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오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초 음료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25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아도는 오이의 활용도 및 그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오이 식초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능과 같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초기당도를 15°Brix가 되...

      남아도는 오이의 활용도 및 그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오이 식초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능과 같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초기당도를 15°Brix가 되도록 조절하여 25℃에서 알코올 발효하였을 때, 발효 6일째에 7.8%의 최대 알코올 함량을 얻었으며, 이를 다시 30℃에서 12일간 초산발효 하여 산도 5.8%의 식초를 얻었다. 오이 식초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 및 fructose로 그 함량은 각각 3,067.26 및 395.73 ㎎%였고,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 및 succinic acid로 그 함량은 각각 4410.5 및 841.11 ㎎%이었다. 오이 식초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181.45 ㎍/㎖이었고, 이 중 citrulline, valine, aspartic acid, asparagine 및 ornithine이 주된 아미노산이었으며, 무기성분은 K, Ca, Mg와 같은 알칼리성 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β-carotene bleaching과 같은 실험방법을 통해 오이 식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식초의 주요 항산화 활성성분인 폴리페놀의 함량은 40.14 ㎎/100 ㎖이었다. 한편, 오이 식초는 급성으로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간조직 중 알데히드 탈수소효소활성을 높임으로써 혈장 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오이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오이 식초는 상당한 항산화 및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was maximized (7.8%) after 6-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t 25℃ by adjusting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 to 15°B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functional vinegar by using cucumbers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 was maximized (7.8%) after 6-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t 25℃ by adjusting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 to 15°Brix, and vinegar with an acidity of 5.8% was obtained after 12-day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at 30℃. The major sugars in the produced vinegar were glucose and fructose, which were present in concentrations of 3,067.26 and 395.73 ㎎%, respectively. The major organic acids were acetic acid and succinic acid, which were present in concentrations of 4,410.5 and 841.11 ㎎%, respectively.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the cucumber vinegar was 181.45 ㎍/㎖ and citrulline, valine, aspartic acid, asparagine, and ornithine were the major amino acids. The inorganic components included various alkaline elements, such as K, Ca, and Mg. In addition, experimental methods to assess the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reducing power, and β-carotene bleaching activity showed that the cucumber vinegar had strong antioxidant proper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ucumber vinegar, was 40.14 ㎎/100 ㎖. The cucumber vinega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when compared to the alcoholic control (negative) and the marketing drink (positive), resulting in decreased plasma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ra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ucumber vinegar possesses antioxidant properties and holds great promise for use in preventing hangov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현,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860-876, 2007

      2 박세원, "오이 과실의 크기에 따른 경도, 당 및 유기산 함량 차이" 한국원예학회 43 (43): 553-555, 2002

      3 김상웅,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한국생명과학회 18 (18): 871-877, 2008

      4 이수원, "알코올 발효조건 및 효모를 달리한 현미식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66-1372, 2010

      5 이성규, "아보카도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와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69-275, 2008

      6 박소현,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85-392, 2004

      7 정창호, "숙성 중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526-532, 2010

      8 류충호,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조건 설정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361-365, 2007

      9 이선미, "국내 시판되는 식초의 항산화 활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3 (13): 221-225, 2009

      10 정창호, "국내 시판 녹차, 보이차, 우롱차 및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230-237, 2009

      1 김주현,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860-876, 2007

      2 박세원, "오이 과실의 크기에 따른 경도, 당 및 유기산 함량 차이" 한국원예학회 43 (43): 553-555, 2002

      3 김상웅,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한국생명과학회 18 (18): 871-877, 2008

      4 이수원, "알코올 발효조건 및 효모를 달리한 현미식초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66-1372, 2010

      5 이성규, "아보카도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와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69-275, 2008

      6 박소현,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85-392, 2004

      7 정창호, "숙성 중 대봉감의 영양성분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526-532, 2010

      8 류충호,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조건 설정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361-365, 2007

      9 이선미, "국내 시판되는 식초의 항산화 활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3 (13): 221-225, 2009

      10 정창호, "국내 시판 녹차, 보이차, 우롱차 및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230-237, 2009

      11 Slinkard K, "Total phenol analysi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 28 : 49-56, 1977

      12 Jeong YJ,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8 : 462-468, 1998

      13 Jeong YJ, "The quality comparison of appl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apple vinegar" 28 : 353-358, 1999

      14 Godone MF,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Elsevier Applied Science 1-18, 1990

      15 Jung ST,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24 : 606-612, 1995

      16 Jeong EJ,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 for fermentation of strawberry wine and its quality improvement" Chonbuk University 2007

      17 Kim DH,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28 : 53-60, 1999

      18 Park KH,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cucumber vinegar" Kyunghee University 2001

      19 Kough K,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negars" 2 : 171-187, 1999

      20 Kato S, "Role of xanthine oxidase in ethanol-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rat" 98 : 203-210, 1990

      21 Kwon SH, "Preparation method of fruit vinegars by two stage fermentation and beverage including vinegar" 5 : 18-24, 2000

      22 Jeong Y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6 : 355-363, 1996

      23 Jeong YJ,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arketing and intensive persimmon vinegars" 6 : 355-363, 1996

      24 Jeong YJ, "Optimization for the fermentation of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Yeunganam University 1996

      25 Lee DS, "Optimization effect against lipase activity in preparation of aloe vinegar by Acetobacter sp. and inhibitory" 42 : 105-110, 1999

      26 Linder MC, "Nutrition and metabolism of fats, In Nutritional biochemistry and metabolism with clinical applications" Elsevier 51-83, 1991

      27 Jeong YJ, "Monitoring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sweet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8 : 57-65, 1998

      28 Nordmann R, "Involvement of iron and iron-catalyzed free radical production in ethanol metabolism and toxicity" 37 : 57-69, 1987

      29 Nakancn S, "Food useful for preventing alcohol intoxication containing persimmon-vinegar and optimum fruits, wi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reducing action"

      30 Food Code., "Food Code"

      31 Hong J, "Evaluation of antioxidants activity through the chemical assay" 11 : 1-8, 2010

      32 Park SC, "Ethanol oxidation is accelerated by augmentation of malate-aspartate shuttle with aspartate" 25 : 137-143, 1993

      33 Kim JE,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cucumber pickle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01

      34 Koivula T, "Different from of rat liver aldehyde dehydrogenase and their subcelluar distribution" 397 : 9-23, 1975

      35 Yildirim A,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of aerobic life" 61 : 1-34, 2001

      36 Seo JH,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vinegars produced from two-stage fermentation" 8 : 40-44, 2003

      37 Moon SY, "Comparative analysis commercial vinegar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ic tastes" 8 : 60-65, 1997

      38 Kim CI, "Cause and effect of hangover" 4 : 26-30, 1999

      39 Lee SH, "Bioactive functions of vinegar" 9 : 29-36, 2000

      40 Wang MF,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46 : 4869-4873, 1998

      41 Blois MA,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2 Mattaus B,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btained from residues of different oilseeds" 50 : 3444-3452, 2002

      43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ing assay" 26 : 1231-1237, 1999

      44 Sund H, "Alcohol dehydrogenase, In The Enzymes, Vol 7" Academic Press 25-83, 1963

      45 Bergmeyer HU, "Alcohol dehydrogen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ol 1" Academic Press 428-429, 1974

      46 Jeong MH,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cucumber farm with emphasis on Jeonnam eastern around area" Sunchon University 2009

      47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72 : 248-254, 1976

      48 김상웅, "2단계 발효에 의한 양파식초 제조의 최적 조건 검토" 한국생명과학회 18 (18): 1410-141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