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centered on true consciousness, which is the eighth consciousness, or ālaya-vijñāna, because the theory of Buddha nature had been so widespread in East Asian Buddhism. Paramārtha’s theory of consc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centered on true consciousness, which is the eighth consciousness, or ālaya-vijñāna, because the theory of Buddha nature had been so widespread in East Asian Buddhism. Paramārtha’s theory of consci...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centered on true consciousness, which is the eighth consciousness, or ālaya-vijñāna, because the theory of Buddha nature had been so widespread in East Asian Buddhism. Paramārtha’s theory of consciousness-only harmonized both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He suggested that ālaya-vijñāna is the combined consciousness of true and false, and amala-vijñāna is the true consciousness. Also, amala-vijñāna means tathatā or true nature, as in tathāgata-garbha’s last stage.
Meanwhile, Xuanzang understood ālaya- vijñāna as false consciousness and denied the existence of amala-vijñāna. Zhiyan discussed tathāgatagarbha’s final stage, also known as tathāgata- dharmakāya, which is described as the “absence of self-nature in the highest meaning” (parinișpanna-niḥsvabhāvatā), which Paramārtha defined as “suchness.” This issue of grasping the meaning of tathāgata-garbha was the cause of arguments and various hermeneutical attempts in the Dilun School.
Zhiyan proposed his “five teachings” a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early Huayan School. However, Zhiyan proposed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of the special teaching of the unique vehicle, with “consciousnessonly as the object of understanding” and “consciousness- only as the object of practice.” This was based on the Dilun School and influenced by the Shelun School.
국문 초록 (Abstract)
지론종의 심식설이 眞識인 제8 아리야식을 중심으로 전개된 데에는 佛性 說의 영향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아리야식설과 여래장설을 조화시키고자했던 眞諦의 無相唯識說을 통해 이러한 ...
지론종의 심식설이 眞識인 제8 아리야식을 중심으로 전개된 데에는 佛性 說의 영향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아리야식설과 여래장설을 조화시키고자했던 眞諦의 無相唯識說을 통해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다. 하지만 진제는 제8 아리야식을 ‘眞妄和合識’이라 하고 아마라식을 ‘眞識’이라 하였다. 이때 아마라식은 ‘果位의 여래장’으로서 眞如實性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에 심식설을 둘러싼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법상교학은 아리야식을 妄識으로 파악하고 아마라식의 識體를 부정하였다.
한편 진제는 아마라식으로 과위의 여래장을 강조하였고, 三無性說을 통해‘眞實無性性’을 밝혔으며, 당시까지 중시되지 않았던 ‘과위의 여래장’, 즉 如來 法身의 입장이 부각되었다. 이는 여래장의 의미가 인위와 과위라는 관점에 따라 달리 이해될 수 있음을 뜻하며, 이후 지론종 내부에서 여래장의 의미에 대한논의와 다양한 해석적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논의의 중심은 ‘心識’에서 ‘心性’으로 옮겨갔다. 또한 소승과대승의 구분보다 삼승과 일승의 구분[因位의 가르침인가, 果位의 가르침인가] 이 중심이 되었다. 일승의 입장에서 화엄교학을 체계화시킨 지엄은 5교판을통해 新유식은 大乘始敎, 舊유식은 大乘終敎로 평가하였고, 一乘圓敎에서는性起說을 주창하였다. 물론 일승에서도 [同敎에서는] 아리야식, 여래장 등의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그 敎體의 판별에 있어서는 어떤 관점에서 설해진것인지 신중히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지엄은 別敎一乘의 유식설로서 解唯識 과 行唯識을 주장하였고, 義相과 法藏 등에 의해 三性三無性說의 재해석과 변용이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歷代三寶紀 (T49)"
2 오다겐유, "초기화엄사상사" 불교시대사 2007
3 大竹晋,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씨아이알 2010
4 靑木隆,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씨아이알 2010
5 이종철, "중국불경의 탄생" 창비 2008
6 靑木隆, "장외지론종문헌집성 속집" 씨아이알 2013
7 정병삼, "의상화엄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8 김동화, "불교유심사상의 발달" 뇌허불교학술원 2001
9 석길암,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씨아이알 2013
10 오카모토 잇페이, "남북조시대의 불교사상" 민족사 2014
1 "歷代三寶紀 (T49)"
2 오다겐유, "초기화엄사상사" 불교시대사 2007
3 大竹晋,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씨아이알 2010
4 靑木隆,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씨아이알 2010
5 이종철, "중국불경의 탄생" 창비 2008
6 靑木隆, "장외지론종문헌집성 속집" 씨아이알 2013
7 정병삼, "의상화엄사상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8 김동화, "불교유심사상의 발달" 뇌허불교학술원 2001
9 석길암, "동아시아에 있어서 불성⋅여래장 사상의 수용과 변용" 씨아이알 2013
10 오카모토 잇페이, "남북조시대의 불교사상" 민족사 2014
11 "華嚴經問答 (T45)"
12 "華嚴經傳記 (T51)"
13 坂本幸男, "華嚴敎學の硏究" 平樂寺書店 1956
14 石井公成, "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96
15 "續高僧傳 (T50)"
16 장진영, "緣起와 性起의 관계 - 『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10) : 209-256, 2011
17 안성두, "眞諦의 삼성설 해석과 阿摩羅識" 한국불교연구원 (42) : 101-150, 2015
18 般山撤, "眞諦三藏硏究論集"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2012
19 岩田諦靜, "眞諦の唯識說の硏究" 山喜房佛書林 2004
20 "新纂續藏經"
21 圣凯, "攝論學派硏究" 宗敎文化出版社 2006
22 "攝大乘論釋 (T31)"
23 "搜玄記 (T45)"
24 "探玄記 (T45)"
25 "孔目章 (T45)"
26 "大正新脩大藏經"
27 "大方廣佛華嚴經 (T09)"
28 "大乘義章 (T44)"
29 大竹晋, "唯識說を中心とした初期華嚴敎學の硏究: 智儼⋅義湘から法藏へ" 大藏出版 2007
30 "唯識義私記 (T71)"
31 妙注, "唯識思想" 경서원 1997
32 "十地經論義記 (X45)"
33 "入楞伽經 (T16)"
34 "五敎章 (T45)"
35 "五十要問答 (T45)"
36 "三無性論 (T31)"
37 "一乘法界圖"
38 장진영, "『華嚴經問答』의 敎判思想" 한국선학회 (23) : 711-756, 2009
39 최은영, "9식설과 여래장에 대한 진제의 사유 一考" 불교학연구회 26 : 141-172, 2010
『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逸文의 사상적 고찰
安然의 『悉曇藏』에 나타난 慧均의『大乘四論玄義記』 卷第11 「十四音義」 ‒ 「十四音義」의 복원을 위한 序說 ‒
동아시아 불교의 僧役 양상 고찰‒ 중국 北朝시대와 조선 成宗代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743 | 0.1 |