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 평가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액 및 채택된 사업수의 변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3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정착됨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를 평가해 봄으로써 동 제도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예산의 변화, 제안된 사업과 채택된 사업의 변화, 운영방식, 지역의 규모 등을 변수로 활용하여 추세분석(trend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세 가지 운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했더라도 운영수준은 형식에 그치는 자치단체가 많았다. 둘째,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셋째, 운영방식과 참여수준에 따라 지역주민들의 사업제안 수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와 관련하여 운영방법에 대한 자세한 조례의 제정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의견수렴 방식을 개선하고 참여수준을 높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목적에 걸맞은 운영을 위하여 자체적인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정착됨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를 평가해 봄으로써 동 제도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

      본 연구는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정착됨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를 평가해 봄으로써 동 제도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예산의 변화, 제안된 사업과 채택된 사업의 변화, 운영방식, 지역의 규모 등을 변수로 활용하여 추세분석(trend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세 가지 운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했더라도 운영수준은 형식에 그치는 자치단체가 많았다. 둘째,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은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셋째, 운영방식과 참여수준에 따라 지역주민들의 사업제안 수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주민참여예산제도와 관련하여 운영방법에 대한 자세한 조례의 제정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의견수렴 방식을 개선하고 참여수준을 높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목적에 걸맞은 운영을 위하여 자체적인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노순, "한국에서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실태 및 성공적 발전방안" 4 (4): 1-24, 2006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3 김철, "표준조례제도의 법정책학적 분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표준안을 중심으로" 2008

      4 허만형,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 연구: 제도도입 전후 출산율 증감경향 비교분석" 경인행정학회 11 (11): 387-409, 2011

      5 이원희, "참여적 지방재정 운영 방향" 2003

      6 하승우, "참여예산제와 민주주의: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시의 한국에 대한 경험적 함의" 2 (2): 113-134, 2006

      7 정명은,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 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회 46 (46): 85-114, 2012

      8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9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10 엄태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미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7 (27): 39-64, 2013

      1 장노순, "한국에서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실태 및 성공적 발전방안" 4 (4): 1-24, 2006

      2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3 김철, "표준조례제도의 법정책학적 분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표준안을 중심으로" 2008

      4 허만형,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 연구: 제도도입 전후 출산율 증감경향 비교분석" 경인행정학회 11 (11): 387-409, 2011

      5 이원희, "참여적 지방재정 운영 방향" 2003

      6 하승우, "참여예산제와 민주주의: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시의 한국에 대한 경험적 함의" 2 (2): 113-134, 2006

      7 정명은,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제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열린 조직으로서의 지방정부" 한국행정학회 46 (46): 85-114, 2012

      8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9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10 엄태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미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7 (27): 39-64, 2013

      11 임승후,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61-86, 2010

      12 장석준, "주민참여예산조례의 이형적 확산에 관한 실증연구: 경쟁위험분석을 중심으로" 2014

      13 이용환, "주민참여예산제의 효율적 운영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1

      14 유희숙, "주민참여예산제의 현황과 정책과제: 경기도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2 (12): 243-260, 2012

      15 권혁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청렴도 제고 효과 분석" 279-294, 2013

      16 이광원,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수원시와 서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55-283, 2013

      17 이정훈,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요인과 효과분석: 알레그레시와 5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균형발전연구원 2 (2): 115-142, 2011

      18 임성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발전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19 정재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선심성 및 전시성 예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9 (19): 175-201, 2014

      20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21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경험과 성과 : 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369-1397, 2009

      22 장인봉,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방자치단체 예산제도에 미치는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 예산편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8 (18): 105-125, 2014

      23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 어떻게 도입할것인가" 2003

      24 이순향, "주민참여예산제도 도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지출규모와 구성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3 (23): 319-341, 2011

      25 이원희, "주민참여예산위원회의 전국 네트워크 형성과 정책방향. 지방행정연구원" (75) : 2014

      26 박민정,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절차적 합리성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23-143, 2009

      27 안완기, "전라북도 주민참여예산제 효율적 운영방안:전북도민 여론조사를 중심으로" 전북발전연구원 2007

      28 김도희, "울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주민참여예산제와 주민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5 (15): 131-158, 2006

      29 김웅, "예산참여운동의 의의:브라질PT의 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2001

      30 전주상, "예산과정상의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국내외 사례 비교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189-216, 2008

      31 김철, "시민참여 예산제도의 도입 필요성 연구" 2003

      32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 한국정부학회 16 (16): 457-482, 2004

      33 곽채기, "기초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사례와 발전 방안" 44 : 43-92, 2011

      34 박광우, "광주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편성 제도화 과정과 운영성과" 2005

      35 곽채기, "광주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과정과 운영 성과"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175-211, 2007

      36 Gilman, H. R., "Transformative Deliberations: Participatory Budgeting in the United States (PDF)" 2012

      37 Lerner, J., "Participatory Budgeting: Building Community Agreement around Tough Budget Decisions" 100 (100): 30-35, 2011

      38 Bhatnagar, D., "Participatory Budgeting in Brazil (PDF)"

      39 Shah, A., "Participatory Budgeting" The World Bank 2007

      40 Sintomer, Y., "From Porto Alegre to Europ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Participatory Budgeting" 32 (32): 164-178, 2008

      41 Hwang, Y.,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ve and Alternative Modes for Engaging Citizens" Rutgers University-Newark 189-20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1.1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