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수준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및 우선순위 결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도시 공공서비스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 수준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 간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문헌고찰, 해외사례 조사를 통해 관련된 47개의 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지표는 FGI과정을 통해 지표의 특성과 의미를 검토하고 전문가 그룹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추출된 지표의 유형을 7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하였다. 재분류된 지표는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6가지 유형과 28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6가지 유형은 ①양적측면(5개 지표), ②이용가능성 및 접근성 측면(5개 지표), ③질적측면(7개 지표), ④유지관리측면(3개 지표), ⑤형평성 측면(6개 지표), ⑥지역특성 측면(2개 지표)이다. 선정된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①양적측면(0.11), ②이용가능성 및 접근성 측면(0.25), ③질적 측면(0.24), ④유지관리측면(0.15), ⑤형평성측면(0.15), ⑥지역특성측면(0.10)으로 이용가능성 및 접근성의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시생활권공원 서비스 공급 수준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지역별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정책 및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도시 생활권공원 서비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시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도시 공공서비스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 수준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

      본 연구는 도시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도시 공공서비스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 수준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 간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문헌고찰, 해외사례 조사를 통해 관련된 47개의 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지표는 FGI과정을 통해 지표의 특성과 의미를 검토하고 전문가 그룹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추출된 지표의 유형을 7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하였다. 재분류된 지표는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6가지 유형과 28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6가지 유형은 ①양적측면(5개 지표), ②이용가능성 및 접근성 측면(5개 지표), ③질적측면(7개 지표), ④유지관리측면(3개 지표), ⑤형평성 측면(6개 지표), ⑥지역특성 측면(2개 지표)이다. 선정된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결과 ①양적측면(0.11), ②이용가능성 및 접근성 측면(0.25), ③질적 측면(0.24), ④유지관리측면(0.15), ⑤형평성측면(0.15), ⑥지역특성측면(0.10)으로 이용가능성 및 접근성의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시생활권공원 서비스 공급 수준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지역별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정책 및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도시 생활권공원 서비스의 공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 level of Urban Living-Zone Park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indicators. For this purpose, 47 indicators were initially screen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extracted indicators were then examined by an expert group wh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m, and the indicators were reclassified into 7 types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Finally, 6 types and 28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reclassified indicators through feasibility test. Those six selected types are: ① quantity (5 indicators), ②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5 indicators), ③ quality (7 indicators), ④ maintenance (3 indicators), ⑤ equity (6 indicators) ⑥ local characteristics (2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are as follows: ① quantitative index (0.11), ②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0.25), ③ quality(0.24), ④ maintenance (0.15), ⑤ equity (0.15), ⑥ local characteristics (0.10). Based on the analysis,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index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providing Urban Living-Zone Parks servi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 level of Urban Living-Zone Park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indicators. For this purpose, 47 indicators were initially screened 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the service level of Urban Living-Zone Park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indicators. For this purpose, 47 indicators were initially screen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extracted indicators were then examined by an expert group wh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m, and the indicators were reclassified into 7 types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Finally, 6 types and 28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reclassified indicators through feasibility test. Those six selected types are: ① quantity (5 indicators), ②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5 indicators), ③ quality (7 indicators), ④ maintenance (3 indicators), ⑤ equity (6 indicators) ⑥ local characteristics (2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are as follows: ① quantitative index (0.11), ②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0.25), ③ quality(0.24), ④ maintenance (0.15), ⑤ equity (0.15), ⑥ local characteristics (0.10). Based on the analysis,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index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providing Urban Living-Zone Parks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문헌 및 사례연구 고찰
      • 3. 평가지표 도출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문헌 및 사례연구 고찰
      • 3. 평가지표 도출
      • 4. 평가지표 중요도 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현, "환경형평성을 고려한 서울시 공원입지 분석: ArcGIS의 중첩분석 및 접근성분석기법의 응용"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77-105, 2015

      2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4 문지영, "사회・경제적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서비스우선공급권역 선정 - 청주시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83-201, 2017

      5 윤지원, "도시민을 위한 공원 환경측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도시민 만족을 위한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29-138, 2014

      6 조점임, "도시공원조성에 있어서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7 이상민, "도시공원 정책 수립을 위한 공원 평가 모델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8 배민기,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고려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국토연구원 77 : 49-66, 2013

      9 김용국,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한국조경학회 42 (42): 76-89, 2014

      10 심준영,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 37 (37): 19-27, 2010

      1 김미현, "환경형평성을 고려한 서울시 공원입지 분석: ArcGIS의 중첩분석 및 접근성분석기법의 응용"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77-105, 2015

      2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3 김용국, "서울시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평가 및 형평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6 (16): 133-149, 2015

      4 문지영, "사회・경제적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서비스우선공급권역 선정 - 청주시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183-201, 2017

      5 윤지원, "도시민을 위한 공원 환경측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도시민 만족을 위한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29-138, 2014

      6 조점임, "도시공원조성에 있어서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7 이상민, "도시공원 정책 수립을 위한 공원 평가 모델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3

      8 배민기, "도시공원 서비스의 형평성 평가를 고려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충북 청주시를 대상으로" 국토연구원 77 : 49-66, 2013

      9 김용국, "녹색복지 관점에서 서울시 생활권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 분석" 한국조경학회 42 (42): 76-89, 2014

      10 심준영,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 37 (37): 19-27, 2010

      11 "https://stat.molit.go.kr"

      12 "http://www.law.go.kr"

      13 "http://parkscore.tpl.org"

      14 Anna Chiesura, "The role of urban parks for the sustainable city" 68 : 129-138, 2004

      15 CABE Space, "The Value of Public Space: How High Quality Parks and Public Spaces Creat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 First Edition"

      16 CABE Space, "Raising the Standard: The Green Flag Award Guidance Manual, First Edition"

      17 Sister, C, "Got green? addressing environmental justice in park provision" 75 (75): 229-248, 2010

      18 Puay Yok Tan, "Effects of spatial scale on assessment of spatial equity of urban park provision" 158 : 139-154, 2017

      19 Dorothy, C. Ibes, "A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and equity analysis of an urban park system: A novel methodology and case study application" 137 : 122-137,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