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36년은 일제가 강압적인 무단통치에서 기만적인 문화통치로 정책 기조를 바꾸었기에 200여 종이 넘는 잡지가 발행되었다. 특정 단체의 이익이나 종교, 예술 등을 표방하는 잡지들이 등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52127
서정화 (전주대학교)
2020
Korean
유교부식회 ; 『인도』 ; 잡지 ; 유교단체 ; 현재화 ; 민중화 ; 실용화 ; Yugyobusikhoe(儒敎扶植會) ; Indo(人道) ; Magazine ; Confucian organization ; Making-present(現在化) ; Popularization(民衆化) ; Practicalization(實用化)
KCI등재
학술저널
9-43(35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20~36년은 일제가 강압적인 무단통치에서 기만적인 문화통치로 정책 기조를 바꾸었기에 200여 종이 넘는 잡지가 발행되었다. 특정 단체의 이익이나 종교, 예술 등을 표방하는 잡지들이 등장...
1920~36년은 일제가 강압적인 무단통치에서 기만적인 문화통치로 정책 기조를 바꾸었기에 200여 종이 넘는 잡지가 발행되었다. 특정 단체의 이익이나 종교, 예술 등을 표방하는 잡지들이 등장했고, 유교단체에서 발행한 잡지도 다수 있었다. 『인도』는 충남 홍성에 기반을 두고 활동한 유교부식회가 발행한 기관지이다. 유교부식회는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했던 김복한의 후손 및 제자들이 결성한 단체였다. 대부분의 유교단체가 식민지 관료와 친일파 인사가 주도한 어용단체였음에 비해 유교부식회는 항일⋅민족적 성격이 강한 단체였다. 본고는 유교부식회가 발행한 『인도』의 발행과 성격에 대해 고구하였다. 『인도』는 1929년 6월 15일 창간호를 시작으로 1931년 3월 15일 종간호까지 1년 9개월간 통권 9호를 발행했고, 『유교부식회보』 1호도 발행했다. 일제의 검열 때문에 전문 또는 몇 행이 삭제되는 일이 많았고, 9개월간 휴간하기도 했다. 『인도』는 유교잡지이면서도 문예, 실용, 교양, 시사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종합잡지이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는 유교 전문잡지답게 경전의 구절 해설, 공자의 추숭, 유교의 정체성 확립 등과 관련된 원고를 수록하고 있지만, 유교의 현재화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둘째, 『인도』는 교양을 강화하기 위해 과학, 농촌, 가정 등의 강좌를 마련하고, 시사용어를 소개하는 등 계몽적 성격이 강하다. 셋째, 『인도』는 문명국을 자부하고, 단군을 소환하며, 조선 민중을 우선시하는 등 민족적, 항일적 성격이 짙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from 1920 to 1936, Japanese Empire changed the policy direction from the coercive military rule to deceptive cultural governance, over 200 kinds of magazine were published. The magazines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cla...
Since from 1920 to 1936, Japanese Empire changed the policy direction from the coercive military rule to deceptive cultural governance, over 200 kinds of magazine were published. The magazines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specific organization or claiming to advocate the religion, arts, etc. appeared and there were various magazines published by Confucian organizations. Indo is the official magazine published by Yugyobusikhoe, which was active having its base in Hongseong, Chungnam. Yugyobusikhoe is the organization established by the descendants and the followers of Kim Bok-Han, who participated in Paris-Jangseo Movement(Korean Confucian literati's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Most of Confucian organizations are the government service organization leaded by the colonial officials and the figures of pro-Japanese faction but Yugyobusikhoe was the organization having strong anti-Japanese and ethnic natur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ublication and the nature of Indo published by Yugyobusikhoe. Indo was published total 9 issues for 1 year and 9 months from its first issue on June 16, 1929 to its final issue on March 15, 1931 and Yugyobusikhoe published Yugyobusilhoe Magazine No.1, too. Due to the inspection of Japanese Empire, entire texts or a few rows were deleted a lot and the publication was suspended for 9 months. Indo is Confucian magazine and is the general magazine dealt with the issues in the literature, practical use, refinement, current affairs, etc.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ndo published the manuscripts related to the explanation on the phrases in the scriptures, praise for Confucius, identity establishment of Confucianism, etc. as it is the Confucian magazine but it placed the weight on making-present Confucianism. Second, Indo has strong enlightening nature such as making the lectures such as science, agriculture, domestic science, etc. to reinforce the refinement, introducing the current terms, etc. Third, Indo has ethnic and anti-Japanese nature that claiming that Korea is a civilized country, summoning Dangun(檀君) and prioritizing people of Joseon, et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일, "홍성의 유교 잡지 『인도』 문예면" 한국비평문학회 (69) : 111-186, 2018
2 金祥起, "한말 일제하 洪城지역 儒林의 형성과 항일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1) : 85-106, 2004
3 김근수, "한국잡지연구" 한국학연구소 2004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박찬승, "한국독립운동사" 역사비평사 2014
6 강진호, "한국근대문학 해제집 1~4"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정보센터 2018
7 정욱재, "전라남도유도창명회 『彰明』" 선인 9-26, 2020
8 김봉곤, "일제의 종교정책과 유교-전남의 유도창명회(儒道彰明會)와 관련하여"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40 : 149-186, 2016
9 변은진, "일제강점기 유교단체 기관지 기사목록" 도서출판선인 9-32, 2020
10 經學院, "經學院雜識"
1 박태일, "홍성의 유교 잡지 『인도』 문예면" 한국비평문학회 (69) : 111-186, 2018
2 金祥起, "한말 일제하 洪城지역 儒林의 형성과 항일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1) : 85-106, 2004
3 김근수, "한국잡지연구" 한국학연구소 2004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박찬승, "한국독립운동사" 역사비평사 2014
6 강진호, "한국근대문학 해제집 1~4" 국립중앙도서관 근대문학정보센터 2018
7 정욱재, "전라남도유도창명회 『彰明』" 선인 9-26, 2020
8 김봉곤, "일제의 종교정책과 유교-전남의 유도창명회(儒道彰明會)와 관련하여" 원광대 종교문제연구소 40 : 149-186, 2016
9 변은진, "일제강점기 유교단체 기관지 기사목록" 도서출판선인 9-32, 2020
10 經學院, "經學院雜識"
11 朝鮮儒敎會, "日月時報"
12 全羅南道儒道彰明會, "彰明"
13 乳道振興會, "儒道"
14 儒敎扶植會, "人道⋅儒敎扶植會報"
근현대 ‘위성(衛聖)’ 공동체의 등장과 지역 사회 변동 - 전주향교(全州鄕校)를 중심으로(1920~1960)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8-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6 | 1.75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