,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6 賀元秀, "論滿文譯本『三國演義』在新疆錫伯族民間的流傳及其影響" 伊犁師範學院 (4) : 2012
7 吳雪娟, "論滿文翻譯的歷史與現狀"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5
8 章宏偉, "論清代前期滿文出版傳播的特色" 河南大學 (1) : 2009
9 薛瑞兆, "論女眞字文化的興衰" 中國社會科學院少數民族文學研究所 (6) : 2011
10 陳伯霖, "試論達海" 黑龍江省民族研究所 (4) : 1987
11 郭孟秀, "試論滿文文獻特徵" 遼寧省民族研究所 (4) : 2003
12 郭孟秀, "試論早期滿文文獻分類"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2
13 范志新, "荑荻散人·主人天花藏·徐震―『平山冷燕』作者考" 江蘇省社會科學院文學研究所 (2) : 1985
14 阮葵生, "茶餘客話" 世界書局 1963
15 梁苑, "素政堂主人是天花藏主人-兼考其非馮夢龍之子馮焴及馮氏後裔" 江蘇省社會科學院文學研究所 (3) : 2011
16 高荷紅, "滿族說部傳承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1
17 黃潤華, "滿文譯本『唐人小說』『聊齋志異』等序言及譯印『三國演義』諭旨" 國家圖書館 (2) : 1983
18 黃潤華, "滿文翻譯小說述略" 國家圖書館 (2) : 1983
19 李雲霞, "滿文的起源及其發展演變"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3
20 劉厚生, "滿文本『金瓶梅序』今譯" 黑龍江省滿語研究所 (2) : 1989
21 富麗, "滿文文獻整理縱橫談" 中央民族學院 (3) : 1984
22 巴達榮嘎, "滿文對達斡爾族文化發展所起的作用" 遼寧省民族研究所 (2) : 1985
23 黃潤華, "滿文官刻圖書述論" 國家圖書館 (4) : 1996
24 黃潤華, "滿文坊刻圖書述論" 國家圖書館 (2) : 1999
25 滋陽, "滿文『金瓶梅』" 吉林大學 (5) : 1985
26 沈一民, "清初的筆帖式" 中國第一歷史檔案館 (1) : 2006
27 烏雲娜, "清代蒙譯漢小說版本述略" 中國社會科學院少數民族文學研究所 (3) : 2009
28 王麗, "清代翻譯科述論" 遼寧大學 (4) : 2001
29 李紅, "清代筆帖式" 中國第一歷史檔案館 (2) : 1994
30 季永海, "清代滿譯漢籍研究" 中央民族大學 (3) : 2009
31 巴根, "清代滿蒙翻譯考略"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4
32 趙令志, "清代滿漢合璧字辭書及其作用探析" 黑龍江省滿語研究所 (2) : 2009
33 吳修琴, "清代滿文官刻圖書發展述略" 渝西學院 (3) : 2005
34 王淑玲, "淺談天花藏主人才子佳人小說創作分期" 吉林省作家協會 7 : 2010
35 "淸實錄(60冊)" 中華書局 1986
36 向斯, "武英殿刻本之纂修" 故宮博物院 (128) : 2005
37 楊玉良, "武英殿修書處及內府修書各館" 故宮博物院 (1) : 1990
38 石昌渝, "明代小說面面觀" 學林出版社 2002
39 王崇儒, "掌固零拾" 臺灣文海出版社 1966
40 金光平, "從契丹大小字到女眞大小字" 內蒙古大學 (2) : 1962
41 趙志忠, "從『清文啓蒙』看清代前期滿族人的雙語使用" 黑龍江省滿語研究所 (1) : 2000
42 張兆平, "康熙朝著名滿文飜譯和素" 故宮博物院 (4) : 2013
43 文革紅, "天花藏主人非嘉興徐震考" 江蘇省社會科學院文學研究所 (1) : 2005
44 邱江寧, "天花藏主人爲女性考" 復旦大學 (1) : 2006
45 劉雪蓮, "天花藏主人爲嘉興秀水張勻考辨" 東北師範大學古籍整理研究所 (4) : 2013
46 최형섭, "四夷館을 통해 본 명대 전기 사회의 혼종성" 한국중국어문학회 73 : 107-134, 2012
47 昭槤, "嘯亭雜錄" 中華書局 1980
48 聚寶, "嘉靖本『三國演義』蒙譯本述略" 內蒙古師範大學 (5) : 2014
49 沈一民, "啓心郞與淸初政治" 河南省歷史學會 (6) : 2006
50 邸永君, "啓心郞考" 中國社會科學院 (1) : 2006
51 黃潤華, "全國滿文圖書資料聯合目錄" 書目文獻出版社 1991
52 李福清, "中國章回小說與話本的蒙文譯本" 國家圖書館 (4) : 1982
53 孟昭連, "中國小說藝術史" 浙江古籍出版社 2003
54 石昌渝, "中國小說源流論" 三聯書店 1994
55 中國民族古文字硏究會, "世界滿文文獻目錄" 中國民族古文字硏究會 1983
56 陳崗龍, "『三國演義』滿蒙譯本比較研究" 中國社會科學院少數民族文學研究所 (4) : 2011
57 秀雲, "『三國演義』滿文翻譯考述" 中央民族大學 (6) : 2014
58 朱賽虹, "‘殿本’的發源地-武英殿修書處" 開明出版社 (4) : 2003
59 李忠明, "17世纪中國通俗小說编年史" 安徽大學出版社 2003
宋元話本小說 ‘篇尾’에 나타난 수사학적 표현예술의 의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7 | 0.439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