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합문화시설 외부공간 설계요소의 공공성분석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문화권에 대한 평등성 및 공공성 실현을 위하여 건립된 복합문화시설 외부공간이 내포해야할 공공성 관련 설계요소 평가 및 계획 방향 제시에 목적을 가진다. 연구결과, 복합문화시설 공공성 설계요소 중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높은 요소로 선정되었으며,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정체성’, ‘개방성’, ‘다양성’, ‘심미성’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외부공간의 공공성 설계요소에 대한 평가는 ‘다양성’이 가장 높은 점수, ‘정체성’, ‘쾌적성’, ‘접근성’, ‘심미성’, ‘안전성’, ‘개방성’, ‘편의성’의 순으로 평가받았다. 그리고 이용객만족도조사를 통하여 전체적 공공성 설계요소 평균값을 기준으로 재검토 및 개선 필요성이 있는 공공성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문화권에 대한 평등성 및 공공성 실현을 위하여 건립된 복합문화시설 외부공간이 내포해야할 공공성 관련 설계요소 평가 및 계획 방향 제시에 목적을 가...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요구되는 문화권에 대한 평등성 및 공공성 실현을 위하여 건립된 복합문화시설 외부공간이 내포해야할 공공성 관련 설계요소 평가 및 계획 방향 제시에 목적을 가진다. 연구결과, 복합문화시설 공공성 설계요소 중 ‘접근성’이 가장 중요한 높은 요소로 선정되었으며, ‘안전성’, ‘쾌적성’, ‘편의성’, ‘정체성’, ‘개방성’, ‘다양성’, ‘심미성’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외부공간의 공공성 설계요소에 대한 평가는 ‘다양성’이 가장 높은 점수, ‘정체성’, ‘쾌적성’, ‘접근성’, ‘심미성’, ‘안전성’, ‘개방성’, ‘편의성’의 순으로 평가받았다. 그리고 이용객만족도조사를 통하여 전체적 공공성 설계요소 평균값을 기준으로 재검토 및 개선 필요성이 있는 공공성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 elements and planning related to publicity that must be contained in the external space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constructed to realize the equality of and publicize the cultural areas required in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cces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publicity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followed by “safety,” “comfort,” “convenience,” “identity,” “openness,” “diversity,” and “aesthetics,” in descending order. Of the publicity design elements used in the external spaces of the National Asian Culture Complex, “diversity”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identity,” “comfort,” “accessibility,” “aesthetics,” “safety,” “openness,” and “convenience.” A user satisfaction survey revealed that the following elements were identified as needing to be reviewed and improved based on the mean value of overall publicity design elements: “access from a vehicle,” “location and number of convenience facilities,”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number of guidance facilities,” “number of CCTV cameras,” “access from streets and crosswalks,” “barrier-free facilities,” “number of vertical circulation vents,” “low-level transitional spaces,” “cultural history preservation,” “spatial proportions,” “access from bicycles,” and “waterscape facility design.”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 elements and planning related to publicity that must be contained in the external space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constructed to realize the equality of and publicize the cultural areas re...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design elements and planning related to publicity that must be contained in the external space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constructed to realize the equality of and publicize the cultural areas required in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cces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publicity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facilities, followed by “safety,” “comfort,” “convenience,” “identity,” “openness,” “diversity,” and “aesthetics,” in descending order. Of the publicity design elements used in the external spaces of the National Asian Culture Complex, “diversity”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identity,” “comfort,” “accessibility,” “aesthetics,” “safety,” “openness,” and “convenience.” A user satisfaction survey revealed that the following elements were identified as needing to be reviewed and improved based on the mean value of overall publicity design elements: “access from a vehicle,” “location and number of convenience facilities,”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number of guidance facilities,” “number of CCTV cameras,” “access from streets and crosswalks,” “barrier-free facilities,” “number of vertical circulation vents,” “low-level transitional spaces,” “cultural history preservation,” “spatial proportions,” “access from bicycles,” and “waterscape facility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연구 분석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이론적 고찰
      • 3. 연구 분석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