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 = Protecting Minor Heirs in Inheri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48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ssue of protecting minor heirs in inheritance is an important part of child protection because the result of such legal actions may change their lives forev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root-cause analysis as well as thoroughly-prepared legal...

      The issue of protecting minor heirs in inheritance is an important part of child protection because the result of such legal actions may change their lives forev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root-cause analysis as well as thoroughly-prepared legal system are necessary to prevent young victims of insufficient legal protection in inheritance. The civil law of Republic of Korea protects the minors through persons with parental authority or guardianship based on the legal guardian system. However, regulations on acting against the interest of the minor and on abuse of rights created to limit legal parental authority cannot provide sufficient control. A more proactive measure to protect the minors in parental custody must take place. Meanwhile although an amendment was adopted for the guardianship system, it is still insufficient to protect the minors as the amendment focuses on implementing guardianship for the legal aged. All in all, control over parental custody or guardianship, such as custody control by the Family Court or instituting supervision over guardians, must be strengthened for minor protection. This, however, cannot be the fundamental solution. Too much supervision or control over custodians or guardians may cause inconveniences or burden in acting out their duties, and no matter how much the Family Court strengthens its function, there still will be limitations in getting involved in actual situations. Likewise, legal supervision over the person with parental authority is weak and is unable to suffice as a preventive measure for minor protection. Given such a situation, remedy can only remain secondary in terms of priority and the legal capacity to consider the hardship and suffering of the minor until
      he/she is remedied is obsolete. Even if remedy may be possible later on, unlike other legal actions, the problems related to inheritance cause irrepairable damages to minors’ lives in terms of impact on their
      childhood and ensuing consequences in life. Especially, under the inheritance system of Korea which is based on simple acceptance system, the danger a minor may fall into in case he/she cannot be protected by the legal guardian system is significant. Therefore, as a fundamental measure, an exception provision for minors
      should be legislated in the simple acceptance system since the system may yield results too harsh for minors to bear. It is recommended that after expiration of the decision-making time period, the law should favor limited acceptance for the minor heirs. And improvement should be made so that a supervisory organization oversees the acceptance or refusal of succession to assure no disadvantage is caused to the minor by the custodian or the guardian and that such an acceptance or refusal of succession is made in a clear stat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와 관련하여 민법상 문제되는 점
      • Ⅲ.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개선 방안
      • Ⅳ. 결 론
      • Ⅰ. 서 론
      • Ⅱ.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와 관련하여 민법상 문제되는 점
      • Ⅲ. 상속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개선 방안
      • Ⅳ.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춘의, "후견제도 개혁의 과제" 한국가족법학회 16 (16): 1-39, 2002

      2 김용배, "특별대리인제도" 서울가정법원 2000

      3 배경숙, "친족상속법" 제일법규 2006

      4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6

      5 김주수,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8

      6 최효섭, "친권행사에서의 이해상반행위" (18) : 1991

      7 윤진수, "친권자와 자녀 사이의 이해상반행위 및 친권자의 대리권 남용. in: 현대민사법연구" 법문사 2002

      8 지원림, "친권자ㆍ후견인의 대리권과 임의대리의 비교" 한국가족법학회 19 (19): 349-383, 2005

      9 윤용섭, "친권과 후견" (18) : 1996

      10 한봉희, "친권·후견제도의 개선" 국가고시학회 1998

      1 홍춘의, "후견제도 개혁의 과제" 한국가족법학회 16 (16): 1-39, 2002

      2 김용배, "특별대리인제도" 서울가정법원 2000

      3 배경숙, "친족상속법" 제일법규 2006

      4 박동섭,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6

      5 김주수, "친족상속법" 박영사 2008

      6 최효섭, "친권행사에서의 이해상반행위" (18) : 1991

      7 윤진수, "친권자와 자녀 사이의 이해상반행위 및 친권자의 대리권 남용. in: 현대민사법연구" 법문사 2002

      8 지원림, "친권자ㆍ후견인의 대리권과 임의대리의 비교" 한국가족법학회 19 (19): 349-383, 2005

      9 윤용섭, "친권과 후견" (18) : 1996

      10 한봉희, "친권·후견제도의 개선" 국가고시학회 1998

      11 오창수, "채무상속과 특별한정승인" 서울지방변호사회 (35) : 2005

      12 이균룡, "제3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물상보증행위와 이해상반행위 등" (16) : 1994

      13 김성수, "자의 공유재산의 담보제공과 이해상반행위 : 대법원 2002.1.11 선고 2001다65960판결(공2002.473)" 한국가족법학회 17 (17): 3-122, 2003

      14 한봉희, "아동의 권리조약과 가족법" 한국가족법학회 (6) : 1992

      15 송덕수, "신민법강의" 박영사 2010

      16 윤진수, "상속채무를 뒤늦게 발견한 상속인의 보호" 38 : 1997

      17 윤부찬, "상속재산분할협의와 단순승인"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23, 2006

      18 송효진, "상속의 승인과 포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19 김종필, "상속의 승인과 포기" 서울가정법원 2003

      20 곽윤직, "상속법" 박영사 2004

      21 권순한, "법정후견인제도"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0

      22 이승우, "법정단순승인에 관한 소고" (11) : 1997

      23 김유미, "민법 제921조의 이해상반행위에 관한 몇 가지 문제. in: 박병호교수환갑기념(I)" 1991

      24 임규혁, "민법 제921조에 의한 특별대리인 선임청구사건에 있어서 특별대리인 적격자와 법원의 보정명령" 서울가정법원 (3) : 1997

      25 김연, "민법 親族·相續編과 家事訴訟法의 交錯" 한국가족법학회 23 (23): 107-132, 2009

      26 장원찬, "단순승인 의제제도의 입법개선의 한계성과 한정승인 의제제도의 도입방안연구" 서울지방변호사회 19 (19): 2005

      27 이경희, "가족법" 법원사 2008

      28 박병호, "가족법"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1

      29 한봉희, "가족법" 푸른세상 2005

      30 신동훈, "가사소송에서의 특별대리인. in: 가정법원사건의 제문제[하]" 법원도서관 (102) : 2003

      31 이화숙, "相續의 承認과 抛棄에 대한 立法論的 硏究" 한국민사법학회 (30) : 471-502, 2005

      32 Planiol, M., "Traité Pratique de Driot Civil Français" 4 : 1956

      33 "PraxisKommentar, Juris, BGB Familienrecht"

      34 Malaurie, "Les successions — Les libéralités" Defrénois 2008

      35 Terré, François, "DROIT CIVIL Les successions Les libéralités 3 èdition" Dalloz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7 0.758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