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지역별 차이 : 서울시 주민센터 사회복지공무원의 기초수급자 관리를 중심으로 = Regional Disparities of Demand and Supply in Welfare Service Deliv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87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민센터 사회복지공무원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관리를 통해, 지역에 따라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수요적 차원에서의 환경적 특성 차이와 공급적 차원에서의 서비스 질과 양...

      본 연구는 주민센터 사회복지공무원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관리를 통해, 지역에 따라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수요적 차원에서의 환경적 특성 차이와 공급적 차원에서의 서비스 질과 양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서 수급자 비율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의 8개 주민센터에서 사회복지(주민생활지원)팀 소속 사회복지담당공무원 15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지역에 따라 사회복지공무원 1인이 담당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세대수의 차이(11-450세대)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경험하는 부담의 형태나 내용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형태, 민간자원의 활용 가능성, 방문상담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이유, 일선담당자와 중간관리자의 사회복지전문성 등 사회복지서비스의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선 공공사회복지서비스 전달에 있어, 특히 서비스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구체적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laborate differences of demand and supply in welfare service delivery upon region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welfare bureaucrats from Dong offices among largest and smallest portions of recipient...

      This study aims to elaborate differences of demand and supply in welfare service delivery upon region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welfare bureaucrats from Dong offices among largest and smallest portions of recipient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welfare bureaucrats versus welfare recipients (11-450 household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 System, the amount of available private sector resources, and the difficulty of providing visitation counseling upon regions. Research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to address regional disparities of welfare serv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록, "한국사회 빈곤구조의 지역 편차 분석 -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05-230, 2008

      2 박완규,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가?"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197-223, 2008

      3 김경호,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업무특성과 업무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125-147, 2010

      4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5 황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인적 특성, 직무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0) : 339-369, 2007

      6 이영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공급의 지역분포 및 결정요인"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69-195, 2016

      7 남희은,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045-1053, 2015

      8 사회보장이사회,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및 관리방안" 2014

      9 김종건, "복지의 지역 간 불평등 문제" 157 : 15-18, 2011

      10 조명래, "만들어진 ‘공간 불평등’, 지역격차" 11-, 2011

      1 이상록, "한국사회 빈곤구조의 지역 편차 분석 - 수도권과 지방의 빈곤 격차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05-230, 2008

      2 박완규,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줄어들고 있는가?"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197-223, 2008

      3 김경호,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업무특성과 업무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125-147, 2010

      4 임석회, "시·군·구 단위 사회복지서비스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 시설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1-14, 2009

      5 황선영,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인적 특성, 직무환경특성, 전문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0) : 339-369, 2007

      6 이영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공급의 지역분포 및 결정요인"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69-195, 2016

      7 남희은, "사회복지사 소진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1045-1053, 2015

      8 사회보장이사회, "사회복지담당공무원 확충 및 관리방안" 2014

      9 김종건, "복지의 지역 간 불평등 문제" 157 : 15-18, 2011

      10 조명래, "만들어진 ‘공간 불평등’, 지역격차" 11-, 2011

      11 김이배, "립스키(M. Lipsky)의 일선관료제 모형에 근거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집행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150-183, 2010

      12 김소정, "동사무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역할 딜레마"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315-342, 2015

      13 서재호,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39-164, 2008

      14 황옥성,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복지서비스 욕구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2 (2): 1-29, 2011

      15 김광병,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권리수준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2) : 29-52, 2013

      16 Jewell, C. J., "Toward a general analytic framework organizational settings, policy goals, and street-level behavior" 38 (38): 335-364, 2006

      17 Lipsky, M., "Street-level bureaucracy: Dilemmas of individual in public services" Russell Sage Foundation 1980

      18 Saxton, G. D., "Social capital and the growth of the nonprofit sector" 86 (86): 16-35, 2005

      19 van Berkel, R., "Performance management, caseloads the frontline provision of social services" 2015

      20 Allard, S. W., "Out of reach: Place, poverty, and te new American welfare state" Yale University Press 2009

      21 Hjorne, E., "Megotiating dilemmas in the practices of street-level welfare work" 19 : 303-309, 2010

      22 Hasenfeld, Y., "Human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 Sage 1992

      23 김종희, "GRDP(지역내 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207-235, 2010

      24 Peck, L. R., "Do antipoverty nonprofits locate where people need them? Evidence from a Spatial Analysis of Phoenix" 37 (37): 138-151, 2008

      25 Godfrey, E. B., "Caseworker–recipient interaction: Welfare office differences, Economic trajectories, and child outcomes" 83 (83): 382-39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