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UI Desig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Infotainment System for Automobi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39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 산업의 눈부신 성장은 자율 주행 자동차,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커넥티드카의 등장과 함께 이전과는 다른 운전자의 경험특성과 주행에 따른 안전과 편의, 유희적 정보에 대한 통합 시스템 요구를 불러왔다. 자동차 대시보드의 터치기반 디스플레이 영역은 더 많은 정보와 기능이 탑재되어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운전자 인지경험과 조작에 대한 사용편의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사용에 있어 UI디자인의 시각적 인지 요인과 사용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사용자 경험 만족도에 미치는 효용성 입증을 위해 연구모형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UI디자인의 시각적 요인은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안전, 편의, 유희적 구성에 따른 UI디자인 개발에 있어 시각적 인지요인과 사용자 경험을 구조화하여 사용성 개선을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자동차 산업의 눈부신 성장은 자율 주행 자동차,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커넥티드카의 등장과 함께 이전과는 다른 운전자의 경험특성과 주행에 따른 안전과 편의, 유희적 정보에 대한 통합 시...

      자동차 산업의 눈부신 성장은 자율 주행 자동차, 사물인터넷과 연결된 커넥티드카의 등장과 함께 이전과는 다른 운전자의 경험특성과 주행에 따른 안전과 편의, 유희적 정보에 대한 통합 시스템 요구를 불러왔다. 자동차 대시보드의 터치기반 디스플레이 영역은 더 많은 정보와 기능이 탑재되어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대한 운전자 인지경험과 조작에 대한 사용편의 요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사용에 있어 UI디자인의 시각적 인지 요인과 사용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사용자 경험 만족도에 미치는 효용성 입증을 위해 연구모형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UI디자인의 시각적 요인은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안전, 편의, 유희적 구성에 따른 UI디자인 개발에 있어 시각적 인지요인과 사용자 경험을 구조화하여 사용성 개선을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automobile industry has led to the emergence of connected cars connected to autonomous vehicles and the Internet, and the demand for integrated systems of safety, convenience, and amus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 s experience characteristic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The touch-based display area is expanding, and with more information and functions, the user interface and usage experience ar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ual cognition and usability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in the use of infotainment system for automobile.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through correlation. As a result, the visual factors of the UI design of the infotainment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ability by organizing and structuring systematically based on visual experience in development of UI design according to safety, convenience, and amusing configuration of infotainment system due to rapid development of automobile environment.
      번역하기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automobile industry has led to the emergence of connected cars connected to autonomous vehicles and the Internet, and the demand for integrated systems of safety, convenience, and amus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automobile industry has led to the emergence of connected cars connected to autonomous vehicles and the Internet, and the demand for integrated systems of safety, convenience, and amus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 s experience characteristic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The touch-based display area is expanding, and with more information and functions, the user interface and usage experience are increasing day by day. However, the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ual cognition and usability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in the use of infotainment system for automobile.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through correlation. As a result, the visual factors of the UI design of the infotainment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ability by organizing and structuring systematically based on visual experience in development of UI design according to safety, convenience, and amusing configuration of infotainment system due to rapid development of automobile envir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2-2. UI 디자인의 시각적 경험 2-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용성 3. 연구방법 3-1. 연구 문제 및 가설 3-2. 연구 대상 및 방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분석결과 4-1. 분석방법 4-2. 기초조사 및 분석 4-3. 각 변인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4. 가설검증 5.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2-2. UI 디자인의 시각적 경험 2-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사용성 3. 연구방법 3-1. 연구 문제 및 가설 3-2. 연구 대상 및 방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분석결과 4-1. 분석방법 4-2. 기초조사 및 분석 4-3. 각 변인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4-4. 가설검증 5.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웅, "차량 HMI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제스처 인터랙션 설계 및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 최병미, "정보 속성을 기반으로 한 차량 내디스플레이 정보 구조 및 정보 배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3 이윤희,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디스플레이 사용자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연구" 국민대학교 2017

      4 김민지, "자율주행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최적화된 제스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5

      5 박성수, "자동차 대시보드 UX디자인 트렌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235-249, 2018

      6 신지윤, "인지심리관점에서의 사용자행동요인에따른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5

      7 박여현, "운전자 중심의 기술 융합에 의한 자동차대시보드 디자인 요소 분석" 연세대학교 2017

      8 이윤지,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맥락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모바일 기기 사용경험과 컨텍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9 이희정, "스마트 폰-자동차 연결 기술이 자동차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자동차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5

      10 김병택,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UX 향상을위한 사용자 중심 콘텍스트 적용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8

      1 정희웅, "차량 HMI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제스처 인터랙션 설계 및 평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 최병미, "정보 속성을 기반으로 한 차량 내디스플레이 정보 구조 및 정보 배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3 이윤희,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디스플레이 사용자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연구" 국민대학교 2017

      4 김민지, "자율주행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최적화된 제스처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5

      5 박성수, "자동차 대시보드 UX디자인 트렌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235-249, 2018

      6 신지윤, "인지심리관점에서의 사용자행동요인에따른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5

      7 박여현, "운전자 중심의 기술 융합에 의한 자동차대시보드 디자인 요소 분석" 연세대학교 2017

      8 이윤지, "스마트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맥락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모바일 기기 사용경험과 컨텍스트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6

      9 이희정, "스마트 폰-자동차 연결 기술이 자동차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자동차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5

      10 김병택,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의 UX 향상을위한 사용자 중심 콘텍스트 적용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2018

      11 김현진, "사용자 경험 평가 체계의 개발" 1356-1362, 2012

      12 안지희, "모바일 폰 통합 서비스를 위한 UI 디자인의 사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13 장유리,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 UI 일관성을 위한 디자인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PC 웹과 모바일 웹 사용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14 육제민, "대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I디자인의 개선 방향 제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15 박준우,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에 따른 OPEN-Type 유형별 최적화 UX 체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6 "http://www.megatrendlab.com/bbs/board.php ?bo_table=Automobile_1&wr_id=54&page=2&wr_1=2017-09-09+20%3A56%3A28"

      17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608212096670061"

      18 Jacob Nielson, "Usability Engineering" Morgan Kaufmann 26-37, 1993

      19 이희원, "3D 터치를 이용한 자동차 인터페이스디자인에 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