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672일째 밤의 동화」의 ‘죽음’을 탐구한다. 이 글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의 토대위에서 특히 주인공의 ‘죽음’의 양상이 보이는 복합적 층위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자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672일째 밤의 동화」의 ‘죽음’을 탐구한다. 이 글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의 토대위에서 특히 주인공의 ‘죽음’의 양상이 보이는 복합적 층위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자의 ...
이 글은 「672일째 밤의 동화」의 ‘죽음’을 탐구한다. 이 글의 목적은 선행연구들의 토대위에서 특히 주인공의 ‘죽음’의 양상이 보이는 복합적 층위를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자의 반향’과 관련한 맥락의 제시를 통해 해당 작품을 오늘날에도 통용될 수 있는 문화비판적 텍스트로 독해하는 것이다. 죽음은 두 층위에서 관찰된다. (1) 자아의 죽음. 일종의 플라뇌르처럼 공간을 서성이는 주인공은 ‘아름다움에 한껏 도취한’ 유미주의자다. 그러나 이아름다움에의 탐닉은 결국 자아의 동일성 확장을 추구하는 에고이스트의 죽음으로 드러난다(II.1장). (2) 주체의 죽음. 에고이즘의 자아가 죽음으로 이를 수밖에 없다면 그 이유는무엇인가. 여러 이유 중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타자 세계에의 무지다. 유미주의자(이경우 호프만스탈)의 무대는 유럽(오스트리아 빈)이다. 이 세계 그리고 그곳을 사는 주체는유럽-바깥의 세계, 즉 타자의 세계에 무지하다. 주체는 본디 구성적 타자의 지위에 기초해정립된다. 그런데 유미주의적 주체, 즉 ‘유럽 주체’는 타자의 위상학에 무관심하다(II.2장). 작품에서 관찰되는 이중의 죽음 양상을 살핀 뒤, 마지막으로는 II장을 통해 작품비평 차원에서 제시된 문화비판적 관점을 요약하며 동시에 보충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한다. 그렇다면 ‘삶’의 차원은 어디에 있을 수 있는가에 관한 하나의 가능한 방향을 제안한다(III장).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Hofmannsthal’s Das Märchen der 672. Nacht as a cultural critical text. For that, we examine the complex layers of the main character’s ‘death’. ‘Deaths’ are observed on two levels. (1) Death of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Hofmannsthal’s Das Märchen der 672. Nacht as a cultural critical text. For that, we examine the complex layers of the main character’s ‘death’. ‘Deaths’ are observed on two levels. (1) Death of the ego. The protagonist, who wanders like a ‘flâneur,’ is a typical aestheticist who is ‘completely intoxicated by beauty.’ However, this indulgence in beauty is ultimately revealed as the death of a egoist who pursues the expansion of the ego’s identity (Chapter II.1). (2) Death of the subject. If the egoist cannot help but eventually lead to death, what is the reason? Among the many reasons, the one that this article focuses on is ignorance of the world of the other. The aestheticist stage is Europe, specifically Vienna, Austria. This world is ignorant of the world outside Europe. The subject ought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tatus of the constitutive other. However, the aesthetic subject, that is, the ‘modern’ subject, is indifferent to the topology of the other (Chapter II.2). After examining the double-layered meaning of death, the article ends underlining one possible way of reading cultural critical aspects of the work: the dimension of life ‘as’ death (Chapter III).
불구의 미래, 불화의 정치 : 앨리슨 케이퍼, 2023,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 이명훈 옮김, 오월의봄
사드(THAAD) 배치를 전후한 한국 언론의 중국 인식
인간중심주의와 포스트휴머니즘적 인간강화의 경계 : 프랭크 허버트의 『듄 Dune』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