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에너지원별 산업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New Renewable Energy Program by Using Input-Output T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38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구도가 세계적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도 산업화에 관심을 가지고 정책적 지원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참여정부가 2004년에 선언한 신재...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구도가 세계적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도 산업화에 관심을 가지고 정책적 지원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참여정부가 2004년에 선언한 신재생에너지 산업화는 이명박 정부를 통해서도 그대로 계승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었다. 그렇지만 보급 확대를 통해서 관련 산업의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산업화 전략이 과연 적절하고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았던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가 주류 산업을 대체하기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거 10년 동안 정부가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 중인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화가 과연 올바른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는지, 한국 경제 및 산업구조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이제는 냉철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산업화라는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파급효과를 생산유발과 고용유발로 구분해서 분석하고 있다. 연구결과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생산유발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파급효과가 큰데 반해 고용유발효과는 작은 것으로 밝혀졌다. 에너지원별로는 정부가 중점적으로 지원?육성하는 태양광의 경우 생산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가 모두 낮은데 반해, 풍력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 같은 산업파급효과의 의의 및 한계를 고려해서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산업화를 추진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propel new renewable energy industrialization actively in the context of change in this industrial structure. The previous government declared this kind of industrialization as a national goal in 2004 and the current...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propel new renewable energy industrialization actively in the context of change in this industrial structure. The previous government declared this kind of industrialization as a national goal in 2004 and the current government also supports this strate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is strategy is proper and effective. The reason is because solar, wind and fuel cells that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the new growth engines cannot replace main industries yet.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new renewable energy industrialization by dividing them into production effect and job creation effec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solar energy is not effective at all, while wind energy is very effective in both production and job cre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has to propel new renewable energy industrialization after consideration of these kinds of economic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동아, "한중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와 시사점" (61) : 2011

      2 김윤경,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한 수소에너지 도입에 따른 물가 및 고용변화 분석" 3 (3): 41-65, 2006

      3 조용권, "태양광 산업의 환경변화와 시사점" (49) : 2010

      4 김태은, "제도변화와 대체요인으로서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179-208, 2009

      5 김수진, "재생에너지의 고용효과 분석: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6 진상현,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정책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18 (18): 187-208, 2009

      7 김윤경, "신재생에너지분야 투자영향분석모형 기초연구: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2011

      8 진상현,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도입관련 서울시의 대응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9 진상현, "신재생에너지 산업 및 기술의 해외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159-177, 2007

      10 이철용, "신재생에너지 부품ㆍ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화 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0

      1 원동아, "한중 신재생에너지 정책 비교와 시사점" (61) : 2011

      2 김윤경, "투입산출분석을 이용한 수소에너지 도입에 따른 물가 및 고용변화 분석" 3 (3): 41-65, 2006

      3 조용권, "태양광 산업의 환경변화와 시사점" (49) : 2010

      4 김태은, "제도변화와 대체요인으로서 딜레마 대응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3 (43): 179-208, 2009

      5 김수진, "재생에너지의 고용효과 분석: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6 진상현,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정책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18 (18): 187-208, 2009

      7 김윤경, "신재생에너지분야 투자영향분석모형 기초연구: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2011

      8 진상현,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도입관련 서울시의 대응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9 진상현, "신재생에너지 산업 및 기술의 해외 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159-177, 2007

      10 이철용, "신재생에너지 부품ㆍ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화 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0

      11 이준행, "서‧남해안 지역 조력‧조류 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성에 관한 小考" 에너지경제연구원 8 (8): 1-32, 2009

      12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13 이데 마사히로, "산업연관분석 입문"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7

      14 양성진, "떠오르는 중국 태양광 시장에서 찾아보는 기회"

      15 김유진, "국내 신·재생전원 보급지원제도의 평가 및 개선방향" 한국경제연구학회 20 (20): 107-13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자원환경경제연구
      외국어명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5 0.7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