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朝本 『黃帝內徑素問』 판본에 대한 고찰 = A Study about the Joseon-published Huangjenaegyeongsomun(黃帝內經素問)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3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Only study for on Eulhae metal type (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 and bibliography research of some holding institutions are the existing research on this topic.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The 14 and 15-volume book are existing most common versions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Joseon Dynasty. The two books were corrected by Naeuiwon (內醫院).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atter is more early than the former. But in the study of the past were not mad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books.
      2. The 15-volume book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was published in the mid-18th century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3. A Wooden print editions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ab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go have been investigated holding institution.
      4. The Gyeongju-published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is estimated that in the mid Joseon Dynasty, This edition has been estimated that the late Joseon Dynasty far.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Only study for on Eulhae metal type (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 and bibliography research of some holding institutions 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ous editions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Only study for on Eulhae metal type (乙亥字) Huangjenaegyeongsomun and bibliography research of some holding institutions are the existing research on this topic.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The 14 and 15-volume book are existing most common versions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published in Joseon Dynasty. The two books were corrected by Naeuiwon (內醫院).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atter is more early than the former. But in the study of the past were not mad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books.
      2. The 15-volume book of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was published in the mid-18th century betwee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3. A Wooden print editions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ab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go have been investigated holding institution.
      4. The Gyeongju-published Huangjenaegyeongsomun (黃帝內經素問) is estimated that in the mid Joseon Dynasty, This edition has been estimated that the late Joseon Dynasty f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훈평, "혜민서 관청지 『惠局志』 편제와 내용 연구" 한국의사학회 27 (27): 119-133, 2014

      2 전국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현토교감 황제내경소문" 집문당 2013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자료센터"

      6 오재근, "이규준 의서 『황제내경소문대요』의 유통본과 그 저본이 된 조선본 황제내경소문"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6 (26): 203-221, 2013

      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자료검색"

      8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9 강순애, "선본해제 15 의서류" 국립중앙도서관 2013

      10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1 박훈평, "혜민서 관청지 『惠局志』 편제와 내용 연구" 한국의사학회 27 (27): 119-133, 2014

      2 전국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현토교감 황제내경소문" 집문당 2013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4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자료센터"

      6 오재근, "이규준 의서 『황제내경소문대요』의 유통본과 그 저본이 된 조선본 황제내경소문"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6 (26): 203-221, 2013

      7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문자료검색"

      8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9 강순애, "선본해제 15 의서류" 국립중앙도서관 2013

      10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11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포털"

      12 김치우, "고사촬요 책판목록과 그 수록 간본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7

      13 심우준, "日本傳存 韓國逸書硏究" 일지사 1985

      14 內醫院, "新刊補註釋文黃帝內經素問 15책번각본"

      15 "慶尙道冊版"

      16 "完營冊版目錄"

      17 "各道冊版目錄"

      18 하정용, "內醫院字本硏究의 諸問題 -『東醫寶鑑』硏究를 위한 先行課題-" 대한의사학회 17 (17): 23-36, 2008

      19 백유상, "乙亥字本 『黃帝內經素問』에 대한 조사 연구 - 간행연대 고증과 內醫院刻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4 (24): 113-124, 2011

      20 "三南冊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