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클래식 발레 작품에서 나타난 정치적 올바름 논쟁 =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in Classical Ball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5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적 올바름적 접근은 사회 문화 전반의 문제점 지적에서 나아가 클래식 발레 작품에 나타난 쟁점들을 수정하는 작업으로까지 이어지는 추세이다. 예술가들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원작에 대한 정치적 올바름적 태도로 작품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보수적인 무용 집단 안에서 이루어진 진보적인 발전으로 확인된다. 이에 따라 클래식 발레 작품 라바야데르, 호두까기 인형, 페트루시카를 정치적 올바름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논쟁의 과제를 파악하고자 했다. 세 작품에 나타난 공통적 논쟁은 서양 중심적인 논의로 인해 발생한 인종주의적 표현의 문제와 민족주의적 해석의 문제로 귀결되었다. 정치적 올바름적 접근을 통해 논쟁의 과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세 가지 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는 논쟁의 표현 방식을 수정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발현되는 논쟁의 요소를 삭제하는 방안이다. 둘째, 원본 그대로를 보존하고자 하는 보존주의적 입장에서는 창작성을 존중하고 시대적 산물로 보존하며 윤리적인 잣대로 평가하지 않기에 원본 그대로를 보존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올바름적 논쟁을 수정, 삭제하거나 원본 그대로를 유지하는 극단 사이에서 절충된 새로운 방향성으로 캐릭터의 정제를 통한 도구적 표현과 능력중시 캐스팅을 제안한다. 예술의 형식은 고정불변 된 것이 아니라, 시대를 반영하는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고전 예술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정초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정치적 올바름적 접근은 사회 문화 전반의 문제점 지적에서 나아가 클래식 발레 작품에 나타난 쟁점들을 수정하는 작업으로까지 이어지는 추세이다. 예술가들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원...

      정치적 올바름적 접근은 사회 문화 전반의 문제점 지적에서 나아가 클래식 발레 작품에 나타난 쟁점들을 수정하는 작업으로까지 이어지는 추세이다. 예술가들이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원작에 대한 정치적 올바름적 태도로 작품을 재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는 보수적인 무용 집단 안에서 이루어진 진보적인 발전으로 확인된다. 이에 따라 클래식 발레 작품 라바야데르, 호두까기 인형, 페트루시카를 정치적 올바름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논쟁의 과제를 파악하고자 했다. 세 작품에 나타난 공통적 논쟁은 서양 중심적인 논의로 인해 발생한 인종주의적 표현의 문제와 민족주의적 해석의 문제로 귀결되었다. 정치적 올바름적 접근을 통해 논쟁의 과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세 가지 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는 논쟁의 표현 방식을 수정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발현되는 논쟁의 요소를 삭제하는 방안이다. 둘째, 원본 그대로를 보존하고자 하는 보존주의적 입장에서는 창작성을 존중하고 시대적 산물로 보존하며 윤리적인 잣대로 평가하지 않기에 원본 그대로를 보존하는 방안이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올바름적 논쟁을 수정, 삭제하거나 원본 그대로를 유지하는 극단 사이에서 절충된 새로운 방향성으로 캐릭터의 정제를 통한 도구적 표현과 능력중시 캐스팅을 제안한다. 예술의 형식은 고정불변 된 것이 아니라, 시대를 반영하는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고전 예술이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정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olitical correct approach tends to lead to the work of correcting the issues in classical ballet works, going beyond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ttempts by artists to reinterpret their works with a political correct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by expressing their opinions are confirmed as progressive developments within conservative dance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lassical ballet works “La Bayadere”, “The Nutcracker”, and “Petrushk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correctness and it aims to identify the issues of debate. Common debates about the three works resulted in the problem of racist expressions and nationalist interpretations arising from the Western-centered discussion. This article would like to propose three discussions as alternatives for solving the problem of debate through a political correct approach. First, from a revisionist point of view, it is a way to erase the elements of debate expressed by modifying or removing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controversy. Second, from a conservative standpoint, which wants to preserve the original, it respects creativity, preserves it as a product of the times, and does not evaluate it with ethical standards. Therefore, it is a way to preserve the original as it i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instrumental expression and ability-oriented casting through character purification as a new direction compromised between extremes that correct or delete political correct debates or maintain the original. The form of art is not fixed and immutable, but it is intend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irection of classical art on the premise that it demands a paradigm reflecting the times.
      번역하기

      A political correct approach tends to lead to the work of correcting the issues in classical ballet works, going beyond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ttempts by artists to reinterpret their works with a political correc...

      A political correct approach tends to lead to the work of correcting the issues in classical ballet works, going beyond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ttempts by artists to reinterpret their works with a political correct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by expressing their opinions are confirmed as progressive developments within conservative dance groups.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classical ballet works “La Bayadere”, “The Nutcracker”, and “Petrushk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correctness and it aims to identify the issues of debate. Common debates about the three works resulted in the problem of racist expressions and nationalist interpretations arising from the Western-centered discussion. This article would like to propose three discussions as alternatives for solving the problem of debate through a political correct approach. First, from a revisionist point of view, it is a way to erase the elements of debate expressed by modifying or removing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controversy. Second, from a conservative standpoint, which wants to preserve the original, it respects creativity, preserves it as a product of the times, and does not evaluate it with ethical standards. Therefore, it is a way to preserve the original as it i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instrumental expression and ability-oriented casting through character purification as a new direction compromised between extremes that correct or delete political correct debates or maintain the original. The form of art is not fixed and immutable, but it is intend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irection of classical art on the premise that it demands a paradigm reflecting the tim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아, "한국연극의 ‘무대 위 인종 재현’의 문제 -<피어리스: 더 하이스쿨 맥베스>와 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71) : 359-406, 2023

      2 오재원, "필하모니아의 사계 Ⅲ: 365일 클래식을 듣다" 이음앤 2015

      3 이종일, "정치적 올바름의 개념과 논쟁 범위 고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1-18, 2016

      4 문형준, "정치적 올바름과 살균된 문화" 한국비교문학회 (73) : 103-128, 2017

      5 Rattansi, A., "인종주의는 본성인가: 인종, 인종주의, 인종주의자에 대한 오랜 역사" 한겨레출판 2011

      6 Susman, R. W., "인종이라는 신화: 인류를 현혹한 최악의 거짓말" 知와 사랑 2022

      7 김윤희, "이용찬 희곡에 나타난 절충주의의 시대적 함의" 우리문학회 (68) : 37-65, 2020

      8 전혜현, "융합 기술과 예술 그리고 윤리의 충돌을 대하는 태도" 한국미학예술학회 54 : 109-132, 2018

      9 홍성윤, "왜 디즈니는 보수 드레스 벗고 진보 전투복을 택했을까"

      10 Said, E.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9

      1 이진아, "한국연극의 ‘무대 위 인종 재현’의 문제 -<피어리스: 더 하이스쿨 맥베스>와 을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71) : 359-406, 2023

      2 오재원, "필하모니아의 사계 Ⅲ: 365일 클래식을 듣다" 이음앤 2015

      3 이종일, "정치적 올바름의 개념과 논쟁 범위 고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1-18, 2016

      4 문형준, "정치적 올바름과 살균된 문화" 한국비교문학회 (73) : 103-128, 2017

      5 Rattansi, A., "인종주의는 본성인가: 인종, 인종주의, 인종주의자에 대한 오랜 역사" 한겨레출판 2011

      6 Susman, R. W., "인종이라는 신화: 인류를 현혹한 최악의 거짓말" 知와 사랑 2022

      7 김윤희, "이용찬 희곡에 나타난 절충주의의 시대적 함의" 우리문학회 (68) : 37-65, 2020

      8 전혜현, "융합 기술과 예술 그리고 윤리의 충돌을 대하는 태도" 한국미학예술학회 54 : 109-132, 2018

      9 홍성윤, "왜 디즈니는 보수 드레스 벗고 진보 전투복을 택했을까"

      10 Said, E.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9

      11 조선우, "예술작품의 윤리적 결함과 예술적 의도" 한국미학회 87 (87): 73-120, 2021

      12 윤인선, "백설공주에 히스패닉계 배우, 디즈니는 왜 ‘정치적 올바름 논란’ 만드나"

      13 정제호, "문화콘텐츠의 입장에서 바라본 정치적 올바름" 4 : 1-17, 2021

      14 염운옥, "낙인찍힌 몸" 돌베개 2019

      15 이현지 ; 문철, "그림책에 나타난 색채의 알레고리 – 피부색의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391-403, 2019

      16 표준국어대사전, "『무어인』 검색"

      17 강준만, "‘정치적 올바름’의 소통을 위하여: ‘자유⋅위선⋅계급’의 3대 쟁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7 (57): 227-257, 2018

      18 이창규, "‘인어공주’, 캐스팅이 논란의 전부는 아니잖아요 [엑’s 이슈]"

      19 Fairclough, N., "‘Political correctness’ : The politics of culture and language" 14 (14): 17-28, 2003

      20 류재민, "‘PC’ 내세우고 가격 올린 디즈니… 웃지 못하는 100주년"

      21 Winship, L., "‘Dance is not a museum ’: How ballet is reimagining problematic classics"

      22 Somaiya, R., "Young, gifted - and ignored"

      23 Mackrell, J., "Why is ballet still blacking up?"

      24 Roberts, M., "The Australian ballet's Nutcracker tones down the yellowface – and it's a relief"

      25 Macaulay, A., "Stereotypes in Toeshoes"

      26 Leask, J., "Sensuality in art deco"

      27 Jennings, L., "Racist attitudes aren't the problem in ballet – but access is"

      28 Chamizo Dominguez, P. J., "Political Correctness. A History of Semantics and Culture" 30 (30): 527-534, 2010

      29 Crompton, S., "Carnación; Petrushka review – two contrasting personal visions"

      30 Winship, L., "Blackface and Fu Manchu moustaches: Does ballet have a race problem?"

      31 Underwood, E., "Ballet ’s problem with non-white perform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