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제기되어 온 특별계획구역제도에 대한 여러 쟁점들에 대해서 두 개의 대규모 복합상업시설 개발사례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분석함으로써 특별계획구역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0368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71(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제기되어 온 특별계획구역제도에 대한 여러 쟁점들에 대해서 두 개의 대규모 복합상업시설 개발사례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분석함으로써 특별계획구역제...
본 연구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제기되어 온 특별계획구역제도에 대한 여러 쟁점들에 대해서 두 개의 대규모 복합상업시설 개발사례가 어떻게 대응하였는지 분석함으로써 특별계획구역제도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성 확보를 위한 명확한 목표의 부재, 특별계획구역제도의 경직된 시행과정, 제공된 공공시설의 질적 문제, 주변 환경과 맥락을 간과한 개발, 계획 · 설계주체 선정의 문제 등의 쟁점을 분석틀로 하여 영등포 준공업지역 내 타임스퀘어와 디큐브시티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로는 첫째, 공공성 확보를 위해 명확하게 계획되고 구체적으로 명시된 지침들은 개발과정 동안 민관협의를 통해 양호한 공공시설 설치로 이어졌다. 둘째, 공공과 민간의 적극적이면서도 유연한 협의는 수준 높은 공공공간 구현을 위해 필수적이다. 셋째, 다양한 공공시설의 조성만큼 시설활용에 대한 세밀한 계획도 중요하다. 넷째, 주변맥락을 고려한 건물 및 동선계획은 시설방문객과 지역주민 모두에게 유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수준 높은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설계과정의 일관성과 분야별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implications of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 (SPD) Zoning Code by analyzing how two commercial complexes counteracted various issues about SPD that were brought up in the 2000s. Framework issues refer to the a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implications of the Special Planning District (SPD) Zoning Code by analyzing how two commercial complexes counteracted various issues about SPD that were brought up in the 2000s. Framework issues refer to the absence of a clear goal for public procurement, inflexibility of managing the SPD system, poor quality of prepared public spaces, overlooking the neighborhood context,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organizing design and development companies. Times Square and D-Cube City, which are located in the Yeoungdeungpo Semi-industrial Zon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first outcome of the paper is that clear public purposes and concrete guidelines lead to well-made public spaces. Second, active and flexible public-private consultation is indispensable to actualizing a high-quality public environment. Third, it is as important to create a detailed plan for using prepared spaces as well as to create spaces. Fourth, a neighborhood that takes into account development provides a good impact to both visitors and community. Finally, a well-organised design team is necessary for successful develop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보행자우선도로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운전자 인지 및 운전 행태에 관한 연구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수준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및 우선순위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