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펜데믹(pandemic) 환경에서 H대학교의 ‘발표와 토론’ 수업 사례 연구 = A study on class Case of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 at University H in a pandemic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09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H대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의 수행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그 의의와 개선방향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H대학에서 2021학년도 2학기에 진행한 ‘발표와 토론’ 과목을 수강한 10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시작 전⋅후의 설문조사, 수업의 전개 양상, 토론의 진행 양상과 학생들의 개인발표의 양상, 학생들의 과제 제출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평가한 수업 운영의 주⋅객관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수⋅학습 활동의 의의와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H대학 재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해서 말할 때의 부담감과 불안함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거두었다. 둘째,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본 교과목을 대면 및 비대면을 병행한 수업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수업 상황을 전제한 수업사례의 연구 의의를 가진다. 셋째, 본 수업 사례의 과정과 결과는 대학의 교양 필수 과목으로 발표와 토론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향후 유사 교과목 운영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대학생들이 미래에 직장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할 때, 효율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발표와 토론을 통한 화법 역량의 강화는 대학교육의 목표와도 상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배양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의 여러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화법 역량은 대학교육의 목표를 실현하는 하나의 도구교과의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고는 H대학 ‘103명’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와 토론’ 과목을 진행한 후,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H대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의 수행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그 의의와 개선방향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H대학생들의 ‘발표와 토론’의 수행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그 의의와 개선방향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H대학에서 2021학년도 2학기에 진행한 ‘발표와 토론’ 과목을 수강한 10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시작 전⋅후의 설문조사, 수업의 전개 양상, 토론의 진행 양상과 학생들의 개인발표의 양상, 학생들의 과제 제출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평가한 수업 운영의 주⋅객관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수⋅학습 활동의 의의와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H대학 재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해서 말할 때의 부담감과 불안함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거두었다. 둘째, 펜데믹(pandemic) 상황에서 본 교과목을 대면 및 비대면을 병행한 수업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수업 상황을 전제한 수업사례의 연구 의의를 가진다. 셋째, 본 수업 사례의 과정과 결과는 대학의 교양 필수 과목으로 발표와 토론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향후 유사 교과목 운영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대학생들이 미래에 직장인으로서 사회생활을 할 때, 효율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발표와 토론을 통한 화법 역량의 강화는 대학교육의 목표와도 상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배양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의 여러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화법 역량은 대학교육의 목표를 실현하는 하나의 도구교과의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고는 H대학 ‘103명’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와 토론’ 과목을 진행한 후,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ts significance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patterns of H university student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a pandemic situ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3 students who took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1 academic year at University H. The pattern of personal presentation of students and students assignment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multiple-choice results of class operation evaluated by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examined.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at H university students had the effect of remarkably lowering the burden and anxiety when speaking through this course. Second, in a pandemic situation, this subject was explained as a class that combine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ir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class case are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s in colleg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sentation and discussion education. Fourth, I think that it can help colleg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hen they have a social life as office workers in the future. Fifth, I think that strengthening th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the liberal arts subjects of the university corresponds to the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In other words, in achieving the various goals of university education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speaking skills will play the role of a tool subject to realize the goals of university education. Conclusions After conduct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for ‘103 students’ of H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in four aspect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ts significance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patterns of H university student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a pandemic situ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ts significance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patterns of H university student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a pandemic situ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3 students who took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1 academic year at University H. The pattern of personal presentation of students and students assignment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multiple-choice results of class operation evaluated by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examined.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at H university students had the effect of remarkably lowering the burden and anxiety when speaking through this course. Second, in a pandemic situation, this subject was explained as a class that combine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ir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class case are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s in colleg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sentation and discussion education. Fourth, I think that it can help colleg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when they have a social life as office workers in the future. Fifth, I think that strengthening th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the liberal arts subjects of the university corresponds to the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In other words, in achieving the various goals of university education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speaking skills will play the role of a tool subject to realize the goals of university education. Conclusions After conducting th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ourse for ‘103 students’ of H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in four asp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발표와 토론 교과목 수업의 실제 Ⅳ. 수업 운영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발표와 토론 교과목 수업의 실제 Ⅳ. 수업 운영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