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hysical Self Efficacy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Physic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2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 to Body Consciousness in physical disabil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241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241 physical d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Exercise Decisional Balance to Body Consciousness in physical disabilities.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241 physical disabiliti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241 physic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MicKinley & Hyde(1996) and revised by Kim Jung-sook(2008)was used to identify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and developed by Ryckman, Rovvins, Thornton & Cantrell(1982) and revised by Hong sun-ok(1996) was used to identify Physical Self Efficacy Questionnaire in physical disabilities.
      For the correct analysis they are used which are descriptive statistics,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Physical Self Efficacy according to gender.
      Second, Physical Self Efficacy also affect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ut parti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지체장애인 130명과 복지관지체장애...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지체장애인 130명과 복지관지체장애인 111명을 대상으로 MicKinley와 Hyde(1996)이 제작 개발하고 김완석 등(2007)이번안한 척도를 김정숙(2009)의 여성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발췌된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Questionnaire: OBCQ, 16문항)와 Ryckman, Rovvins,Thornton 과 Cantrell(1982)이 제작 개발하고 홍선옥(1996)이 번안한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 Efficacy Questionnaire: PSEQ, 22문항)를 사용하였다. 먼저, 이 연구의분석을 위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후 사용하였으며,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다변인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첫째, 성별에 따른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객체화된 신체의식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 간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완석,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26 (26): 329-349, 2007

      2 김정숙, "지체장애인의 신체의식에 따른 운동의사결정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3 (53): 289-301, 2010

      3 홍선옥, "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성역할 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6

      4 김정숙,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의 배경요인과 인지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29-244, 2009

      5 김정숙, "여성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1 (51): 59-73, 2008

      6 Tipton, T. M., "The measurement of generalized self-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validity" 48 : 545-548, 1984

      7 Wassner, A., "The impact of mutilating surgery or trauma on image" 29 (29): 87-97, 1982

      8 MicKinley, N. M.,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on" 20 : 181-215, 1996

      9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10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control" W. H. Freeman 1997

      1 김완석,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CS):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26 (26): 329-349, 2007

      2 김정숙, "지체장애인의 신체의식에 따른 운동의사결정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3 (53): 289-301, 2010

      3 홍선옥, "운동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성역할 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6

      4 김정숙, "운동참가 지체장애인의 배경요인과 인지된 신체적 자기효능감"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2 (52): 229-244, 2009

      5 김정숙, "여성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 분석"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51 (51): 59-73, 2008

      6 Tipton, T. M., "The measurement of generalized self-efficacy: A study of construct validity" 48 : 545-548, 1984

      7 Wassner, A., "The impact of mutilating surgery or trauma on image" 29 (29): 87-97, 1982

      8 MicKinley, N. M.,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on" 20 : 181-215, 1996

      9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10 Bandura, A., "Self-efficacy : The exercise control" W. H. Freeman 1997

      11 Tucker, L. A., "Obesity, exercise, somatotyp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factor analytic study" 9 : 189-194, 1983

      12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Prentice Hall 1998

      13 Ryckman R. 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hysical self-dfficacy scale" 42 (42): 891-900, 1982

      14 Cash, T. E, "Body Image: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Guilford Press 1990

      15 McGowan, J. F., "An introduction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