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漢語 結果補語의 구조, 의미관계 및 용법 - 漢語와 韓國語의 비교 분석_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589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漢語 結果補語에 대한 연구는 王力(1943, 1944)에서 ‘使成式’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면서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王力(1943:116)에서는 행위를 서술할 때, 그것의 결과를 동시에 언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弄壞’에서 ‘弄’은 일종의 행위이며 원인을 나타내고, ‘壞’는 이 행위에 대한 결과보어에 지나지 않으며, ‘弄’의 범위를 제한한다고 하였다. 또한, ‘得’을 매개로 母文과 補文을 연결함으로써 동작이나 상태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饿{得/不}死’,묘사성이 강한 ‘早已恨得人牙氧氧’과 결과를 나타내는 ‘哄的寶玉不理我’등의 문장도 모두다 使成式의 擴充(dilatation of causative form)이라고 하였다. 구조적으로는 使成式은 ‘得’을 쓰지 않는 반면, 結果式은 ‘得’을 쓰는 차이가 있지만, 의미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이 모두다 因果(cause-effect) 관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處置式과 被動式의 상당수가 使成式을 주요동사로 취하며, 이들 두 문형은 능동과 피동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서술하는 행위의 성질은 대체적으로 같기 때문에 대다수의 被動式은 把字式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하였다.
      王力이 漢語 結果補語에 대해 이 같은 문제를 언급하며 연구를 시도한 이래, 많은 학자들이 다방면으로 연구를 전개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각종 특수문형과 연관성이 있고 사용빈도가 높은 만큼 문제점도 많아 여전히 폭넓은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이에 필자는 우선 결과보어의 생성시기와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그 다음으로 기존연구에 근거하여 결과보어를 통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그 의미관계와 내부구조 및 외부기능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동시에, 得字文, 把字文, 被字文으로의 전환관계, 使動 및 能動 용법간의 교체관계 등을 살핌으로써 결과보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차후 이를 바탕으로 결과보어와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성분을 분석하고, 한국 학습자들의 오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중국어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漢語 結果補語에 대한 연구는 王力(1943, 1944)에서 ‘使成式’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면서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王力(1943:116)에서는 행위를 서술할 때, 그것의 결과를 동시에 언급할 수...

      漢語 結果補語에 대한 연구는 王力(1943, 1944)에서 ‘使成式’이라는 이름으로 연구하면서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王力(1943:116)에서는 행위를 서술할 때, 그것의 결과를 동시에 언급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弄壞’에서 ‘弄’은 일종의 행위이며 원인을 나타내고, ‘壞’는 이 행위에 대한 결과보어에 지나지 않으며, ‘弄’의 범위를 제한한다고 하였다. 또한, ‘得’을 매개로 母文과 補文을 연결함으로써 동작이나 상태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饿{得/不}死’,묘사성이 강한 ‘早已恨得人牙氧氧’과 결과를 나타내는 ‘哄的寶玉不理我’등의 문장도 모두다 使成式의 擴充(dilatation of causative form)이라고 하였다. 구조적으로는 使成式은 ‘得’을 쓰지 않는 반면, 結果式은 ‘得’을 쓰는 차이가 있지만, 의미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이 모두다 因果(cause-effect) 관계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處置式과 被動式의 상당수가 使成式을 주요동사로 취하며, 이들 두 문형은 능동과 피동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서술하는 행위의 성질은 대체적으로 같기 때문에 대다수의 被動式은 把字式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하였다.
      王力이 漢語 結果補語에 대해 이 같은 문제를 언급하며 연구를 시도한 이래, 많은 학자들이 다방면으로 연구를 전개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각종 특수문형과 연관성이 있고 사용빈도가 높은 만큼 문제점도 많아 여전히 폭넓은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이에 필자는 우선 결과보어의 생성시기와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그 다음으로 기존연구에 근거하여 결과보어를 통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그 의미관계와 내부구조 및 외부기능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동시에, 得字文, 把字文, 被字文으로의 전환관계, 使動 및 能動 용법간의 교체관계 등을 살핌으로써 결과보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차후 이를 바탕으로 결과보어와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성분을 분석하고, 한국 학습자들의 오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중국어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결과개요보고서 연구결과 요약문 국문요약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내용 및 방법(범위) 연구결과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영문요약 연구비 집...

      연구결과개요보고서

      연구결과 요약문

      국문요약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내용 및 방법(범위)
      연구결과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영문요약

      연구비 집행 정산내역

      학술연구결과논문 초록입력용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