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 어문 규범의 단일성과 다양성 -표준어 맞춤법, 문화어 맞춤법을 중심으로- = Uniformity and Diversity of the Korean Language Norms - Focusing on “Pyojuneo Orthography” and “Munhwaeo Orthograph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74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의 맞춤법 차이는 원리의 근본적인 차이보다는 개별 항목에 대한 판단과 선택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남북의 맞춤법은 한글의 표기가 보여 줄 수 다양성을 보여 주는 체계로 파악할 ...

      남북의 맞춤법 차이는 원리의 근본적인 차이보다는 개별 항목에 대한 판단과 선택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남북의 맞춤법은 한글의 표기가 보여 줄 수 다양성을 보여 주는 체계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남북의 맞춤법을 각각 ‘표준어 맞춤법’과 ‘문화어 맞춤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언어 공동체에 규범이 되는 언어 외에 소통을 위한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는 것을 감안하면 표준어 맞춤법과 문화어 맞춤법의 존재도 다양성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복수의 맞춤법을 언어의 이질화가 아니라 언어의 다양성으로 해석한다면 지향해야 할 일차 목표도 언어의 단일화나 형식적 통일이 아닌 언어의 소통성 강화와 언어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이 될 것이다. 남북의 언어 발전을 위해서는 남북의 언어 문화 자산을 정리하고 공유할 수 있는 남북 공동 국어사전의 편찬이 무척 중요하다. 국어사전은 언어 문화의 자산을 정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로 공감하는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jority of differences in spellings between the “Pyojuneo” and “Munhwaeo” are not based on differences in principles, but are instea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judgment and choice of individual items. The orthography of the “Pyojuneo...

      The majority of differences in spellings between the “Pyojuneo” and “Munhwaeo” are not based on differences in principles, but are instead based on differences in the judgment and choice of individual items. The orthography of the “Pyojuneo” and “Munhwaeo” is a system that presents the diversity of Hangeul expressions. In this aspect, they can be called “Pyojuneo orthography” and “Munhwaeo orthography,”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that it is natural for a language community to have various languages for communication, other than those that become the norm, the existence of standard and cultural orthography can also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ty. If a language is not heterogeneous, the primary goal we should aim for will also be to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of languages and to continuously develop language culture, instead of the formal unification of language. It is important to compile a joint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at allows the two Koreas to organize and share language and cultural assets.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will not only focus on organizing the assets of language culture, but will also focus on creating a culture that helps people to sympathize with each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형식, "형태 표기의 원리와 적용 범위" 배달말학회 25 : 261-291, 1999

      2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한눈에 들어오는 남북 사전의 올림말 표기 차이" 맵씨터 2019

      3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4 이선웅, "한국어 정서법" 사회평론 1-433, 2015

      5 정희창, "표준어 맞춤법, 문화어 맞춤법, 그 다양성에 대하여" 한겨레말글연구소 20-27, 2018

      6 연규동, "통일 시대의 한글 맞춤법" 박이정 1-316, 1998

      7 고영근, "통일 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1-550, 1994

      8 사회과학원 출판사, "조선어 규범 변천사" 2005

      9 사회과학원 출판사, "조선어 규범 리론" 2005

      10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사회과학원 2010

      1 우형식, "형태 표기의 원리와 적용 범위" 배달말학회 25 : 261-291, 1999

      2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사업회, "한눈에 들어오는 남북 사전의 올림말 표기 차이" 맵씨터 2019

      3 국립국어원,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해설"

      4 이선웅, "한국어 정서법" 사회평론 1-433, 2015

      5 정희창, "표준어 맞춤법, 문화어 맞춤법, 그 다양성에 대하여" 한겨레말글연구소 20-27, 2018

      6 연규동, "통일 시대의 한글 맞춤법" 박이정 1-316, 1998

      7 고영근, "통일 시대의 어문 문제" 길벗 1-550, 1994

      8 사회과학원 출판사, "조선어 규범 변천사" 2005

      9 사회과학원 출판사, "조선어 규범 리론" 2005

      10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사회과학원 2010

      11 김계곤, "남북한 한글 맞춤법" 한글학회 13 : 23-41, 2000

      12 기세관, "남북한 통일 맞춤법을 위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6) : 231-250, 1994

      13 이관규, "남북한 어문 정책의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회 (176) : 63-90, 2016

      14 전수태, "남북한 어문 규범 연구사" 국립국어원 1-253, 2005

      15 전수태,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1-186, 2004

      16 김양진(金亮鎭),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 -형태 규범(표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20) : 83-119, 2003

      17 김민수, "남북의 언어통합과 공용어" 우리어문학회 (20) : 5-21, 2003

      18 김민수,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1-476, 2002

      19 정희창, "남북 어문 규범의 단일성과 다양성" 어문연구학회 5-14, 2019

      20 한용운,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301-322, 2007

      21 김하수, "남과 북의 맞춤법" 커뮤니케이션북스 1-122, 2014

      22 연규동, "남과 북 공통 표기법의 조건" 국립국어원 25 (25): 45-66, 2015

      23 정순기, "규범 문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북과 남의 차이에 대하여" 겨레말큰사전편찬위원회 1-11, 2006

      24 이기문,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1-23, 1963

      25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434, 1992

      26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699, 1999

      27 "겨레말큰사전 편찬사업회 ‘한눈에 들어오는 남북 언어’"

      28 정희창, "“표준어 모음”의 분석적 연구" 국제어문학회 (74) : 271-289, 2017

      29 이현희, "‘다’ 어사의 성격에 대하여-누러다류와 엇더다류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2 : 221-248, 1985

      30 최형용,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표기의 원리" 한중인문학회 (26) : 167-184, 2009

      31 윤동주, "'판문점 선언'으로 보는 남북 맞춤법, 얼마나 다를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