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현장에서 인권침해의 주체로 학교운동부지도자가 지목되고 있다. 일부 지도자의 인권의식 흠결과 같은 개인적 문제와 극단적인 권위주의, 남성 위주의 스포츠문화 등과 같은 한국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95899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0-62(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포츠 현장에서 인권침해의 주체로 학교운동부지도자가 지목되고 있다. 일부 지도자의 인권의식 흠결과 같은 개인적 문제와 극단적인 권위주의, 남성 위주의 스포츠문화 등과 같은 한국 ...
스포츠 현장에서 인권침해의 주체로 학교운동부지도자가 지목되고 있다. 일부 지도자의 인권의식 흠결과 같은 개인적 문제와 극단적인 권위주의, 남성 위주의 스포츠문화 등과 같은 한국 엘리트스포츠의 구조적 문제가 인권침해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그런데 학교운동부지도자 역시 불안정한 신분과 열악한 처우, 성적에 대한 압박, 불평등한 권력 관계 등에 대한 고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운동부지도자들이 느끼는 인권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급여와 고용불안, 성과에 대한 압력과 심리적 압박, 차별적으로 바라보는 부당한 시선, 시스템 변화에 따른 업무의 이중고, 스포츠인권 정책에 대한 불만 등 다섯 가지 메인 테마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부 지도자의 인권과 관련한 보다 확장된 논의가 필요하다. 운동부지도자의 처우개선 등과 같은 피상적 처방을 넘어서서 이해당사자 간의 욕구를 이해할 수 있는 총체적 관점으로의 확장이 요구된다. 둘째, 인권 옹호자로서 운동부지도자의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 교육 대상, 교육 내용, 교육 방식 등을 점검하고 수정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운동부 인권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나아가 인권 모니터링 시스템의 결과가 운동부지도자의 평가에 반영된다면 현장의 인권 현황을 상기하고, 개선 노력을 독려하기 위한 적절한 동기부여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rights violations have occurred in the sports fiel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m at the national level. The primary perpetra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sports were largely School Athletic Coaches. Personal problems of some ...
Human rights violations have occurred in the sports field,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m at the national level. The primary perpetrator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sports were largely School Athletic Coaches. Personal problems of some athletic coaches and structural problems of Korean elite sports are the main cau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athlete coachesalso face challenges related tounstable status and inequality. Hence, this study delves into the human rights experienced by athlete coaches, employing the photo voice technique for in-depth analysis. Followingthe analysis, five main themes were derived: low salary, job insecurity, performance pressure, discriminatory gaze, dual impact of work, and dissatisfaction with sports human rights policies.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n extended discussion on the human rights of athlete coach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 system to raise awareness of athlete coaches as human rights advocat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uman rights monitoring system for the school sports depart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2 김동현 ; 윤양진, "학습권보장제 도입에 대한 학교운동부 관계자의 인식" 한국체육정책학회 8 (8): 1-16, 2010
3 김동현 ; 윤양진, "학생선수 학습권 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57-81, 2010
4 김현수,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정책 분석과 개선방향 : (성)폭력 피해구제와 보호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28 (28): 67-83, 2020
5 김역찬 ; 이종형, "학부모후원금 지원과 학교운동부 운영에 대한 감독교사와 전임코치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99-220, 2015
6 유주영 ; 이옥선,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직업적 고충과 대응에 관한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1 (31): 497-513, 2020
7 김승재 ; 이지형,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직업불안정성이 직무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61-174, 2016
8 임효성 ; 임다연,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입장에서 본 스포츠인권" 한국체육정책학회 20 (20): 81-95, 2022
9 최영준, "학교운동부지도자 처우개선에 대한 현장 목소리"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61-73, 2019
10 김동현 ; 윤양진, "학교운동부지도자 처우개선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07-128, 2011
1 류태호, "학원스포츠의 과제와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2 (12): 91-108, 2005
2 김동현 ; 윤양진, "학습권보장제 도입에 대한 학교운동부 관계자의 인식" 한국체육정책학회 8 (8): 1-16, 2010
3 김동현 ; 윤양진, "학생선수 학습권 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3 (13): 57-81, 2010
4 김현수, "학생선수 스포츠인권 정책 분석과 개선방향 : (성)폭력 피해구제와 보호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28 (28): 67-83, 2020
5 김역찬 ; 이종형, "학부모후원금 지원과 학교운동부 운영에 대한 감독교사와 전임코치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소 54 (54): 199-220, 2015
6 유주영 ; 이옥선,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직업적 고충과 대응에 관한 연구"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1 (31): 497-513, 2020
7 김승재 ; 이지형,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직업불안정성이 직무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61-174, 2016
8 임효성 ; 임다연, "학교운동부지도자의 입장에서 본 스포츠인권" 한국체육정책학회 20 (20): 81-95, 2022
9 최영준, "학교운동부지도자 처우개선에 대한 현장 목소리" 한국체육정책학회 17 (17): 61-73, 2019
10 김동현 ; 윤양진, "학교운동부지도자 처우개선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4 (14): 107-128, 2011
11 정영준 ; 최영준, "학교운동부지도자 무기 계약직 전환 인식과 처우개선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19 (19): 159-174, 2021
12 송남석 ; 이종형, "학교운동부 지도자의 스포츠인권 신장을 위한 수행 역할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29-50, 2015
13 강신녀 ; 류태호, "학교운동부 지도자의 삶과 교육" 한국체육학회 52 (52): 201-216, 2013
14 김상범, "학교운동부 지도자 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9
15 조건상, "학교운동부 지도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개인종목 감독교사와 코치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4 (54): 89-103, 2015
16 주형철 ; 유정애, "학교스포츠 시스템 혁신을 위한 스포츠혁신위원회의 2차 권고안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가능성 연구" 한국체육학회 59 (59): 141-156, 2020
17 김동우, "프로 야구 신인 드래프트 지명 탈락자의 삶" 14 (14): 13-20, 2018
18 예운 ; 김경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변화 탐색 (지난 2년간의 경험)" 한국체육학회 61 (61): 211-227, 2022
19 김경오, "체육교사가 인지하는 체육 수업의 사회생태학적 문제점 모색: 포토보이스 기법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3 (33): 43-59, 2020
20 김경오, "중국유학생의 제한적 신체활동과 관련된 사회생태학적 문제와 개선방안: 포토보이스 연구" 한국체육학회 52 (52): 103-116, 2013
21 박지영 ; 김수연, "여자학생선수의 스포츠 경험을 통한 삶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여성체육학회 32 (32): 55-77, 2018
22 이선희 ; 곽정현, "여성 스포츠 선수의 성폭력예방 및 대책에 대한 정책 제안" 한국체육과학회 28 (28): 123-132, 2019
23 임용석 ; 홍덕기, "엘리트스포츠 분야 인권침해 예방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 26 (26): 57-76, 2021
24 스포츠혁신위원회, "스포츠혁신위원회 2차 권고문"
25 김보정 ; 김지혁, "스포츠인권의 사각지대: 태권도선수 인권문제와 사회적 책임" 한국체육철학회 27 (27): 35-44, 2019
26 김동혁 ; 정은 ; 류태호, "스포츠인권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4 (14): 109-140, 2021
27 임다연, "스포츠선수의 인권의식과 영향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61 (61): 11-24, 2022
28 안재찬, "스포츠 현장의 인권 그리고 인권감수성" 한국체육철학회 27 (27): 59-71, 2019
29 최옥숙 ; 박세윤 ; 윤대현, "스포츠 폭력의 재조명과 심리적 폭력의 개념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 33 (33): 139-160, 2022
30 최병문, "스포츠 폭력의 유형과 대책"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257-278, 2009
31 이세형, "스포츠 인권, 그 포기할수 없는 권리를 위하여! 선수(성)폭력의 예방과 대처방법" 19 : 43-64, 2013
32 송남석 ; 이종형, "선수인권 관리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감독교사와 전임코치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7-65, 2015
33 김경오, "사회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A 도시 거주 노인 신체활동 촉진전략 모색 - 혼합연구기법으로" 한국체육학회 55 (55): 47-67, 2016
34 김경오, "사회생태학적 모델에 기반한 저소득층 독거노인 신체활동 증진방안 모색: 혼합연구의 기법으로" 한국체육학회 58 (58): 15-34, 2019
35 함은주, "사람 중심의 스포츠 : 포용국가와 스포츠 인권" 146 : 16-21, 2019
36 서영환 ; 김공 ; 신진화, "비정규직 체육지도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3-30, 2014
37 교육부, "[보도자료] 학생선수가 학습과 경기력 향상 병행 가능하도록 현장과 맞지 않는 스포츠혁신위 권고안 개선한다"
38 Matthews, C. R., "Understanding sports violence : Revisiting foundational explorations" 20 (20): 751-767, 2017
39 Tosa, M., "Sport nationalism in South Korea : An ethnographic study" 5 (5): 2015
40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Inc 2005
41 Denzin, N. K., "Qualitative inquiry under fire: Toward a new paradigm dialogue" Left Coast Press 2009
42 Wang, C. C., "Photovoice as a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strategy" 13 (13): 75-86, 1998
43 Baker, T. A., "Photovoice : Use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chronic pain experience in older adults" 16 (16): 1405-1413, 2006
44 Catalani, C., "Photovoic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health and public health" 37 (37): 424-451, 2010
45 Schofield, E., "Human rights and sports mega-events : The role of moral disengagement in spectators" 42 (42): 3-22, 2018
46 Lenskyj, H. J., "Gender, athletes’ rights, and the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Emerald Group Publishing 2018
47 김경오 ; 한준영, "Exploring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lan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Socio-ecological Model: A Mixed Method Inquiry"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15-743, 2019
대학입시제도를 통해 본 태권도계의 멍에와 윤리적 위기 구조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축구팀 논란: Suits 스포츠 철학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